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23:02:30

양띵/장기 콘텐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양띵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양띵TV 로고.svg

양띵
삼식
서넹
후추

눈꽃
콩콩
다주
루태


{{{-2 {{{#!folding [ 전 멤버 ]
[ 콘텐츠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cb413f><width=1000> 대규모 콘텐츠
(핵전쟁 · 파산게임) ||<width=1000> 중규모 콘텐츠 ||<width=1000> 릴레이 콘텐츠 ||<width=1000> 크루데이 ||
일일 콘텐츠 단기 콘텐츠 장기 콘텐츠 기타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cb413f><width=500>
커뮤니티
공식 카페 · 마이너 갤러리 ||<width=500>
논란 및 사건 사고
양띵 · 양띵크루 · 콘텐츠 제작팀 ||<width=500>
기타
양띵TV · 약속 · 띵덕 ||
닭껍질팀 · 화려한팀 · 새로운팀 · TMI팀 · YD Pictures · 기타


1. 개요
1.1. 장기 콘텐츠 기준
2. 콘텐츠
2.1. YD마을 건설2.2. 우비2.3. 우리는 마법사2.4. 응답하라 20122.5. 2023 야생생존기
3. 스트리머 서버
3.1. 야생 서버
3.1.1. 잼잼마을3.1.2. 불꽃마을
3.2. 콘텐츠 서버
3.2.1. 뉴띵마을3.2.2. 뉴띵로얄3.2.3. 띵타이쿤

[clearfix]

1. 개요

양띵TV가 제작, 진행하거나 플레이한 장기 콘텐츠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대규모 콘텐츠와는 다르게 비교적 평화로운 분위기 속에서 특정한 주제를 가지고 진행한다. 가장 큰 특징은 우승자가 없다는 점이다. 허나, 아직 역사가 깊지 않아 자세한 정보는 없다.

1.1. 장기 콘텐츠 기준

기준
1 양띵이 직접 장기로 지정한 경우
2 중/소/대규모로 기획되었으나 의도치 않게 장기로 발전한 경우
3 전/후속작이 장기인 경우[1]
4 총 진행 회차가 10회차 이상인 경우[2]
5 스트리머 서버인 경우
사실상 다회차 콘텐츠 중 대규모 콘텐츠중규모 콘텐츠가 아닌 모든 경우라고 봐도 무방하다.

2. 콘텐츠

2.1. YD마을 건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YD마을 건설 재생목록
파일:양띵TV 로고.svg YD마을 건설
참여자 양띵, 미소, 삼식, 서넹, 후추, 눈꽃, 콩콩, 다주, 루태, 옴므
방송일 2015년 10월 6일 ~ 2016년 4월 21일

탈퇴 멤버 옴므의 재합류와 쩜오 멤버인 콩콩, 다주, 루태까지 포함해 총 멤버 수가 10명이 된 것을 기념하여 만들어진 콘텐츠.

모든 멤버들이 마을을 건설하는 기본적인 건축 콘텐츠로, 4일차까지 진행 후 개인별 방송 / 시청자 참여 형태로 전환되면서 각자 개인의 땅을 꾸몄다. 광물을 캐고 땅을 넓히고 정리하는 작업을 하면서 양띵크루만의 토크를 재밌게 볼 수 있다. 다만, 크루가 10명이 된 후 처음 단체로 진행한 콘텐츠이다 보니 마이크가 겹치거나 다소 멘트가 적어 소외되는 멤버도 있었다.

마지막 순서인 양띵의 국밥집 콘셉트의 개인집 제작과, 다 함께 맵을 둘러보는 것을 마지막으로 YD마을 건설 콘텐츠는 종료되었다.

2.2. 우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비 재생목록
파일:양띵TV 로고.svg 우비
참여자 양띵 (기획), 미소, 삼식, 서넹, 후추, 눈꽃, 콩콩, 다주, 루태, 옴므
방송일 2016년 4월 6일 ~ 4월 22일

다른 콘텐츠들과는 다르게 생방송 없이 따로 녹화하여 업로드하는 연기 콘텐츠이다. 양띵이 평소에도 스토리에 관심이 많다고 했는데, 본격적으로 작가적 면모를 보여준 콘텐츠이다. 생방송을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튜브를 통해서만 볼 수 있으며, 정해진 대본에 따라 멤버들이 연기를 한다.

