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0 21:18:33

아르트로프테리기우스

아르트로프테리기우스
Arthropterygius
학명 Arthropterygius
Maxwell, 2010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계통군 석형류 Sauropsida
어룡목 Icthyosauria
†오프탈모사우루스과 Opthalmosauridae
아르트로프테리기우스속 Arthropterygius
  • †아르트로프테리기우스 크리소룸(A. chrisorum)모식종
    Maxwell, 2010
  • †아르트로프테리기우스 볼겐시스(A. volgensis)
    Kasansky, 1903
  • †아르트로프테리기우스 호이베르게티?(A. hoybergeti?)
    Druckenmiller et al., 2013
  • †아르트로프테리기우스 룬디(A. lundi)
    Roberts et al., 2014
  • †아르트로프테리기우스 탈라소노투스(A. thalassonotus)
    Campos et al., 2019

1. 개요2. 연구사3. 관련 문서


1. 개요

쥐라기 후기 킴머리지절인 1억 5500만 년 전부터 백악기 전기 베리안절인 1억 4000만 년 전까지 살았던 어룡. 속명의 뜻은 '관절로 된 지느러미'.

2. 연구사

화석은 캐나다, 노르웨이, 러시아,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되었다. 1993년 캐나다 북서부의 준주 멜빌 섬에서 처음 화석이 발견되었고 처음에는 오프탈모사우루스의 한 종으로 인식돼 '오프탈모사우루스 크리소룸(Opthalmosaurus chrisorum)'으로 명명되었으나 2010년 에린 E. 맥스웰이 새로운 속이라는 것을 알고 지금의 속명을 부여했다. 반경골과 척골, 상완골 사이에 매우 각진 관절을 포함한 여러 가지 특징들로 오프탈모사우루스와 구별된다. 캐나다와 북극에서 발견된 어룡들 중 가장 완벽한 보존율을 자랑하며 최근 연구 결과 오프탈모사우루스과의 기저 분류군임이 밝혀졌다. 북반구의 고위도 지역과 아르헨티나의 고립된 지역에서 모두 화석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분포 범위가 넓었을 것으로 보인다.

부분적으로 보존된 표본 PMO 222.655는 동시대에 살았던 운도로사우루스(Undorosaurus)와 비교해 3.8~4.3m로 추정된다.[1] 모든 종이 몸길이 3~5m로 비교적 큰 어룡이었다.

3. 관련 문서


[1] 이 표본은 상완골의 볼록한 머리 부분과 상완골 몸통 부분의 매끄러운 질감으로 보아 사망 당시 성체이거나 준성체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