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호쿠 지방의 국회의원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e2b832"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이와테현 선거구 | 미야기현 선거구 | |
2028년 개선 | ||||
다나부 마사요 | 기도구치 에이지 | 사쿠라이 미쓰루 | ||
2031년 개선 | ||||
후쿠시 마스미 | 요코사와 다카노리 | 이시가키 노리코 | ||
아키타현 선거구 | 야마가타현 선거구 | 후쿠시마현 선거구 | ||
2028년 개선 | ||||
이시이 히로오 | 후나야마 야스에 | 호시 호쿠토 | ||
2031년 개선 | ||||
테라다 시즈카 | 하가 미치야 | 모리 마사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e2b832"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오모리 1구 | 아오모리 2구 | 아오모리 3구 | 이와테 1구 | 이와테 2구 |
쓰시마 준 | 간다 준이치 | 오카다 하나코 | 시나 다케시 | 스즈키 슌이치 | |
이와테 3구 | 미야기 1구 | 미야기 2구 | 미야기 3구 | 미야기 4구 | |
오자와 이치로 | 오카모토 아키코 | 가마타 사유리 | 야나기사와 쓰요시 | 아즈미 준 | |
미야기 5구 | 아키타 1구 | 아키타 2구 | 아키타 3구 | 야마가타 1구 | |
오노데라 이쓰노리 | 도가시 히로유키 | 미도리카와 다카시 | 무라오카 도시히데 | 엔도 도시아키 | |
야마가타 2구 | 야마가타 3구 | 후쿠시마 1구 | 후쿠시마 2구 | 후쿠시마 3구 | |
스즈키 노리카즈 | 가토 아유코 | 가네코 에미 | 겐바 고이치로 | 오구마 신지 | |
후쿠시마 4구 | |||||
사카모토 류타로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에토 아키노리 | 하라다 마사히로 | 모리시타 치사토 | 테라다 마나부 | 기쿠치 다이지로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비례 9 | 비례 10 | |
후쿠하라 준지 | 쇼지 겐이치 | 마스타 세키오 |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 사와라 와카코 | |
비례 11 | 비례 12 | ||||
사이토 유키 | 네모토 다쿠 | ||||
※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 |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4c234c><tablebgcolor=#4c234c> | 아오모리현 선거구 青森県選挙区 | }}} | |||
| ||||||
<colbgcolor=#4c234c><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1,038,137명 (2024) | |||||
구성 행정구역 | 아오모리현 | |||||
의원정수 | 2인 | |||||
국회의원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8 개선 | ||||
| 다나부 마사요 | |||||
2031 개선 | ||||||
| 후쿠시 마스미 |
1. 개요2. 상세3. 현재 국회의원4. 역대 국회의원5. 역대 선거 결과
5.1.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2. 제1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3.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보궐선거5.4. 제1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5.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6. 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7. 제1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8.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9.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10.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11.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12.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13.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14.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5.15.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 개요
아오모리현 전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의 선거구이다. 유권자 수는 약 110만 명이다. 정수는 2인이며, 3년마다 1인씩 번갈아가며 선출하는데, 이는 1947년의 제1회 선거부터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2. 상세
농촌 지역 특성상 1회 선거 부터 전통적인 자민당 강세 지역이었지만, 1989년 참의원 선거에서 혁신계 후보가 처음으로 당선된것을 시작으로 야권세가 점점 상승했다.결정적으로 1998년 참의원 선거에서 야권으로 터를 옮긴 다나부 마사미 농림수산대신의 개인기로 경합지의 면모가 강해졌으며, 마사미의 뒤를 이어 선거구를 세습한 다나부 마사요 의원도 가문의 힘과 개인기로 야당이 선거에서 전국적으로 참패할때 지역구를 계속해서 사수하는데 성공했다.
최근에는 도호쿠 지방의 높아지는 혁신세에 맞춰 입헌민주당의 지지율이 올라가고 있다.
