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5:09:17

스타워즈 언리미티드/게임 방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타워즈 언리미티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스타워즈 언리미티드/카드일람
,
,
,
,
,


1. 개요2. 카드
2.1. 카드 속성2.2. 카드 해설2.3. 카드 종류
3. 기본 규칙
3.1. 행동 단계3.2. 재편성 단계3.3. 리더 배치3.4. 키워드
4. 기타 규칙5. 게임 형식
5.1. 프리미어
5.1.1. 덱 구성 요건
5.2. 드래프트전
5.2.1. 덱 구성 요건
5.3. 봉인전
5.3.1. 덱 구성 요건
5.4. 쌍둥이 태양
5.4.1. 카운터5.4.2. 행동 단계5.4.3. 게임 종료5.4.4. 덱 구성 요건

1. 개요

스타워즈 언리미티드의 게임 방법에 대해 서술한 문서.

2. 카드

파일:1715170163161799_lg.jpg

2.1. 카드 속성


카드 속성은 카드마다 왼쪽 상단에 있으며 일부 카드는 속성이 없다. 카드 속성은 다음과 같다.
파일:SWU_Aspect_vigilance.png 파일:SWU_Aspect_command.png 파일:SWU_Aspect_aggression.png 파일:SWU_Aspect_cunning.png 파일:SWU_Aspect_villiany.png 파일:SWU_Aspect_heroism.png
경계 통솔 호전성 교활함 악행 영웅심
Vigilance Command Aggression Cunning Villainy Heroism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일반적으로 덱에 포함되어 있는 리더와 기지에 나와 있는 속성으로만 덱을 만든다. 하지만 원한다면 속성 외의 카드를 덱에 포함할 수는 있는데, 이런 카드들은 플레이시 리더와 기지가 가지고 있지 않는 속성 하나마다 자원 2개를 더 써야한다. 예를 들어 리더와 기지 조합이 파일:SWU_Aspect_aggression.png 파일:SWU_Aspect_heroism.png 파일:SWU_Aspect_vigilance.png을 제공할 때 파일:SWU_Aspect_aggression.png 파일:SWU_Aspect_aggression.png(호전성 2개)의 카드를 플레이하고 싶다면 파일:SWU_Aspect_aggression.png 1개 부족하기 때문에 자원 2개를 더 써야 플레이할 수 있다.

2.2. 카드 해설

파일:SWU_SHD_142.png 비용 종류 전장
이름
부제
(삽화)
특성 체력
(능력)
삽화가 세트 등급 번호
유닛 카드 해설
유닛 카드는 항상 소진 상태로 게임 내에 플레이된다.
파일:SWU_SOR_054.png 비용 종류
이름
(삽화)
(능력)
이름
특성
체력
삽화가 세트 등급 번호
업그레이드 카드 해설
업그레이드 카드가 부착된 유닛은 추가 힘과 체력을 얻는다.

이름 앞에 파일:SWU_Unique_Symbol.png파일:SWU_Unique_Symbol_W.png이 있으면 고유(Unique) 카드이다. 동일한 고유 카드는 자신의 전장에 항상 최대 1장까지만 게임 내에 있을 수 있다. 만약 게임 영역에 고유 카드가 이미 있는 도중에 동일한 카드를 플레이하면 기존 카드를 대체할 수 있다.

2.3. 카드 종류

카드 종류는 다음과 같다.
파일:SWU_SHD_018.png 파일:SWU_SHD_018b.png
리더 카드 (앞면) {{{#FFBB00 리더 유닛 카드 (뒷면)}}}
리더의 조건부 에픽 행동을 사용하면 리더 유닛 카드를 전장에 배치할 수 있다.

리더는 특수 능력과 2개의 카드 속성을 제공한다. 리더를 뒤집으면 리더 유닛이 된다. 리더는 유닛이 아니지만 리더 유닛으로 변신해야 유닛으로 취급된다. 리더 유닛은 리더 카드에 적힌 조건이 충족될 때 리더 카드를 뒤집으면서 리더 유닛으로 지상에 배치할 수 있다[1].
파일:SWU_SOR_022.png 파일:SWU_SOR_027.png
체력 25 체력 30
기지 카드
체력 30이 아닌 기지는 에픽 행동을 가진다.