유튜브에는 3회차까지의 영상만 있다. 4화 이후의 영상은 업로드가 되지 않아 많은 팬들이 업로드를 요구하자 방학 시즌에 몰아서 업로드하겠다고 했다. 또, 멤버들이 전부 모이는 시간을 잡기가 힘들어 진행할 수 없다고 말하기만 하고 그 이후 3개월 동안 아무 언급이 없었다.

그러다가 9월 27일에 옴므가 개인 사정으로 탈퇴했는데, 하필 옴므의 역할이 중요한 역할이었기 때문에 더 이상 진행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2.3. 우리는 마법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리는 마법사 재생목록
파일:양띵TV 로고.svg 우리는 마법사
참여자 눈꽃 (기획), 양띵, 삼식, 서넹, 후추, 콩콩, 다주, 루태
방송일 2016년 11월 11일 ~ 12월 7일

생방송이 아닌 비공개 녹화 형태로 진행된 콘텐츠이다. 스토리대로라면 시즌2를 해야 하지만, 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양띵 문서
번 문단을
우리는 마법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응답하라 201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응답하라 2012 재생목록
파일:양띵TV 로고.svg 응답하라 2012
참여자 양띵, 삼식, 서넹, 눈꽃, 콩콩, 다주, 루태
방송일 2018년 5월 18일 ~ 6월 2일

2012년 이전에 진행했던 콘텐츠들을 한 번 더 해보는 콘텐츠이다.
  • 1일차: 화려한 왕국
  • 2일차: 질추와 수드라2
  • 3일차: 헨젤과 그레텔

2.5. 2023 야생생존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 야생생존기 재생목록
파일:양띵TV 로고.svg 2023 야생생존기
참여자 양띵, 삼식, 서넹, 후추, 눈꽃, 콩콩, 다주, 루태
방송일 2023년 1월 6일 ~ 11월 17일

1.19.3~ 1.20 버전인 신버전(최신 패치버전)에 강제로 익숙해지자는 프로젝트로, 매 회차 처음에 필요한 열쇠조각 갯수를 뽑고, 시작한 뒤에는 서버에서 나갈 수 없게 된다. 단, Alt+F4나 강제종료 등 빡종은 막히지 않아 접속이 튕겨 재접속하는 경우도 있다. 야생에서 얻을 수 있는 아이템 10개 아니면 희귀한 아이템(몹 머리나 음반 등 얻기 어려운 아이템이나 드래곤 알 등 정상적으로는 1개만 획득 가능한 아이템) 1개를 제출해 처음에 뽑은 열쇠조각 갯수만큼 모으게 되면 서버 나가기 버튼의 잠금이 풀리게 되어 서버에서 나갈 수 있게 된다. 별명은 야생일기. 진행 도중 1.20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어 시즌2라는 이름으로 진행하였다. 실질적으로 기존에 진행하던 신버전 노치트 야생을 대신하고 있다.

3. 스트리머 서버

3.1. 야생 서버

3.1.1. 잼잼마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양띵/장기 콘텐츠/잼잼마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트위치에 마인크래프트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서버이며, 당시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상위에 오르고 트위치 핫클립을 장악하는 등 많은 화제성을 불러왔었다. 오늘날 많은 마인크래프트 스트리머 서버가 생기게 한 시초이다.

