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4:57:27

스타워즈 언리미티드

스타워즈 tcg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파일:스타워즈 로고.svg
회색 배경 : 일정 미공개
기울임체 : 예정된 작품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ffe81f; min-width: 33%"
{{{#!folding [ 영화 ]
<tablebgcolor=#000><tablewidth=100%> 스카이워커
사가
오리지널
파일:새로운 희망 디즈니+ 로고.png
파일:제국의 역습 디즈니+ 로고.png
파일:제다이의 귀환 디즈니+ 로고.png
프리퀄
파일:보이지 않는 위험 로고.png
파일:클론의 습격 로고.png
파일:시스의 복수 로고.png
시퀄
파일:깨어난 포스 로고.png
파일:라스트 제다이 로고.png
파일: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로고.png
스핀오프 앤솔로지 파일:로그 원 로고.png 파일:한 솔로.png
애니메이션 파일:스타워즈 클론전쟁 극장판 로고.png
신규 시리즈
데이브 필로니의 영화
제임스 맨골드의 영화
만달로리안과 그로구 랜도
}}}}}}
[ TV 시리즈 ]
||<tablebgcolor=#000><|4><tablewidth=100%><width=15%> 실사
드라마
||<-6><width=1000> 파일:만달로리안 디즈니+ 로고.png
시즌 1 · 2 · 3 · 4 ||
파일:북 오브 보바 펫 디즈니+ 로고.png
파일:스타워즈 아소카 로고.webp
파일:오비완 로고.png
파일:안도르 로고.png
시즌 1 · 2
파일:스타워즈 애콜라이트 로고.webp
스켈레톤 크루
캐넌
애니메이션
<rowcolor=#c7c7c7>
파일:스타워즈 클론전쟁 로고.png
시즌 1 · 2 · 3 · 4 · 5 · 6 · 7 (파이널 시즌)
파일:반란군 로고2.png
시즌 1 · 2 · 3 · 4
파일:운명의 포스 로고.png
시즌 1 · 2
<rowcolor=#c7c7c7> 파일:저항군 로고.png
시즌 1 · 2
파일:배드 배치 로고.png
시즌 1 · 2 · 3
파일:스타워즈 제다이 이야기 로고.png
<rowcolor=#c7c7c7>
파일:스타워즈 어린 제다이의 모험 로고.png
파일:스타워즈 제국 이야기 로고.webp
레전드 및 논캐넌
애니메이션
파일:스타워즈드로이드.webp <rowcolor=#c7c7c7>
ㅤㅤ파일:스타워즈이웍.webp
파일:클론 전쟁2D 로고.png
파일:비전스 로고.png 파일:젠 - 그로구와 더스트 버니 로고.png
레고
애니메이션
<rowcolor=#c7c7c7>
파일:홀로크론을 찾아라.png
파일:제다이 사원 탈출.png 파일:코루스칸트 습격.png
<rowcolor=#c7c7c7> 파일:베이더와 스카이워커의 결투.png
파일:베이더와 스카이워커의 정면승부.png
파일:드로이드의 전설.png
<rowcolor=#c7c7c7> 파일:일어난 저항군.png
파일:스타워즈 올스타즈.png
파일:레고 스타워즈 홀리데이 스페셜.png
<rowcolor=#c7c7c7> 파일:레고 스타워즈 무시무시한 이야기.png
파일:레고 스타워즈 여름 휴가.png
콜라보레이션
파일:피니와 퍼브 스타워즈.png
[ 기타 ]
||<tablebgcolor=#000><|3><tablewidth=100%><width=1000> 도서 ||<width=11%> 소설 ||<-3><width=40%>
Novels (Adult / Young Adult / Junior) · Short Stories · Graphic Novels · Young Readers · Roleplaying Sourcebooks
||<|2><-3>
스타워즈: 하이 리퍼블릭
[ Phase I: The Light of Jedi ]
[ Phase II: Quest of the Jedi ]
[ Phase III: Trials of the Jedi ]
||
코믹스
Marvel Comics · IDW Publishing · Disney–Lucasfilm Press · StarWars.com Webcomics
기타
Art Books · Making-of Books · Reference Books
기타 애니메이션
Blips · · 갤럭시 어드벤처 · Roll Out ·
게임
Journeys: The Phantom Menace · Rebels: Ghost Raid · Commander · Rebels: Rebel Strike · Journeys: Beginnings · Rebels: Recon Missions · Heroes Path · Uprising · Rebels: Team Tactics · Rebels: Strike Missions · Battlefront I · Yoda's Jedi Training · Rebels: Special Ops · Boots on the Ground · Battlefront II · Droid Repair Bay · Secrets of the Empire · 제다이: 오더의 몰락 · Vader Immortal: A Star Wars VR Series · 스쿼드론 · Tales from the Galaxy's Edge · Hunters ·Rise to Power · 제다이: 서바이버 · Eclipse · 아웃로 · 언리미티드
테마파크
※ 기타 매체는 캐넌 항목 참조.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스타워즈 언리미티드
Star Wars: Unlimited
<nopad> 파일:SWUnlimitedLogo.webp
개발 Fantasy Flight Games
유통 아스모디
출시 2024년 3월 8일
인원 2–4인
플레이 시간 20분
연령 12세 이상
장르 트레이딩 카드 게임
시스템 덱 구성 · 핸드 관리 · 수입 · 명치에 치기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제품
3.1. 세트3.2. 제품 구성3.3. 카드 희귀도3.4. 뽑기 확률
4. 게임 방법5. 카드일람6. 이벤트7. 평가8. 여담9.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2024년 3월 8일에 정식 발매된 트레이딩 카드 게임이다. 미국 Fantasy Flight Games에서 개발하였다. 이름의 언리미티드는 애니메이션, 영화, 드라마, 서적 등 다양한 매체에서 등장한 스타워즈의 모든 것을 다룬다는 의미이다. 심지어 레전드 설정까지 다룰 가능성도 있다.
===# 트레일러 #===
▲ 티저 #1 ▲ 티저 #2
▲ 세트 1: 반란의 불씨 출시 트레일러 ▲ 세트 2: 은하계의 그림자 티저

