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20:06:04

안윤가넨시스리코리스구라미

안윤가넨시스리코리스구라미
Parosphromenus anjunganensis
파일:anjunganensis.jpg
학명 Parosphromenus anjunganensis
Kottelat, 1991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조기어강 Actinopterygii
등목어목 Anabantiformes
버들붕어과 Osphronemidae
아과 버들붕어아과 Macropodusinae
리코리스구라미속 Parosphromenus
안윤가넨시스리코리스구라미 P. anjunganensi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위기.svg

1. 개요2. 분류3. 서식지4. 여담

1. 개요

등목어목 버들붕어과 리코리스구라미속에 속하는 리코리스구라미의 일종. 종의 학명인 안윤가넨시스는 해당 종이 발견된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의 지명인 Anjungan에서 따와 붙여진 이름이다.

2019년 1월 13일,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에 EN(위기) 등급으로 이름을 올렸다.# 대규모 플랜테이션 농업을 위한 농지 확보, 그리고 목재 및 펄프 생산을 위한 벌목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가 주된 원인이다.[1][2]

2. 분류

리코리스구라미의 그룹들 중 안윤가넨시스 그룹이라고 불리는 C3그룹의 대표종이자 유일종. 현재 1종만이 존재하는 그룹이지만 리코리스구라미는 꾸준히 새로운 종이 발견되기에 추후에 추가될 여지가 존재한다.

3. 서식지

카푸아스강 수계에 분포하는데 오르나티카우다리코리스구라미와 그 서식지를 공유한다. 모식 산지는 Kepayang강으로 Anjungan에서 폰티아낙 방향으로 7km 정도 이동하면 나오는 지점이다.

서식 환경은 이탄 습지 숲 및 그에 연결된 수계이며 pH가 낮고 진한 블랙워터 흐르거나 고여있는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pH는 3.0~4.0 정도이며, 수온은 27~28°C 정도다. 서식지 위로는 나무들의 가지가 무성하여 아래까지는 빛이 거의 닿지 않을 정도이다.

4. 여담

  • 종종 안윤가넨시스로 유통되는 리코리스구라미 중에서 배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 등에 푸른색이 나타나는 개체들이 발견된다. 해당 개체들이 단순 변이인지 전혀 다른 새로운 종에 해당하는지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가 없으나 일각에서는 해당 개체군을 안윤가넨시스가 아닌 것으로 보기도 하며 추후 연구가 지속되면 다른 종으로 분리될 가능성도 있다.

[1] 참고로 안윤가넨시스를 포함한 리코리스구라미의 경우 관상어로도 일부 개체들이 유통이 되지만 기본적으로 그 수요가 많지 않아 남획이 주된 위협 원인이 되지 않는다. 실제로 CITES에는 리코리스구라미 종류 중 등재된 종이 없는데 이는 CITES 자체가 국내에서 알려진 것과 다르게 멸종 위기 생물의 야생개체를 남획과 같은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며 무역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무역 수요 자체가 적은 리코리스구라미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CITES를 지정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현지에서 농장이 건설되는 것을 막는 것이 더 시급한 일이다.[2] 리코리스구라미의 존속을 위협하는 대부분의 원인은 앞서 말한대로 팜유카카오 등을 재배하기 위한 대규모 농장 건설을 위해 파괴가 주된 원인인데 사실 리코리스 구라미 자체가 종에 따라 국지적으로 서식하기도 하고 플랜테이션 농업에 사용되는 농지 자체가 워낙 규모가 큰 편이라 특정 개체들의 서식지가 농지로 바뀌게 되면 하루 아침에 멸종 혹은 그에 준하는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