3.1.2. 불꽃마을

불꽃마을
파일:불꽃마을 단체 사진.png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운영자 양띵크루, 비빔, 애좀
스타팅 멤버
(11명)
양띵, 삼식, 다주, 괴물쥐, 류제홍, 마왕루야, 소우릎, 철면수심, 탬탬버린, 플러리, 한동숙
참여 멤버
(23명)
서넹, 후추, 눈꽃, 콩콩, 루태, 감블러, 강소연, 강지, 고차비, 공혁준, 남봉, 도파, 룩삼, 만득, 멋사, 명예훈장, 소풍왔니, 순당무, 시니, 악어, 이춘향, 주다사, 피닉스박
방송일 2022년 11월 23일 ~ 29일

뉴띵마을 공개 당시, 잼잼마을은 따로 준비한 것이 있다고 하며 잼잼마을 시즌2가 나온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언급했었다. 하지만 이후 다주의 8주년 방송에서 잼잼마을의 대흥으로 인해 잼잼마을 시즌2는 너무 기대치가 커졌고, 그 기대치를 충족시킬 수 없을 것 같아 잼잼마을 시즌2를 진행하는 것은 힘들 것이라고 했으나...

2022년 11월 18일 생방송에서, 잼잼마을 시즌2의 기획을 시작하였다. 잊혀질 때쯤 다시 돌아오겠다는 말답게 약 3년 만에 새롭게 돌아왔다. 더불어 잼잼마을의 후기와 함께 다음 시즌의 기획 과정을 생중계했다.

이후 11월 19일 다주의 생방송에서 서버 이름이 '불꽃마을'로 정해졌으며, 11월 23일 오후 6시 30분부터 서버를 오픈했다. 불꽃의 뜨겁고 열정적인 이미지를 서버의 이름으로 사용하였는데, 하필 몇 주 전 2022년 트위치 대한민국 내 VOD 콘텐츠 중단 사건이 터져 '트위치의 마지막 불꽃이냐' 와 같은 드립이 난무했다.

3일차에 해프닝이 있었는데, 류제홍의 초대를 받아 불꽃마을에 들어온 명예훈장이 우연찮게 블레이즈가 스폰되는 던전을 발견했는데,[3] 하필 발견자가 통칭 '메던로'로 단련된 컨트롤로 무장한 명예훈장이었던 탓에 다이아 세트도 아닌 철 세트로 블레이즈 파밍을 시작해버렸다. 일명 블레이즈 쌀먹. 이를 기반으로 명예훈장이 골드를 복사하기 시작했고, 이에 다주가 정보 독점 금지, 3시 이후 블레이즈 스폰을 너프하기로 하면서 마무리되나 싶었으나, 약탈 검을 띄운 명예훈장이 자금난에 시달리던 탬탬버린에게 약탈 검과 정보 + 가이드를 팔고 블레이즈 스폰 위치를 공유하면서 골드 인플레이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자, 결국 운영진이 개입해 블레이즈 파밍을 금지해버렸다. 탬탬버린의 오열은 덤 결국 마음이 약해진 명예훈장이 탬탬버린에게 약탈 검 값을 제외한 골드를 모두 돌려주고, 그 동안 둘이 번 골드는 명예훈장이 류제홍에게 갚을 몫을 제외한 모두를 의상 가챠에 태우는 것으로 훈훈하게 마무리했다. 덕분에 RPG 고인물을 조심하라(...)는 교훈을 남기게 되었다.

3.2. 콘텐츠 서버

야생 서버는 짧게 단기간에 준비한 이벤트적 성격의 서버라면, 콘텐츠 서버는 최소 2~3주 준비하여 시스템이나 BGM, 모드들을 제작하여 진행되는 서버이다.

양띵이 트위치에 오기 전부터 기획하고 있었던 서버이며, 잼잼마을 시즌2와는 전혀 별개인 서버라고 한다.