2. 특징

기본적으로 1vs1 대전 게임이지만, 쌍둥이 태양 규칙을 적용하면 다인 개인전(최대 4인)도 지원한다.

일반적인 TCG와 다르게 자신의 턴에 정확히 하나의 행동만 한다. 상대방과 턴을 번갈아 진행한다. 만약 상대방과 자신 모두가 연속적으로 패스하면 라운드가 끝난다.

전장은 우주와 지상으로 나뉘어 있으며, 서로 독립적인 공간이다. 우주 유닛과 지상 유닛은 서로 다른 공간에 위치하며, 기본적으로 다른 전장의 유닛을 공격할 수 없다. 카드풀의 구성상 지상 유닛이 더 많아 지상이 중요한 전장이지만, 우주 유닛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도 유효하다. 반대로, 우주 유닛을 거의 넣지 않고 이벤트 카드로 적의 우주 유닛을 견제하는 덱도 존재한다.

라운드가 끝날 때 각자 덱에서 2장을 뽑는다. 손패 중 최대 1장을 선택해 자신의 앞 자원 칸에 뒷면으로 두면서 자원으로 사용한다. 처음 시작할 때는 2개의 자원으로 시작하며, 라운드가 진행될 수록 가용할 수 있는 자원이 점점 늘어난다.

게임은 일반적으로 7~8 라운드 안에 끝나며, 평균적으로 20분 정도 걸린다. 단판으로 즐길 수 있지만, 공식 대회에서는 보통 3전 2선승제로 진행한다. 대회의 한 라운드를 총 55분 정도로 잡는다.

3. 제품

3.1. 세트

앞으로 매년 3개의 세트가 출시될 예정이다. 세트 1 출시 당시 진행된 디자이너 인터뷰에 따르면, 이미 8개의 세트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현재 9번째 세트 개발이 진행 중이라고 한다.
세트 로고 한글명 영문명 약어 카드수 출시일
1 파일:SWU_SOR_LOGO.png 반란의 불씨 Spark of Rebellion SOR 252 24년 3월 8일
2 파일:SWU_SHD_LOGO.png 은하계의 그림자 Shadows of the Galaxy SHD 262 24년 7월 12일
3 파일:SWU_TOR_LOGO.png 공화국의 황혼 Twilight of the Republic - - 24년 11월
4 - - - - - 25년 3월