기지는 자신의 기지 체력과 카드 속성 1개를 결정한다.
파일:SWU_SHD_049.png 파일:SWU_SHD_242.png
지상 유닛 카드 우주 유닛 카드
유닛 카드
지상 유닛은 지상 전장에, 우주 유닛은 우주 전장에 플레이할 수 있다.

유닛은 공격력과 체력을 가지고 있다. 지상 유닛과 우주 유닛은 각각 지상과 우주에서만 존재할 수 있고 동일한 전장의 적 유닛만 공격할 수 있다[2].
파일:SWU_SHD_126.png 파일:SWU_SHD_206.png
업그레이드 카드 이벤트 카드
업그레이드는 아무 유닛에게 부착할 수 있고, 이벤트는 자신의 버림 더미에 버린 즉시 효과를 한 번 발동한다.

업그레이드 카드는 자신이나 적의 아무 유닛에게 붙일 수 있는 일종의 장비이며 해당 유닛이 패배하거나 사로잡히거나 손패로 되돌아가면 부착되었던 업그레이드 카드는 버려진다. 이벤트 카드는 일회용 카드이다.
파일:SWU_SOR_T01.png 파일:SWU_SOR_T02.png
경험 토큰 카드 방어막 토큰 카드
토큰 업그레이드 카드

토큰 업그레이드 카드는 절대 플레이되지 않고, 버림 더미에 놓이거나 손패로도 되돌아가지 않는다. 버려지거나 손패로 되돌아갈 때는 옆에 치워둔다. 토큰 업그레이드 카드도 업그레이드 카드이다.

3. 기본 규칙

기본은 1대1 대전 게임이다. 목표는 상대 기지의 체력을 0 이하로 만드는 것이다. 만약 모든 플레이어의 기지의 체력이 동시에 0 이하로 되었다면 무승부로 판정한다.
상대
버림
더미
상대 덱 상대 자원 주도권
카운터
우주 전장 파일:SWU_SOR_015.png
상대 리더
지상 전장
파일:SWU_SOR_022.png
상대 기지
파일:SWU_SOR_026.png
내 기지
파일:SWU_SHD_002.png
내 리더
주도권
카운터
내 자원 내 덱 내 버림
더미
게임 요소 위치
우주 전장과 지상 전장은 게임 준비할 때 영역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전혀 상관없다. 지상 전장의 영역을 우주 전장의 영역보다 더 크게 만드는 것이 좋다.
0. 게임 준비
첫 대결이면 주도권 카운터를 누가 가져갈지 주사위 등을 이용해 무작위로 결정한다.
(이전 대결에서 졌던 플레이어가 주도권 카운터를 가지고 게임을 시작한다.)
각자 덱을 섞고 6장을 뽑는다.
멀리건을 원하면, 덱에 손패 모두를 섞은 후 다시 6장을 뽑는다.
(멀리건은 최대 1번)
각자 손패에서 2장을 선택해 자원으로 플레이한다.
1. 행동 단계
행동을 한 번 한다.
(주도권 카운터를 가진 플레이어부터)
상대방이 행동을 한 번 한다.
계속 반복한다.
(승패가 결정나면 게임 종료)
모두가 연속적으로 패스를 하거나 또는 A가 '주도권 카운터 가져가기'를 한 후 B가 패스를 하면, 재편성 단계로 넘어간다.
2. 재편성 단계
각자 덱에서 카드 2장을 뽑고 손패에서 카드 1장을 선택해 자원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주도권 카운터를 가진 플레이어부터)
소진 상태의 카드를 모두 준비 상태로 만든 후 다시 행동 단계로 돌아간다.
(하나의 라운드가 끝남)

게임 시작시 각자 카드 6장을 뽑고[3] 그 중 원하는 2장을 자원으로 만든다. 자원은 자신의 앞에 뒷면으로 카드를 준비 상태로 둔다. 이때 비용이 2 이하인 유닛은 손패에 남겨두는 것이 좋다.

한 라운드는 행동 단계와 재편성 단계로 나눈다. 게임은 승패가 결정날 때까지 라운드를 반복한다.

