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08 04:01:25

심마니(웹사이트)

파일:심마니 로고.gif

1996년 3월 20일#한글과컴퓨터에서 개발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 및 검색 엔진이다.[2] 대한민국 최초의 상업화된 검색 엔진, 즉, 이익을 위해 운영을 시작한 검색 엔진이다. 1996년 10월부터 배너 광고를 달기 시작한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설립 후 얼마 안 돼 코시크를 제치고 1996년 후반부터 1997년까지 대한민국 1등 포털 사이트이자 검색 엔진의 자리를 차지했다. 하지만 이때도 각종 유지비는 엄청났는데 광고 계약도 쉽게 못 따는 등 수입원은 마땅치 않아서 수익은 신통치 않았다고 한다.

이후 1등의 자리에 오른지 1년도 안 돼 야후! 코리아에게 1등의 자리를 내주고 밑으로는 다음, 라이코스코리아, 엠파스 등 다른 인터넷 포털 사이트들이 치고 올라와서[3] 90년대 후반부터 주요 포털 사이트의 자리를 위협받기 시작하고#1#2, 2002년에 법인이 데이콤멀티미디어인터넷(현 미디어로그)으로 합병된 후 통합해서 사이트가 없어질 때까지 쭉 하락세가 이어진다. 참고로 합병되기 직전인 2002년 8월의 심마니의 목표가 흑자 경영(...). 야후! 코리아가 2012년에 철수할 때까지 15년 연속으로 흑자가 난 것과는 많이 비교되는 모습을 보였다.

2000년 7월에 한글과컴퓨터가 다시 출범시킨 포털 서비스인 네띠앙과 함께 유럽 법인을 세우고 9월에 '희마니(www.simmani.com.cn)'라는 이름으로 중국에 진출한 것도 국내 시장에서의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였다고 한다.# 해외 진출 이외에도 2000년 11월에 유료 콘텐츠 서비스를 시도#하여 광고 위주의 수익 구조에 변화를 꾀하기도 했지만, 당시 인터넷 상에서 저작권이 어떤 취급을 받았는지 생각했을 때 의도는 좋았으나 현실은 시궁창인 시도로 끝난 듯하다. 그래도 기업용 검색 시장에서는 2000년에 국내 점유율 13%를 차지하는 등# 웹 검색 분야보다는 잘 나간 듯하다.

1998년에 천리안을 운영하던 데이콤에 인수되었다. LG계열사에 인수되어서인지 1998년 이후에는 다른 LG계열사들과 공동으로 사업을 이것저것 벌이는 모습을 보인다. LG카드에서 심마니의 유료 콘텐츠와 쇼핑몰을 이용할 때 혜택을 주는 '심마니 LG카드'를 발매하거나 2000년에 LG텔레콤과 공동으로 휴대전화를 위한 무선 인터넷 검색엔진을 개발하는 것. 이 이러한 움직임의 예시 중 하나이다.

2008년 10월에 사이트가 다시 부활하였다. 링크가이드라고 하여 원하는 목적의 사이트를 쉽게 찾아간다는 컨셉인 것 같은데, ...아무래도 광고 사이트에 가까운 느낌. 링크로 연결한 웹페이지 중 사라지거나 없어진 홈페이지(파란, 하나포스, 메가패스 등)가 상당히 많다. 미디어로그가 만들기만 하고 관리는 거의 안 하는 듯하다.

2020년 6월 기준 사이트는 아직 살아있지만 검색 엔진의 기능은 포기한 듯 하고 다른 사이트들을 연결해주는 랜딩 페이지(?)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른 사이트 바로가기 중 파란 등 서비스 종료한 사이트도 있다. 메인 화면의 인터넷 뉴스도 2015년 경에 시간이 멈춰있다.[4] 다만 메인 화면에 한해서이고, 클릭하면 언론사별 실시간 업데이트되고 있는 뉴스가 보인다.

2023년 1월 초 기준 접속 시 긴 로딩 후 접속 불가가 뜬다. 사실상 폐쇄 상태이다.

1. 여담

  • 1999년에 심마니가 자사의 검색어를 분석하여 그 해의 인기 검색어 10개를 발표한 적이 있다. 1등은 채팅이고, 3등은 게임인데, 2등이 섹스. 거기에 야설포르노가 각각 인기 검색어 5등과 8등이라는 다소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게다가 인기 검색어 6등이 최대 경쟁사인 야후다.
  • 1999년에 인터넷 가이드북인 '심마니 라이프'를 창간, 2002년까지 발행한 적이 있다. #
  • 심파일은 원래 여기서 시작되었다. 이후 2014년 LG U+에게 넘어갔다가 2016년 12월 31일 서비스가 종료됐다. # 이로 인해 약 20년간 보존되어온 소프트웨어들, 특히 해외사이트에서도 잘 안 나오는 CPU-Z 구형이라던가 Windows Media Player, Internet Explorer, DirectX 한글판 같은 소프트웨어가 통째로 사라졌다. 참고로 네이버다음과 제휴하여 운영했던 적이 있는데, 심파일 시절 있던 일부 소프트웨어가 네이버 소프트웨어[5](http://software.naver.com)에 남아있기도 하였다.[6][7]


[1] 1998년에서 2000년 사이에 주소가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1#2[2] 그래서 한글 97의 도움말 메뉴를 잘 보면 심마니가 있다.[3] 그래도 1999년에는 심마니가 하루 방문자 수에서는 2등, 3등을 왔다 갔다 했다. 그런데 1등과의 격차가 워낙 커서(...) 그렇게까지 큰 의미는 없었다.#[4] 노홍철의 음주운전 후 방송 복귀 직후와 관련된 뉴스와 한국 청소년 이슬람 국가 가담 사건과 관련된 뉴스, 반기문 사무총장과 박근혜 대통령 등에 관한 뉴스가 메인에 떠 있다.[5] 2013년부터 기존 네이버 자료실이 네이버 소프트웨어로 개편되었으나, 2021년 8월을 끝으로 폐쇄되었다.[6] 실제로 공지사항에 보면 심파일과 제휴하던 시절 공지사항이 그대로 남아있었고, 파일들 중에서도 2013년 개편 이전 파일들이 그대로 남아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7] 심파일에 이어 같은 계열사와 제휴하던 다음 자료실조차 심파일과 동시에 서비스를 종료했고, 네이버 소프트웨어도 본래는 심파일과 같은 계열사와 제휴를 맺었으나, 2013년부터는 심파일 계열사와 계약을 끊고 공식 소프트웨어 자료실로 개편하다가 2021년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다음 네이버 자료실을 비롯한 심파일 계열사와 맺던 대다수의 자료실의 서비스를 종료한 현재 심파일 시절에 있었던 소프트웨어를 받을 수 있는 곳은 루젠소프트 자료실이 유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