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25 12:56:27

알 하킴

알하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카이로의 2번째 압바스 칼리파에 대한 내용은 알 하킴 1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알 하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1200px-Rashidun_Caliph_Ali_ibn_Abi_Talib_-_علي_بن_أبي_طالب.svg.png
시아파 이맘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이맘
12이맘파 · 자이드파 · 니자리파 · 하쉬미야 · 이스마일파 초대
알리 알 무르타자
12이맘파 · 자이드파 · 하쉬미야 · 이스마일파 제2대
무스탈리파 초대
하산 이븐 알리
12이맘파 · 자이드파 · 하쉬미야 · 이스마일파 제3대
후세인 이븐 알리
카이사니야 · 하쉬미야
제4대
무함마드 이븐 알리 (이븐 알 하나피야)
제5대
아부 하쉼 압둘라 이븐 무함마드
하르비야
압둘라 이븐 무아위야1
제6대
무함마드 이븐 알리2
제7대
이브라힘 이븐 무함마드
제8대
압둘라 이븐 무함마드
제9대
압둘라 이븐 무함마드
제9대
무함마드 이븐 압둘라
자이드파 12이맘파 · 이스마일파
제5대
하산 알 무싼나
제6대
자이드 이븐 알리
제7대
야흐야 이븐 자이드
제8대
무함마드 앗 나스프 앗 자키야
제9대
이브라힘 이븐 압둘라
제10대
압둘라 이븐 무함마드
제11대
하산 이븐 이브라힘
제12대
후세인 이븐 알리 이븐 하산 알 무탈라스
제13대
이사 이븐 자이드
제14대
야흐야 이븐 압둘라
제15대
이드리스 이븐 압둘라3
제16대
무함마드 이븐 이브라힘
제17대
무함마드 이븐 무함마드
제18대
무함마드 이븐 술레이만
제19대
알 카심 이븐 이브라힘
제20대
야흐야 이븐 우마르
제21대
하산 이븐 자이드4
제22대
알 하디 야흐야5
12이맘파 · 자이드파 · 이스마일파 제4대
알리 자인 알 아비딘
12이맘파 제5대
이스마일파 제5대
무함마드 알 바키르
12이맘파 제6대
이스마일파 제6대
자파르 앗 사디크
12이맘파 이스마일파
제7대
무사 알 카짐
제8대
알리 알 리다
제9대
무함마드 알 자와드
제10대
알리 알 하디
제11대
하산 알 아스카리
제12대
무함마드 알 마흐디
제7대
무함마드 이븐 이스마일
제8대
아흐마드 알 와피
제9대
무함마드 앗 타키
제10대
라디 압둘라
제11대
압둘라 알마흐디
제12대
알 카임
제13대
이스마일 알 만수르
제14대
알 무이즈
제15대
알 아지즈
제16대
알 하킴
제17대
앗 자히르
제18대
알 무스탄시르
무스탈리파 니자리파
제19대
알 무스탈리
제20대
알 아미르
제19대
니자르 이븐 알 무스탄시르
제20대
알리 알 하디
제21대
무함마드 알 무타디
제22대
하산 알 카히르
제23대
하산 앗 살람
제24대
무함마드 2세
제25대
하산 3세
제26대
무함마드 3세
제27대
루큰 앗 딘 쿠르샤
제28대
샴스 앗 딘 무함마드
제29대
카심 샤
제30대
이슬람 샤
제31대
무함마드 이븐 이슬람 샤
제32대
빌라흐 2세
제33대
아브드 알 사람 샤
제34대
가리브 미르자
제35대
아브 다르 알리
제36대
무라드 미르자
제37대
둘피카르 알리
제38대
누르 알 딘 알리
제39대
칼릴룰라 2세
제40대
니자르 2세
제41대
앗 사이드 알리
제42대
하산 알리
제43대
카심 알리
제44대
아불 하산 알리
제45대
샤 칼릴룰라 2세
제46대
아가 칸 1세
제47대
아가 칸 2세
제48대
아가 칸 3세
제49대
아가 칸 4세
하피지파 타이비파
제21대
알 하피즈
제22대
앗 자피르
제23대
알 파이즈
제24대
알 아디드
제25대
알 하미드
제26대
바하룻딘 술라이만
제21대
앗 타이브
* 1. 무함마드의 사촌이자 알리의 이복 동생인 자파르의 손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0px-Fatimid_flag.svg.png
파티마 칼리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압둘라 알마흐디 알 카임 이스마일 알 만수르 알 무이즈 알 아지즈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알 하킴 앗 자히르 알 무스탄시르 알 무스탈리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알 아미르 알 하피즈 앗 자피르 알 파이즈 알 아디드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0px-Fatimid_flag.svg.png
파티마 왕조 이집트 통치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자우하르 알 무이즈 알 아지즈 알 하킴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앗 자히르 알 무스탄시르 알 무스탈리 알 아미르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알 하피즈 앗 자피르 알 파이즈 알 아디드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dth: 50%"
파라오 · 아이깁투스 · 사산 · 정통 칼리파
우마이야 · 아바스 · 아이유브
맘루크 · 오스만 · 무함마드 알리 · 대통령
}}}}}}}}}
파일:Al-Hakim.jpg
아랍어 الحاكم بأمر الله
아부 알리 만수르 알 하킴 비 아므르 알라
영어 Al Hakim bi Amr Allah