3. 현재 국회의원
2028년 개선 | [[입헌민주당| 입헌 ]] 다나부 마사요(田名部匡代) |
2031년 개선 | [[입헌민주당| 입헌 ]] 후쿠시 마스미(福士珠美) |
4. 역대 국회의원
| ||
연도(회차) | 의원명 | 소속 정당 |
1947(1회)[1] | ||
사토 나오타케[상] | | |
히라누마 젠지로[하] | | |
1950(2회) | 쿠도 테츠오 | |
1953(3회) | 사토 나오타케 | |
1953(2회 보궐)[4] | 사사모리 준조 | |
1956(4회) | | |
1959(5회) | 사토 나오타케 | |
1962(6회) | 사사모리 준조 | |
1965(7회) | 츠시마 분지[5] | |
1968(8회) | 야마자키 타츠오 | |
1971(9회) | 츠시마 분지 | |
1973(9회 보궐)[6] | 이와시타 이와조 | |
1974(10회) | 야마자키 타츠오 | |
1977(11회) | 이와시타 이와조 | |
1980(11회 보궐)[7] | 마쓰오 간페이 | |
1980(12회) | 야마자키 타츠오 | |
1983(13회) | 마쓰오 간페이 | |
1986(14회) | 야마자키 타츠오 | |
1989(15회) | 미카미 타카오 | |
1991(14회 보궐)[8] | 마쓰오 간페이 | ''' 국민회의 ''' |
1992(16회) | | |
1995(17회) | 야마자키 쓰토무 | |
1998(18회) | 다나부 마사미 | |
2001(19회) | 야마자키 쓰토무 | |
2004(20회) | 다나부 마사미 | |
2007(21회) | 히라야마 고지 | |
2010(22회) | 야마자키 쓰토무 | |
2013(23회) | 다키사와 모토메 | |
2016(24회) | 다나부 마사요 | |
2019(25회) | 다키사와 모토메 | |
2022(26회) | 다나부 마사요 | |
2025(27회) | 후쿠시 마스미 |
5. 역대 선거 결과
5.1.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無 | 야마자키 타츠오 (山崎竜男) | 309,178표 | 1위 |
| 39.42% | 당선 | |
| 와키카와 토시카츠 (脇川利勝) | 272,713표 | 2위 |
| 34.77% | 낙선 | |
| 사가와 레이사부로 (佐川礼三郎) | 155,723표 | 3위 |
| 19.86% | 낙선 | |
| 호리 유키미츠 (堀幸光) | 46,609표 | 4위 |
5.94%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784,223표 | 투표율 74.32%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111,165인 |
5.2. 제1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無 | 미카미 타카오 (三上隆雄) | 353,892표 | 1위 |
[9] | 52.20% | 당선 | |
無 | 마츠오 칸페이 (松尾官平) | 177,516표 | 2위 |
| 26.18% | 낙선 | |
| 타카하시 쵸지로 (高橋長次郎) | 98,080표 | 3위 |
| 14.47% | 낙선 | |
| 호리 유키미츠 (堀幸光) | 28,985표 | 4위 |
4.28% | 낙선 | ||
諸派 | 타카다 료코 (高田亮子) | 19,490표 | 5위 |
''' 녹색당 ''' | 2.87%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678,963표 | 투표율 61.45%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126,981인 |
5.3.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보궐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自 | 마츠오 칸페이 (松尾官平) | 240,129표 | 1위 |
''' 국민회의 '''[10] | 50.01% | 당선 | |
農 | 쿠보 세이이치 (久保晴一) | 197,598표 | 2위 |
''' 아오모리 농업자 정치연맹 '''[사회] | 41.15% | 낙선 | |
| 타카하시 치즈코 (高橋千鶴子) | 42,454표 | 3위 |
8.84%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480,181표 | 투표율 43.02% |
5.4. 제1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마츠오 칸페이 (松尾官平) | 263,540표 | 1위 |
| 54.72% | 당선 | |
無 | 쿠사와케 후미오 (草創文男) | 151,488표 | 2위 |
[사회] | 31.46% | 낙선 | |
| 타카하시 치즈코 (高橋千鶴子) | 66,557표 | 3위 |
13.82%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481,585표 | 투표율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5.5.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야마자키 츠토무 (山崎力) | 176,259표 | 1위 |
