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a6504c><colcolor=#fff> 시메지 Simeji | しめじ | |
| |
링크 |
1. 개요
바이두 일본 법인에서 내놓은 일본어 입력기 어플. 구글에서 직접 만든 일본어 입력기가 나오기 전까지 많이 쓰던 입력기 중 하나. 그 전까지 일본 내수용 단말기에는 단말 제조사들이 자체적으로 포팅한 입력기가 있기는 했지만 보통 마켓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 입력기로는 인지도가 가장 높았다. 지금도 구글 것 대신 이거 쓰는 사람도 많다. 구글 자체 키보드에는 다양한 이모지가 없기에 상당히 많은 양과 다양한 이모티콘 등이 수록되어 있는 시메지 키보드가 널리 쓰여지고 있다. 그 덕에 일본에서 지금도 가장 많이 쓰는 대표적인 키보드가 시메지라 할 수 있다.[1]사용자가 입력한 단어를 인터넷으로 반영하기 때문에 あやなみれい를 그냥 입력해도 알아서 綾波レイ가 뜨는 것이 가능하다.
여담으로 구글은 개발자들이 쉬는 시간에 윈도용으로 일본어 입력기를 만들었다. 사실 이것의 최대 강점이 위의 저 특징. 그리고 구글 일본어 입력기에도 이 특징은 그대로 들어가서 あやなみ까지 입력하면 자동완성에 綾波レイ가 떡하니 뜨는 걸 볼 수 있다.
또한 램 용량을 적게 차지한다. 램 적게 차지하는 가상 키보드로 김민겸키보드가 있으나 개발이 멈춘지 꽤 되었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14쯤 되면 구형 기기에 비해 은근히 램을 차지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시메지 키보드는 그러한 단점이 없이 적은 램만을 차지한다. 안드로이드 최적화에 유용한 앱인 셈. 디만 시메지는 구형 버전에서는 도리어 램을 더 차지하는 독특한 특성이 있다.
높아진 한류의 힘으로 한국어 키보드도 기본 적용이 되있으나, 한국어 입력이 다소 불편하기 때문에 한국어 키보드를 사용하는 한국인들에겐 선택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이모지 문화가 발달해 있는 일본어 키보드에 최적화된 스마트폰용 키보드이기에 한국어 키보드는 잘 맞지 않으며, 일본어에서 띄어쓰기가 없는 것이 한국어에도 똑같이 띄어쓰기가 기본 적용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국어 키보드를 주로 쓴다면 불편할 수 있다.
2. 로고
<rowcolor=#fff> (2012-2014) | (2014-2018) |
<rowcolor=#fff> (2018-2023) | (2023-) |
| |||
<rowcolor=#fff> (2012-2014) | (2014-2018) | (2018-2023) | (2023-) |
[1] 다만, 시메지측이 무단으로 시메지 이용자의 개인정보나 크레딧 카드의 번호등을 유출시킨다는 말이 나돌면서 시메지를 이용하지 않는 이용자도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