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01 07:35:21

알 아슈라프 칼릴

칼릴에서 넘어옴
파일:Coat_of_arms_of_the_Mamluk_Sultan_of_Egypt.svg
맘루크 왕조 이집트 술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4px"
왕조: 살리흐 왕조
민족: 아르메니아인 · 튀르크 투르크멘
대수: - 초대 제2대
칭호: 말리카 알 무슬리민 알 무스타사미아 알 말리크 알 무이즈 알 말리크 알 만수르
술탄: 샤자르 앗 두르 이즈 앗 딘 아이바크 누르 앗 딘 알리
살리흐 왕조 바흐리 왕조
호라즘 튀르크 킵차크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알 말리크 알 무자파르 알 말리크 앗 자히르 알 말리크 앗 사이드 알 말리크 알 아딜
사이프 앗 딘 쿠투즈 루큰 앗 딘 바이바르스 나시르 앗 딘 바라카 바드르 앗 딘 살라미시
바흐리 왕조
킵차크 몽골인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알 말리크 알 만수르 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 알 말리크 앗 나시르 알 말리크 알 아딜
사이프 앗 딘 칼라운 살라흐 앗 딘 칼릴 나시르 앗 딘 무함마드 자인 앗 딘 키트부가
바흐리 왕조
체르케스인 킵차크 체르케스인 킵차크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알 말리크 알 만수르 알 말리크 앗 나시르 알 말리크 알 무자파르 알 말리크 앗 나시르
후삼 앗 딘 라긴 나시르 앗 딘 무함마드 루큰 앗 딘 바이바르스 앗 자샨키르 나시르 앗 딘 무함마드
바흐리 왕조
킵차크 킵차크 · 타타르 킵차크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알 말리크 알 만수르 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 알 말리크 앗 나시르 알 말리크 앗 살리흐
사이프 앗 딘 아부 바크르 알라 앗 딘 쿠주크 시하브 앗 딘 아흐마드 이마드 앗 딘 아불 피다 이스마일
바흐리 왕조
킵차크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알 말리크 알 카밀 알 말리크 알 무자파르 알 말리크 앗 나시르 알 말리크 앗 살리흐
사이프 앗 딘 샤바안 사이프 앗 딘 하지 바드르 앗 딘 하산 살라흐 앗 딘 살리흐
바흐리 왕조
킵차크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알 말리크 앗 나시르 알 말리크 알 만수르 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 알 말리크 알 만수르
바드르 앗 딘 하산 살라흐 앗 딘 무함마드 자인 앗 딘 샤바안 알라 앗 딘 알리
바흐리 왕조 부르지 왕조 바흐리 왕조 부르지 왕조
킵차크 체르케스인 킵차크 체르케스인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알 말리크 앗 살리흐 알 말리크 앗 자히르 알 말리크 앗 살리흐 알 말리크 앗 자히르
살라흐 앗 딘 하지 사이프 앗 딘 바르쿠크 살라흐 앗 딘 하지 사이프 앗 딘 바르쿠크
부르지 왕조 아바스 왕조
체르케스인 아랍인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알 말리크 앗 나시르 알 말리크 알 만수르 알 말리크 앗 나시르 알 말리크 알 아딜
나시르 앗 딘 파라즈 이즈 앗 딘 압둘 아지즈 나시르 앗 딘 파라즈 알 무스타인 빌라
부르지 왕조
체르케스인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알 말리크 알 무아야드 알 말리크 알 무자파르 알 말리크 앗 자히르 알 말리크 앗 살리흐
샤이크 알 마흐무디 아흐마드 사이프 앗 딘 타타르 앗 나시르 앗 딘 무함마드
부르지 왕조
체르케스인
제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 알 말리크 알 아지즈 알 말리크 앗 자히르 알 말리크 알 만수르
사이프 앗 딘 바르스베이 자말 앗 딘 아부 알 마하신 유수프 사이프 앗 딘 자크마크 파크르 앗 딘 우스만
부르지 왕조
체르케스인 그리스인 체르케스인
제43대 제44대 제45대
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 알 말리크 알 무아야드 알 말리크 앗 자히르
사이프 앗 딘 이날 시하브 앗 딘 아흐마드 사이프 앗 딘 쿠시카담 사이프 앗 딘 빌바이
부르지 왕조
그리스인 체르케스인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알 말리크 앗 자히르 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 알 말리크 앗 나시르 알 말리크 앗 자히르
티무르부가 사이프 앗 딘 카이트베이 무함마드 아부 사이드 칸수
부르지 왕조
체르케스인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 알 말리크 알 아딜 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
아부 앗 나시르 잔발라트 사이프 앗 딘 투만베이 칸수 알 구리 투만베이 2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dth: 50%"
}}}}}}}}}

아랍어 الملك الأشرف صلاح الدين خليل بن قلاوون
알 말리크 알 아슈라프 살라흐 앗 딘 칼릴 이븐 칼라운
생몰년도 ?~1293년 12월 14일
재위 1290년 11월~1293년 12월 14일