재위 996년 10월 14일 ~ 1021년 2월 13일
생몰 985년 8월 13일 ~ 1021년 ?

1. 개요2. 치세
2.1. 기행을 일삼다

1. 개요

파티마 왕조의 6대 칼리파. 선대의 관용 정책을 뒤엎고 이슬람 중심의 강압적인 통치를 행하여 많은 반란을 야기하였다. 대표적으로 1009년 예루살렘의 성묘교회를 파괴하여 동로마 제국과 외교적 마찰을 빚었다. 모계가 기독교도인 영향인지[1] 기존 이슬람 교리와 다른 교리 해석을 주장하였고 급기야 스스로 알라의 화신임을 주장하였다. 비록 1020년 앗 다라지가 살해되고 이듬해 알 하킴 역시 '실종'되었지만 그 추종자 중 한명인 하므드 이븐 알리가 시리아에 정착, 알 하킴은 죽은 것이 아니라 은둔한 것이고 언젠가 마흐디로 재림할 것이라고 설파하였다. 이는 후에 드루즈 교로 발전하게 된다.

강압적인 통치 외에 알 하킴은 여러 사원과 학교를 세우고 군사적으로도 시리아를 마침내 재패하는 등 성군의 자질도 지니고 있었다. 그게 가끔이어서 문제지 하지만 지나치게 사상에 집중하고 개인의 취향을 국가적으로 강제시키는 공포 정치를 행하였다. 군사적 업적 역시 그의 사후 앗 자히르 시대에 붕괴되며 파티마 조는 기나긴 쇠퇴에 접어들었다. 특히 알 하킴의 기행적, 이단적 행보로 이맘 칼리파의 신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이자 무오류적인 종교적 위상이 실추되었다.[2] 이는 그의 순조로운? 암살의 원인으로 여겨진다.

2. 치세

파일:알 하킴 모스크.jpg
부왕 알 아지즈 대에 시작되어 1010년에 완공된 알 하킴 모스크. 그의 명령으로 미나렛은 모퉁이에 위치하게 되었다.

998년 수백명에 달하는 다마스쿠스의 반파티마 계열 지도자들이 총독 관저의 하맘 (목욕탕)에 초청되었다. 그들은 파티마 조를 신뢰하지 않았지만 응하지 않으면 처벌이 있을까 두려웠고 설마 목욕탕에서 큰 일이 벌어질까 하며 발걸음을 옮겼다. 그리고 대기하고 있던 베르베르 병사들 (마그리비야)에 의해 난도질당하고 말았다. 이 사건은 시리아 전체에 충격과 공포를 선사하였다. 다만 당시 알 하킴은 13세에 불과하였기에 이 학살은 섭정 바르자완의 지시였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잠재적 반대파에 대한 숙청은 역사상 드문 일은 아니었다.

한편 같은 해 시리아의 아파메아 전투에서 파티마 군대는 동로마의 안티오크 총독을 전사시키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에 동로마 황제 바실리오스 2세가 남하하여 샤이자르를 점령하는 등 시리아를 두고 20년간 이어지던 양국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그러던 1000년 전횡을 일삼던 섭정 바르자완을 암살하고 군중 앞에 직접 나타나 민심을 안정시키는 등 알 하킴은 친정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1001년 알 하킴은 알레포의 함단 왕조의 복속을 대가로 바실리오스 2세와 휴전을 체결하며 외부 역시 안정시켰다. 다만 명목상 파티마 조의 속국이었지만 함단 왕조는 양측 모두에게 연공을 납부하였다.

