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3 13:28:59

아랍에미리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파일:아시아 럭비 고화질.png아시아 럭비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
파일:괌 기.svg <colbgcolor=#fff> 괌 파일:네팔 국기.svg <colbgcolor=#fff> 네팔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colbgcolor=#fff>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olbgcolor=#fff> 대한민국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 밑줄 : 월드 럭비 비회원국 (8개국)
파일:아시아 럭비 고화질.png 아시아파일:럭비 아프리카.png 아프리카파일:럭비 아메리카스 노스.png 북아메리카파일:수드아메리카 럭비 로고(신).png 남아메리카파일:오세아니아 럭비.png 오세아니아파일:럭비유럽.png 유럽
}}}}}}}}} ||

파일:ARC 로고(2022).png
아시아 럭비 챔피언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대한럭비협회 CI.png
파일:스리랑카 럭비팀.png
스리랑카
파일:아랍에미리트 럭비팀.png
파일:Logo_Hong_Kong_China_Rugby_2023.png
}}}}}}}}} ||
파일:아랍에미리트 럭비팀.png
아랍에미리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United Arab Emirates national rugby union team
소속단체 아랍에미리트 럭비 연맹
감독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자크 베나드 (Jacques Benade)
주장 매튜 밀스 (Matthew Mills)
홈 경기장 더 세븐스 스타디움 (The Sevens Stadium)
첫 국제경기 vs 스리랑카 (13:13)2011년 4월 23일
최대 승리 vs 태국 (70:18)2016년 5월 21일
최대 패배 vs 일본 (0:111)2011년 5월 13일
럭비 월드컵 없음
세계 랭킹 최고 39위(2025) / 최저 97위(2013)
역대 전적 39전 14승 1무 24패(35.9%)

1. 개요2. 역대 감독3. 역대 전적
3.1. 주요 대회 성적3.2. 국가별 상대전적
4. 선수단

1. 개요

아랍에미리트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아랍 연맹 대표팀이 2010년 해체된 이후 구성국 중에서 처음으로 재창설된 팀이다. 창단 후 2018년까지 정체기를 갖다가 2019년 아시아 럭비 디비전 2 우승, 2023년 디비전 1 우승에 이어 현재는 대한민국을 넘어 홍콩 다음 가는 아시아 3인자로 자리매김할 정도로 엄청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 역대 감독

<rowcolor=#000> 이름 기간
<colbgcolor=#fff><colcolor=#000>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브루스 버트위슬 2011
파일:호주 국기.svg 던컨 홀 주니어 2012~2013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룰로프 코체 2014~2015
파일:사모아 국기.svg 아폴로 페렐리니 2015~2023
||<tablebordercolor=#999><rowbgcolor=#999><rowcolor=#000> 이름 || 기간 || 총전적 || || || || 승률 ||

3. 역대 전적

2027 남자 럭비 월드컵 호주 아시아/아프리카 플레이오프 이후를 기준으로 한다. 출처

3.1.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rowcolor=#fff> 연도 개최국 최종 순위 비고
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예선 탈락
20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예선 탈락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불참 코로나19
202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예선 탈락 아시아/아프리카 2위
아시안 파이브 네이션스 (2011 ~ 2014)
<rowcolor=#fff> 주요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7회 28전 28승 100%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28전 15승 13패 53.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4전[1] 13승 11패 54.2%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12전 2승 1무 9패 16.7%
아시아 럭비 챔피언십 (2015 ~)
<rowcolor=#fff>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6회 29전 25승 1무 6패 86.2%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 3회 12전 11승 1무 9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0전 9승 21패 3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6전 4승 2패 66.7%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14전 14패 0%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3전 3패 0%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아시안 파이브 네이션스에 참가했으며, 2014년부터 디비전 대회를 전전하다 2024년 11년만에 챔피언십으로 승격해 참가했다. 여기서 한국을 꺾고 2위를 차지해 충격을 안겨 줬고, 이어서 2025 아시아 럭비 챔피언십에서도 2위를 하며 2027 럭비 월드컵 아시아 예선을 통과했다. 2024년도엔 대한민국이 두바이로 원정을 떠나 39도의 날씨에서 사투 끝에 2점 차이로 패배했는데, 2025년엔 홈에서 2점 차이로 패배하여 확실하게 순위가 뒤집혔음을 인증했다.

3.2.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000> 상대국 총전적 승률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6전 6패 0%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전 3패 0%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2전 2패 0%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2전 2패 0%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1전 1패 0%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1전 1패 0%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전 1패 0%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1전 1패 0%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1전 1패 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1전 1패 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3전 1승 2패 33.3%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3전 1승 1무 1패 3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4전 2승 2패 50%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1전 1승 100%
파일:괌 기.svg 1전 1승 10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1전 1승 100%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2전 2승 100%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2전 2승 100%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3전 3승 100%

4. 선수단

2025 아시아 럭비 챔피언십에 소집된 선수들을 보면 거의 모두 국내 클럽에서 활동하고 있는데, 두세명 정도 잉글랜드 2~5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인종으로 보면 남아공 출신이 많으며, 그 다음으로 영국계와 태평양 섬나라 출신들로 채워져 있다. 홍콩과 마찬가지로 순수 자국인(아랍인)은 극소수.
[1] 2011시즌 강등. 하지만 필리핀과 싱가포르에 승리하여 한 시즌만에 복귀한다.[2] 2017년을 끝으로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