1. 개요2. 생애
2.1. 아크레 함락 (1291년)

1. 개요

맘루크 왕조의 8대 술탄. 칼라운의 장남으로, 그는 미완의 아크레 원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남은 십자군 세력을 시리아에서 축출하였다. 그 후로도 킬리키아아르메니아 왕국을 공격했으며 지하드로 쌓은 명성을 이용해 부왕 대의 아미르들을 숙청하며 중앙 집권에 나섰다. 다만 숙청에 반발한 아미르 바이다르와 라긴의 음모로 암살되었다. 이후 바이다르가 술탄을 칭했으나 키트부가와 바이바르스 알 자샨키리가 이끄는 근위대가 그를 살해하고 칼릴의 9살난 동생 앗 나시르 무함마드를 추대하였다.

2. 생애

파일:1793px-ConquistasYCampañasAlAshrafJalil1290-1293.svg.png
칼릴의 원정. 1291년, 아크레 함락 직후 십자군 도시들은 연이어 함락되거나 항복하며 수월히 정복되었다.

칼릴의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1289년 술탄 칼라운이 트리폴리 백국의 트리폴리 원정에 나서며 그에게 카이로의 시타델을 맡긴 것을 보아 1260년대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290년 11월, 이번엔 아크레 원정을 준비하던 칼라운은 출정식 다음날 쓰러졌고 아미르들을 소집해 칼릴에게 충성을 맹세시킨 후 5일 뒤에 사망하였다. 그 다음날 즉위식을 치른 칼릴은 불과 일주일 후 반란을 꾀한 원로 맘루크 후삼 앗 딘 투란타이를 체포해 친히 심문한 후 처형하였다. 그의 측근인 후닌 (샤텔 누프)의 아미르 순쿠르 역시 투옥되었다. 이후 칼릴은 숙청으로 연기되었던 아크레 원정을 준비하였다. 이듬해 1월, 아크레 코뮌과 템플 기사단은 카이로에 사절을 파견하였는데 칼릴은 이들의 접견을 거부하고 감금시켰다. 2월엔 다마스쿠스에 부관 이즈 앗 딘 아이바크 알 아프람을 파견해 아크레 원정에 필요한 공성병기 운반을 일임시켰다.

2.1. 아크레 함락 (1291년)

그리고 3월, 칼라운 영묘에서 출정식을 거행한 후 칼릴은 2만 대군과 카이로를 떠났다. 가자에서 카라크의 바이바르스 알 만수리와 합류한 그는 4월 5일 아크레를 포위하였다. 정규군에 민간 자원자까지 합쳐진 포위군은 무려 6만에 이르렀고, 2km 두께로 도시를 둘러쌌다. 칼릴은 아크레 동남면 성벽에서 불과 300m 떨어진 텔 알 푸카르에 디흘리즈 (술탄의 막사)를 세웠다. 공교롭게도 1191년 당시 기 드 뤼지냥이 진영을 세운 곳이었다. 한편 아크레 측은 민간인들을 키프로스로 보내고 베이루트, 시돈, 티레, 아틀리트 등의 수비대를 차출하였다. 다만 당국과 대립하던 제노바 인들은 칼릴과 따로 조약을 맺고 레반트에서 철수해버렸다. 4월 초엽 하마와 알레포의 병력이 포위에 합류하였고, 이후 십자군이 3차례 습격하였다. 2번째에서 보금품을 빼앗긴 것에 대해 칼릴은 해당 아미르들을 처벌하였고, 십자군과 내통하던 알 파크리는 병을 핑계로 전선을 이탈하였다.

그후 맘루크 측의 갱도 작전이 실패하며 전선은 고착화 되었는데, 알 파크리의 내통을 알게 된 칼릴은 그를 체포하고 그와 친한 다마스쿠스 총독 라긴 역시 사파드에 감금하였다. 5월 초엽, 아크레에 예루살렘 국왕 앙리가 당도하며 십자군의 사기는 올라갔다. 이에 칼릴은 모든 투석기를 동원해 10일간의 폭격을 지시하였고, 3일 째에 템플기사단이 평화를 청하며 사절을 보냈다. 칼릴은 친히 성벽 근처로 나와 이들을 맞이하였고, 참모들의 반대에도 어린 군주 앙리를 배려해 십자군이 재산을 챙겨 철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제안하였다. 하지만 사절단은 본토의 여론을 의식해 그럴 수 없다며 거부, 협상이 결렬되고 그들이 떠나려던 찰나에 성내에서 발사된 투석기의 돌이 바로 옆에 떨어졌다. 분노한 칼릴은 사절단을 죽이려 하였으나 아미르 산자르 알 슈자이가 그들 역시 함께 죽을뻔 했으므로 무고하다고 간하여 그냥 돌려보냈다. 이후 폭격과 갱도 굴착이 재개되었다.