3.2. 제품 구성

파일:SWU_SOR_Starter.webp 파일:SWU_SOR_Booster Box.webp 파일:SWU_SOR_Prelease Box.webp
스타터 부스터 박스 프리릴리즈 박스
세트 1: 반란의 불씨

각 세트마다 스타터와 부스터 박스를 판매한다. 스타터에는 스타터에만 들어있는 스페셜 등급의 카드가 포함된다. 스타터에는 고정된 2개의 덱이 들어있어, 스타터 하나로 2명이 게임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스타터만 구매하면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부스터 팩이나 부스터 박스를 구매해 카드를 뽑거나 원하는 카드를 낱장으로 구매해야 한다. 하나의 부스터 박스에는 부스터 팩 24개가 들어있으며, 하나의 부스터 팩에는 총 16장의 카드가 포함되어 있다.

프리릴리즈 박스는 정식 출시일보다 일주일 일찍 한시적으로 판매되는 제품이다. 프리릴리즈 박스에는 6개의 부스터 팩과 프로모 리더 카드 2장이 고정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매장에서는 보통 이 제품을 사용해 봉인전 이벤트를 진행한다.
파일:SWU_ACC_Mat.webp 파일:SWU_ACC_Deck Pod.webp 파일:SWU_ACC_Tokens.webp
게임 매트 덱 박스 프리미엄 토큰
Gamegenic 공식 액세서리

Gamgenic에서 게임 매트 같은 공식 액세서리를 판매하고 있다. 새로운 세트가 나올 때마다 세트의 컨셉에 맞게 새로운 액세서리를 판매한다. 참고로 스타터에 들어있는 토큰은 퀄리티가 좋지 않아 데미지를 표시할 다른 대체 토큰을 찾거나 Gamgenic이 만든 공식 프리미엄 토큰을 구매하는 것이 좋다.

3.3. 카드 희귀도

카드의 희귀도는 등급이 가장 낮은 순으로 커먼(Common), 언커먼(Uncommon), 레어(Rare), 레전더리(Legendary)로 구분된다. 각 카드의 희귀도는 카드의 맨 아래 오른쪽 부분에 이니셜로 표시되어 있어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전더리 카드는 'L'로 표시된다.
파일:SWU_SOR_009.png 파일:SWU_SOR_009_HS.png 파일:SWU_SOR_009_SC.png
파일:SWU_SOR_009b.png 파일:SWU_SOR_009b_HS.png.png 파일:SWU_SOR_009b_SC.png
일반 (NF) 하이퍼스페이스 (HS)
쇼케이스 (SC)
레아 오르가나 리더 카드

카드의 등급 외에도 다양한 변형(Variant)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는 {{{#!wiki style="display:inline;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rgba(255,215,0,1) 0%, rgba(0,212,255,1) 100%);"(Foil), 하이퍼스페이스(Hyperspace)[1], {{{#!wiki style="display:inline;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rgba(255,215,0,1) 0%, rgba(0,212,255,1) 100%);"(Showcase)[2]가 있다. 카드 한 장이 포일과 하이퍼스페이스를 모두 갖추고 있을 경우, 이를 하이퍼포일[3]이라고 부른다. 쇼케이스는 이미 하이퍼포일을 포함하고 있다. 일반 카드는 NF(Non-Foil)이라고 부른다.

3.4. 뽑기 확률

부스터 팩 1개에서 나올 확률
종류 약어 분수 백분율
하이퍼스페이스 HS 2/3
66.7%
일반
레전더리
NF L 1/8
12.5%
하이퍼스페이스
레어 / 레전더리
HS R/L 1/15
6.7%
하이퍼포일
레어
HF R 1/65
1.5%
하이퍼포일
레전더리
HF L 1/200
0.5%
쇼케이스 SC 1/288
0.3%
부스터 팩 1개 (16장) 희귀도 시각화
리더 (커먼 / 레어) 기지 (커먼)
커먼 x9
언커먼 x3
(이중 1장은 하이퍼스페이스 레어 / 레전더리 확률 있음)
레어 / 레전더리
포일
커먼 / 언커먼 / 레어 / 레전더리