1004년 알 하킴은 다르 알 히크마 (دار الحكمة‎) 혹은 다르 알 일름 (دار العلم)이라 불리는 이집트판 지혜의 집을 세워 문화 진흥에 나섰다. 그 도서관에는 각각 1만 8천권의 저서를 수용 가능한 40개의 서재가 있었다고 한다. 그 외에 대기근이 닥치자 그는 적극적으로 구휼에 임하였고 1016년에는 마침내 알레포가 파티마 조의 직할령이 되었다. 알 하킴의 치세에 파티마 조는 영토적, 문화적 측면에서 절정에 이르렀다. 또한 그는 20년간 15명의 재상을 임명하는 등 (미래에 실현되는) 강력한 재상의 출현을 경계하였다. 하지만 성군의 모습 외에 알 하킴은 그에 못지 않은 폭군의 모습을 보이게 된다.

2.1. 기행을 일삼다

알 하킴은 매우 예민한 성격을 지닌 인물이었다. 개 짖는 소리가 자신을 성가시게 한다며 모든 개를 죽이도록 하였다. 또한 별다른 이유도 없이 여인들의 외출 금지를 명하며 외출용 여성 신발의 제작까지 금지시켰다. 그는 식문화에도 개입하여 맥주와 포도주를 금하였고 쉬아 이슬람의 시조 알리를 괴롭혔던 무아위야 1세가 좋아했다는 이유만으로 이집트 인들이 즐겨먹던 몰로키야(음식) 국마저 금지하였다. 종교적으로는 그의 모친이 기독교도였음에도 불구하고 개종 혹은 추방을 명하며 박해를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태도를 바꿔 기독교 신앙을 허가하고 교회 재건을 돕기도 하였다.

한편 위의 모든 기행들을 넘어 당대인들에게 가장 충격적이었던 것은 바로 스스로 알라의 화신이라 주장한 것이었다. 이란 출신의 튀르크인 무함마드 앗 다라지가 알 하킴을 영접하곤 그가 알라의 화신의 관상을 지니고 있다고 고하자 이를 그대로 믿고 세계에 설파하도록 한 것인데, 바로 드루즈교의 시작이었다. 이맘과 마흐디 사상이 있던 시아파에게도 개인의 신격화는 수용하기 힘들었으며 오히려 이맘 칼리파의 위상을 추락시키는 것이었다. 결국 1020년의 폭동으로 앗 다라지는 살해되었고 초기 드루즈 교도들은 추방되었다.

그리고 이듬해 알 하킴 역시 야간 산책 중 실종[3]되었는데, 종교적 위협을 느낀 이스마일파의 암살로도 여겨진다. 최근에는 사후 섭정에 나선 시트 알 물크의 소행이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그러나 알-하킴의 기행이 멜카이트 기독교 역사가인 알 안타키(al-Antaki, 1066)와 그 후의 적대적인 수니파 역사가들에 의해 크게 왜곡되었을 수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 알-하킴은 신하들에게 일반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지도자로 부상하고 있으며, 다양한 시기에 다양한 종교 집단을 기쁘게 하거나 달래려 하고 있다.

또한 알-하킴은 금욕주의에 대한 강한 성향을 발전시켰다. 1012년 그는 신하들이 자기 앞에 절하는 것을 금하고 간소한 옷을 입고 당나귀를 탔다.

또한 알-하킴 자신이 드루즈 운동의 창시자들이 지지하는 극단주의 사상을 어떤 식으로든 격려하거나 지지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예를 들어, 알-하킴은 그의 수많은 칙령에서 결코 신성을 주장하지 않았으며 카이로에 있는 다와 조직의 지도부는 이 운동에 단호하게 반대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카이로의 다와 지도자들이 새로운 교리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그들은 알-하킴이 이러한 취지의 특별 법령과 문서를 유포하는 반체제 인사단에 의해 전파된 극단주의 사상을 결코 지지하지 않았다고 선언했다.[4]


[1] 그의 모친은 콥트 기독교 신자였으며 외삼촌 두 명은 콥트 기독교 주교였다 한다.[2] 특히 소수의 이스마일파가 다수의 수니파 및 콥트교도를 통치하던 상황에서 이는 명분상 치명적이었다[3] 뜬금없이 당나귀를 타고 도성 밖으로 나갔다가 실종되었다(...)[4] 《이스마일파, 그들의 역사와 교리, 2판》, Farhad Daft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