5월 16일, 포위군은 앙리 왕 성탑을 점령하였고 이내 성 안톤 성문을 돌파해 시내에 진입하였다. 하지만 구호기사단의 격렬한 반격으로 물러났고, 성탑을 지켜내는 데에 치중하였다. 다음날, 칼릴은 외성과 내성 사이의 해자를 모든 물자를 동원해 메우게 하였고 총공격을 준비하며 용기를 보이는 자에 대한 보상을 약속하였다. 18일 아침, 칼릴은 친히 전선으로 향해 총공격을 명하였다. 엄청난 북과 나팔 소리와 함께 전면적인 공세가 시작되었다. 무슬림 자원자들과 (죽으면 후손들에게 영구히 세금을 면해주겠다고 약속된) 현지 기독교도들로 구성된 자살 부대가 앞장섰고, 보병과 그리스 불 투척부대, 궁수들, 사다리를 지닌 백병전 부대, 방패부대, 민간 새총부대가 뒤를 따랐다. 동시에 전면 공격으로 십자군 병력이 분산된 틈에 맘루크 군은 중앙으로 집결해 돌파구에 집중 공격을 가하였고, 최후의 보루이던 저주받은 탑을 함락하였다. 기사단장들의 반격은 실패하였다.

이후 북쪽 몽무사르 성벽도 하마 병력에게 돌파되었고 다른 성문들도 돌파되어 맘루크 기병대가 시내에 진입하였다. 아크레는 아비규환으로 변하였고, 약탈 및 학살과 포로 쟁탈전이 벌어졌다. 아크레 지도부는 선박에 올라 탈출하였고, 구호/템플/튜튼 기사단 성채 등 일부 요새화된 거점만이 버텨내었다. 한편 5월 19일, 맘루크 군은 티레에 무혈입성 하였다. 다음날엔 구호/튜튼 기사단 성채가 항복하였다. 이에 4만 주민 중 1만을 수용한 템플 기사단 성채 역시 안전 철수를 대가로 항복을 제안하였고 칼릴은 이를 수용하였다. 하지만 항복을 감독하기 위해 진입한 4백의 맘루크 군이 민간인을 취하려 하자 분쟁이 일어 결국 학살되었고, 다음날 칼릴은 템플기사단 원수 피에르 등의 협상단을 처형하며 포위 공격에 나섰다. 일주일 후, 성채가 함락되어 2백의 맘루크 군이 진입하였다. 혼전이 와중에 무게를 견디지 못한 갱도가 성벽과 함께 붕괴하며 그들은 기사들과 함께 모두 매몰되었다.

템플기사단 성채의 함락과 함께 아크레는 정복되었다. 성채의 생존자들 중 몸값을 받아낼 만한 이들을 제외한 성인 남성들은 학살되었고 나머지는 노예가 되었다. 6월 7일, 칼릴은 다시 요새화되지 못하도록 파괴된 아크레를 떠나 다마스쿠스에 개선하였다. 사슬에 묶인 280명의 포로와 거꾸로 게양된 십자군 문장들과 함께 가두 행진을 벌인 그에 대해 종교를 막론한 시민들이 나와 환영하였다. 한편 아미르 슈자이는 잔여 템플기사단이 결집한 시돈을 포위하였다. 소수였던 기사단은 시가지를 포기하고 해상 성채로 철수했는데, 포위 끝에 맘루크 군이 연결 통로를 완공하자 7월 14일 성채를 포기하고 타르투스로 철수하였다. 슈자이는 시돈 성벽을 파괴하고 일주일 후 베이루트를 포위하였다. 그는 협상을 청한다며 시내 지도부를 소환하였고, 그들이 나타나자 체포하였다. 이후 수비대가 키프로스로 떠났고, 7월 31일 도시는 점령되었다. 이벨린 성채는 파괴되고 대성당은 모스크로 바뀌었다.

한편 칼릴 역시 다마스쿠스에서 이집트로 향하는 도중인 7월 30일 버려진 하이파를 장악하고 카르멜 산의 수도원을 파괴하였다. 8월 3일엔 타르투스의 템플 기사단이 도시를 버리고 키프로스로 철수하였다. 그리고 다음날 아틀리트의 템플기사단 역시 철수하며 예루살렘 왕국은 소멸하였다. 8월 7일, 칼릴은 아크레의 생 앙드레 대성당의 문짝과 함께 카이로에 개선하였다. 대문은 후에 앗 나시르 무함마드 마드라사의 문으로 재활용되었고, 7개월 전 감금되었던 십자군 사절단은 석방되었다. 마침내 1291년 8월, 200년간 이어진 십자군의 시리아 점유는 종식되었다. 오직 타르투스 앞바다의 루아드 섬만이 그들의 수중에 있었다. 칼릴은 자신의 롤모델이던 살라흐 앗 딘라캅을 취하였는데, 그가 빼앗긴 아크레를 한세가 만에 되찾고 시리아 전체를 지배하게 되었다. 즉위 후 왕성한 활동을 보이던 칼릴은 남은 해를 카이로에서 조용히 보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