| 33.57% | 당선 | |
| 나루미 히로미치 (鳴海広道) | 173,393표 | 2위 |
| 33.03% | 낙선 | |
無 | 미카미 타카오 (三上隆雄) | 102,770표 | 3위 |
[사회] | 19.58% | 낙선 | |
| 타카하시 치즈코 (高橋千鶴子) | 40,026표 | 4위 |
7.62% | 낙선 | ||
無 | 타키사와 모토메 (滝沢求) | 32,532표 | 5위 |
| 6.20%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525,980표 | 투표율 46.1%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159,797인 |
5.6. 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無 | 다나부 마사미 (田名部匡省) | 340,515표 | 1위 |
[14][15] | 46.68% | 당선 | |
| 카네이리 아키요시 (金入明義) | 262,631표 | 2위 |
| 36.00% | 낙선 | |
| 타카하시 치즈코 (高橋千鶴子) | 67,992표 | 3위 |
9.32% | 낙선 | ||
無 | 나루미 키요히코 (鳴海清彦) | 51,845표 | 4위 |
[16] | 7.11% | 낙선 | |
| 사이토 케이코 (斉藤恵子) | 6,512표 | 5위 |
자유연합 | 0.89%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729,495표 | 투표율 63.07%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177,037인 |
5.7. 제1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야마자키 츠토무 (山崎力) | 314,899표 | 1위 |
[공1] | 53.70% | 당선 | |
無 | 사사키 히데시게 (佐々木秀茂) | 110,814표 | 2위 |
[18] | 18.90% | 낙선 | |
無 | 모리우치 이사무 (森内勇) | 110,011표 | 3위 |
| 18.76% | 낙선 | |
| 다카야나기 히로아키 (高柳博明) | 35,272표 | 4위 |
6.02% | 낙선 | ||
| 무라타 쿄코 (村田恭子) | 15,368표 | 5위 |
자유연합 | 2.62%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586,364표 | 투표율 51.0%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193,402인 |
5.8.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타나부 마사미 (田名部匡省) | 297,116표 | 1위 |
| 47.50% | 당선 | |
| 나라 히데노리 (奈良秀則) | 252,604표 | 2위 |
[공1] | 40.39% | 낙선 | |
| 다카야나기 히로아키 (高柳博明) | 38,936표 | 3위 |
6.22% | 낙선 | ||
| 이노우에 히로시 (井上浩) | 36,832표 | 4위 |
| 5.89%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625,488표 | 투표율 53.91%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193,593인 |
5.9.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히라야마 고지 (平山幸司) | 305,642표 | 1위 |
[20] | 49.00% | 당선 | |
| 야마자키 츠토무 (山崎力) | 248,782표 | 2위 |
[공1] | 39.88% | 낙선 | |
| 와타나베 히데히코 (渡辺英彦) | 37,370표 | 3위 |
| 5.99% | 낙선 | |
| 다카야나기 히로아키 (高柳博明) | 32,014표 | 4위 |
5.1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623,808표 | 투표율 53.88%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180,500인 |
5.10.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야마자키 츠토무 (山崎力) | 287,385표 | 1위 |
[공1] | 46.79% | 당선 | |
| 하타노 리나 (波多野里奈) | 222,875표 | 2위 |
[23] | 36.29% | 낙선 | |
| 마스다 세키오 (升田世喜男) | 49,102표 | 3위 |
| 7.99% | 낙선 | |
| 요시마타 히로시 (吉俣洋) | 31,040표 | 4위 |
5.05% | 낙선 | ||
| 야마다 키요히코 (山田清彦) | 23,803표 | 6위 |
| 3.88%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614,205표 | 투표율 54.55%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159,140인 |