3.2.1. 뉴띵마을

뉴띵마을
파일:뉴띵마을 단체 사진.png
참여자
(93명)
양띵, 양띵크루 전원, 악어, 악어크루 전원, 시니, 퀸톨, 옐언니, 견자희, 공파리파, 코아, 악녀, 나나양, 쫀득, 망개, 양아지, 이초홍, 수담, 다유, 금사향, 강지, 탬탬버린, 이춘향, 김똘복, 단즈, 류으미, 빅헤드, 도현, 미라지, 소풍왔니, 혜요, 한예찬, 램램, 김규식, 애덕, 고차비, 페뇨, 신사장, 쁘허, 유링딩, 마뫄, 지누, 실프, 삐부, 조매력, 감블러, 진자림, 노돌리, 양노을, 살인마협회장, 통깡이, , 김나성, 소니쇼, 렐라, 오요, 원정상, 익곰, 순당무, 끠끼, 김봉팔, 고래쉬, 범퍼, 머독, 김재원, 잠뜰, 학살, 여푸, 조디악, 델로략국, 옴므, 표림, 유키드, 하우카우, 서농, 블개, 간애, 소우릎, 강수
방송일 2020년 4월 6일 ~ 15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뉴띵마을 재생목록

양띵과 악어, 그리고 양띵의 제작팀인 풀문팀이 담당한 서버이다. 2020년 3월 18일에 시작하려 했으나, 모여봐요 동물의 숲 여파로 인해 잠시 미루기로 하였고 이후 3월 27일, 뉴띵마을 오픈 날짜가 공개되었다. 4월 6일부터 시작하여 4월 15일에 종료되었다.

총 93명의 인터넷 방송인이 참여하였다. 참여 인원 자체는 잼잼마을에 비해 거의 5배나 늘었지만, 화제성은 잼잼마을에 비해 적었다. 20명 정도의 다들 한 번 쯤은 들어본 알짜배기 구성원[4]들로 이루어져 있던 잼잼마을은 구성원 간의 교류, 친분 여부와 상관 없이 고르게 퍼져 다양한 케미가 나타났고, 시청자들도 여러 방송을 넘나들면서 모든 스트리머의 일거수일투족, 그리고 서버에 있었던 일련의 사건들을 거의 완전히 즐길 수 있었던 반면, 뉴띵마을의 경우에는 규모가 너무나 커지기도 했고 비교적 유명하지 않은 중소기업이 상당수를 차지했다. 필연적으로 스트리머 간의 교류가 상당 부분 친분에 기대게 되어 단편적으로 될 수밖에 없었고[5], 시청자 입장에서도 좋아하는 몇몇 스트리머에게 일어난 단편적인 사건들만 즐기고 마는 경우가 많았다는 건 아쉬운 점이다.

그럼에도 이번 역시 꽤 신박한 라인업이 이루어졌다. 잼잼마을 당시 타 플랫폼[6]에서 활동했던 탓에 참여할 수 없었던 악어크루가 합세했으며[7], 잼잼마을에서 볼 수 없었던 후추, 눈꽃, 루태도 참여하면서 양띵TV가 완전체로 참여했다.

잼잼마을 급의 여파는 아니었지만, 뉴띵마을도 어느 정도 스트리머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악어의 경우 평균 1만 명 ~ 2만 명이 시청, 다주, 중력, 너불 등은 5천 명, 핑맨은 8천 명 등등 크루들도 최소 2천 명이 넘는 동시 시청자를 기록하였으며, 가장 높은 시청자를 기록할 때는 너불과 핑맨은 1.5만 명, 루태도현도 8천 명을 기록하였다. 뉴띵마을 전, 크루들의 평균 시청자는 보통 500명에서 1000명 대를 기록하였는데, 이번 뉴띵마을을 계기로 시청자가 3배에서, 많게는 10배까지 늘어난 스트리머도 많았고, 이번 계기로 유명해진 스트리머도 있었다.

뉴띵마을은 4월 15일 종료되었으며, 뉴띵마을 시즌2를 예고하고 끝이 났다. 정리 글 클립

3.2.2. 뉴띵로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뉴띵로얄 재생목록

양띵과 양띵의 제작 팀원들이 급하게 제작한 서버이다. 원래는 악어 측이 다른 서버를 제작하려 했으나, 사정으로 인해 제작이 지연되어 양띵 측에서 뉴띵로얄을 급하게 제작하게 되었다.