부스터 팩 1개에는 16장의 카드가 들어있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 1장의 리더 카드
  • 1장의 기지 카드[4]
  • 9장의 커먼 카드
  • 3장의 언커먼 카드 (이 중 1장은 하이퍼스페이스 레어 이상의 카드일 수 있다)
  • 1장의 레어 또는 레전더리 카드
  • 1장의 {{{#333 {{{#!wiki style="display:inline;background: linear-gradient(90deg, rgba(255,215,0,1) 0%, rgba(0,212,255,1) 100%);"
포일 카드}}}}}}[5] (희귀도는 랜덤이다)

레어 기지 카드[6]레어 카드가 나올 수 있는 슬롯에서만 나오기 때문에, 커먼 기지 카드 1장은 항상 고정이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부스터 팩에서 최대로 나올 수 있는 레어 카드는 총 4장이다(레어 리더, 언커먼 슬롯의 하이퍼스페이스 레어, 레어 / 레전더리 슬롯의 레어, 그리고 포일 레어).

하이퍼포일 레전더리와 쇼케이스는 수십만원부터 백만원 초반대까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하이퍼스페이스 레어 / 레전더리는 일반 레어 / 레전더리 카드에 비해 약 2배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포일 카드의 인기가 적은 이유는 다른 일반적인 TCG와 마찬가지로, 큰 상금을 걸고 진행하는 대회에서는 덱의 모든 카드를 포일 또는 일반 중 하나로만 구성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는 포일 카드가 습도 등의 요소로 인해 쉽게 구부러져, 손끝으로 어떤 카드인지 파악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4. 게임 방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 언리미티드/게임 방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카드일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 언리미티드/카드일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SWUnlimitedLogo.webp
스타워즈 언리미티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2024년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SWU_SOR_LOGO.png
세트 1: 반란의 불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리더 기지
파일:SWU_Aspect_vigilance.png
경계
파일:SWU_Aspect_command.png
통솔
파일:SWU_Aspect_aggression.png
호전성
파일:SWU_Aspect_cunning.png
교활함
파일:SWU_Aspect_villiany.png 파일:SWU_Aspect_heroism.png
악행 · 영웅심 · 중립
}}}}}}
파일:SWU_SHD_LOGO.png
세트 2: 은하계의 그림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리더 기지
파일:SWU_Aspect_vigilance.png
경계
파일:SWU_Aspect_command.png
통솔
파일:SWU_Aspect_aggression.png
호전성
파일:SWU_Aspect_cunning.png
교활함
파일:SWU_Aspect_villiany.png 파일:SWU_Aspect_heroism.png
악행 · 영웅심 · 중립
}}}}}} }}} 파일:SWU_TOR_LOGO.png
세트 3: 공화국의 황혼
}}}}}}

6. 이벤트

파일:Star Wars Unlimited Fun Every Day.png
이벤트 구조

프리릴리즈 이벤트는 새로운 세트 출시 일주일 전에 한시적으로 진행되며, 이 이벤트 동안 프리릴리즈 제품을 사용한다. 이 제품에는 6개의 부스터 팩이 포함되어 있으며, 참가자들은 이 부스터 팩들로 봉인전 형식의 토너먼트를 진행한다.

매주 공인된 매장에서는 위클리 플레이(WP) 이벤트가 개최되며, 모든 참가자들은 최근 세트의 프로모 카드를 랜덤으로 3장 받을 수 있다#. 매장에 따라 다르지만 좋은 성적으로 마치면 프로모 카드를 더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스토어 쇼다운(SH)이라 불리는 캐주얼 대회가 열린다. 이 대회에 참여하는 모든 참가자는 위클리 플레이에서는 얻을 수 없는 독특한 프로모 카드 1장을 받는다. 성적이 우수한 참가자들은 추가 보상으로 프로모 버전 카드를 더 받을 수 있다. 8위 안에 들면 최소 1장, 4위 안에 들면 최소 2장, 그리고 1등을 차지할 경우에는 동일한 카드를 더 받되, 각각의 카드에는 성적을 나타내는 다른 타이틀이 프린트되어 있다. 예를 들어, 1등으로 마치면 총 4장의 카드를 받게 되며, 그 중 하나는 '챔피언'이라는 타이틀이 프린트된 카드이다.