5.11.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다키사와 모토메 (滝沢求) | 261,575표 | 1위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공명1] | 51.33% | 당선 | |
| 히라야마 고지 (平山幸司) | 76,432표 | 2위 |
[사] | 15.00% | 낙선 | |
| 하타노 리나 (波多野里奈) | 63,528표 | 3위 |
| 12.47% | 낙선 | |
無 | 쿠도 신 (工藤信) | 53,062표 | 4위 |
[26] | 10.41% | 낙선 | |
| 요시마타 히로시 (吉俣洋) | 48,290표 | 5위 |
9.48% | 낙선 | ||
| 이시다 아키히로 (石田昭弘) | 6,659표 | 6위 |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 1.31%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509,546표 | 투표율 46.25%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145,833인 |
5.12.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다나부 마사요 (田名部匡代) | 302,867표 | 1위 |
[27] | 49.19% | 당선 | |
| 야마자키 쓰토무 (山崎力) | 294,815표 | 2위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공명1] | 47.88% | 낙선 | |
| 미쿠니 유키 (三國佑貴) | 18,071표 | 3위 |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 2.9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615,753표 | 투표율 55.31%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140,629인 |
5.13.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다키사와 모토메 (滝沢求) | 239,757표 | 1위 |
[공명] | 51.49% | 당선 | |
| 오다기리 토오루 (小田切達) | 206,582표 | 2위 |
[사] | 44.36% | 낙선 | |
| 코야마 히다코 (小山日奈子) | 19,310표 | 3위 |
| 4.15%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465,649표 | 투표율 42.94%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109,104인 |
5.14.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다나부 마사요 (田名部匡代) | 277,009표 | 1위 |
[사] | 53.45% | 당선 | |
| 사이토 나오히토 (齊藤直飛人) | 216,265표 | 2위 |
[공명] | 41.73% | 낙선 | |
| 츄조 에이타로 (中条栄太郎) | 13,607표 | 3위 |
[[참정당| 참정당 ]] | 2.63% | 낙선 | |
| 사사키 아키라 (佐々木晃) | 11,335표 | 4위 |
| 2.19%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531,101표 | 투표율 49.49%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073,060인 |
여당 자유민주당에서는 스모 선수 출신으로 아오모리현의회 의원을 지낸 사이토 나오히로 후보를 공천했다. 연립 여당인 공명당에서는 사이토 후보를 추천했다.
제1야당 입헌민주당에서는 지역구 현역 참의원인 다나부 마사요 참의원을 재차 공천했다. 6년전과 마찬가지로 사민당의 추천을 얻어냈지만 작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패배 이후 민공 공투 기조가 약화되면서 공산당에서는 이번에는 별도로 다나부 후보를 추천하거나 지지하지 않았다.
그외 NHK당에서는 자영업자 사사키 아키라 후보를, 참정당에서는 부동산 회사 사장인 츄조 에이타로 후보를 각각 공천했다.
선거 과정에서 1인 선거구 중 유일하게 일찍부터 야당 우세 선거구로 분류되었고, 선거 유세 과정에서 아베 신조 피살 사건이 터지면서 보수 표심 결집이 일어났음에도 개표 결과 11.72%p 차라는 넉넉한 차이로 입헌민주당의 다나부 후보가 자민당 사이토 후보에게 승리를 거뒀다.[33]
당선에 환호하는 다나부 마사요 후보 |
입헌민주당이 부진한 상황에서 다나부 후보가 선전한 이유는 지역 내 막강한 기반과 상대 후보의 지역기반이라고 보여진다.[34]
입헌민주당이 승리한 단 둘뿐인 1인 선거구 중 한 곳이자[35], 야당 전체로 봤을때 야당이 승리한 4개의 1인 선거구 중 하나다.
패배한 사이토 후보는 이후 2023년 현의원 선거에서 다시 출마를 하였으나 자신의 사직 후 보궐선거로 당선된 현직에게 약 30% 차이로 패배하였으며 이후 정치 은퇴를 선언하였다.