뉴띵로얄 1차 테스트는 간단히 룰과 시스템을 설명하였고, 2~3차 테스트는 양띵 트위치에서 제작 팀원들과 하였다. 4~5차 테스트는 루태가 70명의 시청자와 제작팀원들을 데리고 진행하였고 이후, 마지막 최종 테스트로 다주 방송에서 뉴띵로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이렇게 테스트만 6번을 하다 보니 기대를 할 수밖에 없다.

자세한 룰이나 뉴띵로얄에 대한 정보는 양띵 카페에 정리 글을 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정리 글

트위치 최초로 유료 시스템이 도입된 콘텐츠이다. 2회까지 무료 부활이고, 이후부터는 회당 2천 원의 현금이 필요하다. 결제 방식은 디스코드에서 부활 신청을 받고 부활한 횟수만큼 종료 후 계좌이체를 하는 방식이다. 해당 금액은 제작진의 인센티브 지급 후, 남은 금액은 기부를 하는 형식이다. 뉴띵이라는 양띵과 악어의 광고 회사의 홍보도 겸하고 있다. 하지만 다이아몬드 장비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견되어 유료가 아닌 무료 운영으로 변경되었다[8].

본래 2회차로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1회차로 마무리되었으며, 피드백 방송을 통해 여러 문제점들에 대해 토론하고 이후 배틀로얄과 같은 싸움 콘텐츠가 아닌 양띵의 주특기 콘텐츠이자 자원과 각종 도박으로 승부를 보는 파산게임으로 돌아올 것을 예고했으나, 추후 방송에서 마음을 접었다고 밝혔다.

최종 챌린저가 된 스트리머들은 30명이며, 0데스 챌린저4명[9]이다. 가장 빨리 챌린저가 된 스트리머는 봄수로 15분[10]만에 졸업하였다. 두 번째로 챌린저가 된 스트리머는 코아이고, 세 번째로 챌린저가 된 스트리머는 뚜뚜형이다.

3.2.3. 띵타이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양띵/장기 콘텐츠/띵타이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뉴띵로얄 등.[2] 양띵이 중/대규모로 단정지은 경우와 기존에 대규모에 포함된 경우는 제외.[3] 블레이즈 스폰의 경우 이미 아는 사람들은 다 알 정도로 숨겨진 요소는 아니었다. 단지 블레이즈를 사냥하기가 까다로웠던 것이 문제.[4] 도티, 잠뜰 등 생방을 하지 않는 인원도 있었다.[5] 심지어 콘텐츠 주최자인 양띵이나 악어를 모르는 스트리머도 있었다.[6] 정확히는 당시 아프리카TV 측에서 합방을 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하였으나, 답변을 받은 시점이 잼잼마을 종료를 하루 앞둔 날이라 참여하지 않았다고 한다.[7] 경쟁 콘텐츠가 주력인 늪지대가 합류하자 1회차부터 잼잼마을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로 흘러갔다. 예시로 악어가 1일차에만 13시간 방송으로 멋사, 중력, 남봉, 견자희, 지누를 초대하고 중력이 바통을 이어받아 수닝, 공파리파, 악녀, 코아를 참여시키면서 1일차에만 마을 인구가 10명을 넘는 일이 벌어졌고 이에 양띵이 당혹감을 표하기도 했다. 거기에 2일차만에 도박장이 열리고, 4일차에는 아예 굴라그라고 불리는 투기장이 열리는데 이어 청부 업체 해드림까지 등장하며 전체적으로 늪지대의 색이 많이 들어간, 완전히 다른 서버 정체성이 확립되었다.[8] 게임 시간이 3시간 정도 지난 뒤 다이아몬드 방어구의 비정상적인 강화가 확인되었으며, 모두 회수한 뒤 강화 +1당 다이아몬드 10개로 바뀌었다.[9] 차례대로 지누 (9/0/0, 8등), 금사향 (8/0/0, 11등), 콩콩 (7/0/0, 15등), 남봉 (8/0/0, 23등).[10] 인게임에서는 1시간 15분이라고 찍히지만, 대기 시간이 1시간이었기에 15분이 맞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2 (이전 역사)
문서의 r9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