[ 스토어 쇼다운 상품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680><tablebordercolor=#959E99> 파일:SWU_SOR_077_SH.png || 파일:SWU_SOR_149_SH.png ||
쓰러트리다
참가상
메이스 윈두
8위 입상
2024년 5월 스토어 쇼다운 프로모 카드
파일:SWU_SHD_255_SH.png 파일:SWU_SHD_226_SH.png
레이디 프록시마
참가상
거절할 수 없는 제안
8위 입상
2024년 중순 스토어 쇼다운 프로모 카드

7. 평가

서로 치고받는 것도 정말 즐겁고요. 제 점수는 아직 8.5예요. 정말 좋은 게임입니다. 전 부스터 박스를 여는 게 너무 좋았어요. 왜냐하면 부스터 팩마다 새로운 리더가 나오는게 멋지거든요. 게다가 새로운 기지도 제공되고 쉬워요. 예를 들어, 이 리더는 빼고 저 리더는 넣고 나머지 덱은 그대로 유지하면 돼요. 색깔만 맞추면 되니까요. 덱을 만드는 게 정말 쉬웠다니까요. 예를 들어, 검정, 초록, 빨강 카드를 넣고, (...) 검정-초록 카드, 검정-빨강 카드, 이렇게 금방 덱을 만들 수 있었어요. "이제 대지(자원) 카드를 30장 넣어야지" 이런 고민할 필요도 없었어요.
다이스 타워의 반란의 불씨 세트 리뷰에서#
사실, 반란의 불씨는 출시 당시의 디즈니 로카나보다 더 흥미롭고 생동감 있게 느껴집니다. 또한, 더욱 완성된 느낌을 줍니다.
Polygon의 반란의 불씨 세트 리뷰에서#
코어 게임은 탄탄하며 덱 구축 전략과 게임 내 전술을 탐구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줍니다.
IGN의 반란의 불씨 세트 리뷰에서#
스타워즈: 언리미티드는 처음부터 TCG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자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USA 투데이의 반란의 불씨 세트 리뷰에서#
그러나 이 게임은 초보자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카드를 조합하고 주요 카드를 언제 사용할지 고민하는 과정에서 놀라운 깊이와 흥미로운 가능성이 펼쳐집니다.
더 가디언의 반란의 불씨 세트 리뷰에서#

8. 여담

  • 첫 번째 세트 출시된 지 일주일만에 너무 잘 팔려서# 현재는 부스터 팩과 부스터 박스를 구하기 매우 어렵다. 두 번째 세트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하였다. 세 번째 세트가 출시되기 전까지 이런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 입문자들은 덱과 카드를 개별로 구매하거나 부스터 박스를 더 비싸게 구매할 수 밖에 없다.
  • 게임 디자이너 Tyler Parrott의 X(구 트위터)에서 개발 비화를 들을 수 있다#.
  • Karabast에서 2024년 5월 19일에 발표한 선공과 후공 승률 통계에 따르면, 79,979번의 게임 동안 선공과 후공의 승률은 각각 51.02%와 48.98%로 나타나 선후공 밸런스가 잘 잡혀있다고 볼 수 있다.

9. 외부 링크

  • 공식 규칙서 다운로드 # - Quickstart Rules는 규칙 요약본이고, Comprehensive Rules가 완전한 규칙서이다.
  • SWUDB # - 카드 및 덱 일람
  • StarWarsUnlimited.gg # - 메타 리포트
  • Garbage Rollers # - 메타 리포트, 대회 정보 및 인터뷰
  • Force Table # - 비공식 AI 상대 대전[7]
  • Karabast # - 비공식 온라인 게임
  • 테이블탑 시뮬레이터 창작마당 2인 영문 #[8]
  • 테이블탑 시뮬레이터 창작마당 쌍둥이 태양 영문 #


[1] 카드의 검정 테두리가 없음[2] 리더 카드에만 쇼케이스가 있으며 대체 일러를 가지고 있다[3] Hyperspace + Foil = Hyperfoil[4] 뒷면은 토큰 카드이다.[5] 홀로그램 카드 또는 빛나는 카드[6] 은하계의 그림자 세트는 레어 기지 카드가 없다.[7] SWUDB에서 바로 커스텀 덱을 불러올 수 있다.[8] SWUDB에서 커스텀 덱의 JSON을 복사한 후 TTS 상에서 붙여넣으면 해당 덱을 불러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