5.15.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아오모리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후쿠시 마스미 (福士珠美) | 214,613표 | 1위 |
[사] | 39.39% | 당선 | |
| 다키사와 모토메 (滝沢求) | 197,966표 | 2위 |
[공명] | 36.34% | 낙선 | |
| 카토 츠토무 (加藤勉) | 91,083표 | 3위 |
[[참정당| 참정당 ]] | 16.72% | 낙선 | |
| 오기노 유코 (荻野優子) | 32,317표 | 4위 |
5.93% | 낙선 | ||
| 사사키 아키라 (佐々木晃) | 8,837표 | 5위 |
NHK당 | 1.62%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544,816표 | 투표율 54.22%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1,028,060인 |
[1] 제1회 일본 참원선은 당시 선거법에 따라 상위 당선자와 하위 당선자 두 그룹으로 각 1명(2인 선거구는 2명, 2인 이상 선거구는 3~4명)씩 나눠 상위 당선자의 임기를 6년, 하위 당선자의 임기를 3년으로 지정하고 선거를 진행하였다.[상] 상위 당선자[하] 하위 당선자[4] 쿠도 테츠오 의원이 임기 중인 1953년 6월 16일 사망.[5] 소설가 다자이 오사무의 형이자 전 후생대신 츠시마 유지의 작은아버지.[6] 츠시마 분지 의원이 임기 중인 1973년 5월 6일 사망.[7] 이와시타 이와조 의원이 임기 중인 1980년 4월 19일 사망.[8] 자민당 야마자키 타츠오 의원이 아오모리현지사 출마를 위해 참의원을 사퇴했다. 하지만 현직 지사였던 키타무라 마사야에게 밀려 낙선한뒤 정계에서 은퇴하였다.[9] '''
추천[10] 추천:
[사회] 추천:
[사회] 추천:
[사회] 추천:
[14] 추천: 아오모리현민협회[15]
· 지원[16] 추천:
[공1] 추천: [18] 지원:
·
[공1] 추천: [20] 추천: [공1] 추천: [공1] 추천[23] 추천[공명1] 추천[사]
추천[26]
추천[27]
추천, ,
지지[공명1] 추천[공명] 추천[사]
추천[사]
추천[공명] 추천[33] 특히 다나부 후보는 저번 선거에서 완전히 이기지 못한 아오모리현 3대 도시인 아오모리시, 하치노헤시, 히로사키시에서 적게는 7% 많게는 38%의 격차로 승기를 잡았다.[34] 다나부 후보의 경우에는 미야자와 내각, 미야자와 개조내각에서 농림수산대신을 지낸 부친 다나부 마사미의 영향력이 지금까지도 적용하고 있다. 또한 현에서도 2번째로 큰 도시인 하치노헤시의 기반이 있는 다나부 후보와 달리 사이토 후보는 인구 1만 2천명의 이타야나기정 출신이라는 점도 있다.[35] 나머지 한 곳은 나가노현 선거구다.[사]
추천[공명] 추천
아오모리 농업자 정치연맹
'''·추천[10] 추천:
[사회] 추천:
[사회] 추천:
[사회] 추천:
[14] 추천: 아오모리현민협회[15]
· 지원[16] 추천:
[공1] 추천: [18] 지원:
·
[공1] 추천: [20] 추천: [공1] 추천: [공1] 추천[23] 추천[공명1] 추천[사]
추천[26]
추천[27]
추천, ,
지지[공명1] 추천[공명] 추천[사]
추천[사]
추천[공명] 추천[33] 특히 다나부 후보는 저번 선거에서 완전히 이기지 못한 아오모리현 3대 도시인 아오모리시, 하치노헤시, 히로사키시에서 적게는 7% 많게는 38%의 격차로 승기를 잡았다.[34] 다나부 후보의 경우에는 미야자와 내각, 미야자와 개조내각에서 농림수산대신을 지낸 부친 다나부 마사미의 영향력이 지금까지도 적용하고 있다. 또한 현에서도 2번째로 큰 도시인 하치노헤시의 기반이 있는 다나부 후보와 달리 사이토 후보는 인구 1만 2천명의 이타야나기정 출신이라는 점도 있다.[35] 나머지 한 곳은 나가노현 선거구다.[사]
추천[공명]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