3.1. 행동 단계

주도권 카운터를 가진 사람부터 시작하며 턴을 번갈아가면서 진행한다. 자신의 턴에 아래와 같은 행동을 정확히 1개만 할 수 있다.
  • 카드 1장 플레이하기
  • 유닛 1명으로 공격하기
  • 행동 능력 사용하기
  • 주도권 카운터 가져가기
  • 패스
파일:SWU_SHD_170_Exhausted.png 파일:SWU_SHD_170.png
소진 상태인 유닛 카드[4] 준비 상태인 유닛 카드
유닛 카드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90도 꺾어서 놓여져 있으면 소진 상태이고, 똑바로 세워져 있으면 준비 상태이다.

카드 1장 플레이할 때는 자원을 반드시 써야한다. 유닛 또는 자원을 플레이할 경우 소진 상태로 게임에 들어온다.

자신의 유닛으로 공격할 때는 반드시 준비 상태에서 소진 상태로 바꾸어야 한다. 기지를 공격하거나 같은 전장에 있는 유닛만 공격할 수 있다. 방어자가 소진 상태라도 공격자는 공격할 수 있다. 공격자와 방어자가 동시에 각자 가진 공격력만큼 서로 공격한다. 체력이 고갈되면 유닛은 즉시 버려진다.
파일:SWU_SOR_006.png 파일:SWU_SHD_135.png
행동과 에픽 행동이 있는 리더 카드 행동이 있는 유닛 카드
행동 뒤의 대괄호 []는 행동을 발동하기 위한 비용을 표시한다. 파일:SWU_Action_Exhaust.png파일:SWU_Action_Exhaust_W-a.png은 준비 상태인 카드를 소진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행동 능력은 카드에 적혀있는 비용을 지불하고 행동 능력을 발동한다. 또한 에픽 행동은 행동과 같지만 게임 중 단 한번만 발동할 수 있다. 에픽 행동은 리더와 기지 카드에만 있다.

주도권 카운터를 가져가기 행동을 하면 이 단계에서는 더 이상 행동을 할 수 없으며 상대방만 턴을 가진다. 이미 주도권 카운터가 있는 상태에서도 가져갈 수 있으나 같은 라운드에서 A가 이 행동을 했을 경우 B는 더 이상 주도권 카운터 가져오기 행동을 할 수 없다. 즉, 한 라운드에 주도권 카운터 가져가기 행동은 최대 단 한번만 발동된다.

행동 단계는 아래와 같은 상황일 때 끝난다.
  • 두명이 연속으로 패스를 한다[5]. 또는
  • 이번 라운드에 A가 주도권 카운터를 가져가기 행동을 던 상태에서 B가 패스한다.

3.2. 재편성 단계

파일:SWU Regroup Phase.png

각자 자신의 덱에서 카드 2장을 뽑고 그 2장을 포함한 손패에서 자원으로 쓸 카드를 최대 1장까지 선택해 자신 앞에 뒷면으로 둔다. 한번 자원이 된 카드는 함부로 손패로 가져가거나 플레이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모든 카드를 준비 상태로 만든 후 행동 단계를 다시 시작한다.

3.3. 리더 배치

파일:SWU_SOR_009.png 파일:SWU_SOR_009b.png
리더 카드 (앞면) {{{#FFBB00 리더 유닛 카드 (뒷면)}}}
레아 오르가나는 자원을 5개 이상 운용하고 있을 때 게임 중 단 한 번 에픽 행동을 발동할 수 있다. 리더 카드를 뒤집어 리더 유닛으로 지상 전장에 준비 상태로 배치한다.

리더는 조건이 충족되면 에픽 행동[6]으로 리더 유닛으로 전장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는 다른 유닛과 다르게 항상 준비 상태로 전장에 들어온다. 패배하였을 경우 소진 상태 앞면으로 돌아간다.

리더 유닛은 아주 강한 편이기 때문에 적절한 타이밍에 나오면 판도를 강하게 흔들 수 있다. 또한 적의 리더가 나오는 타이밍을 예상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손패를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다.

리더가 전장에 나올 수 있는 조건[7]이 리더마다 다르다. 따라서 필요한 자원이 낮을 수록 어그로 덱에 어울리는 리더이고 반대로 높을수록 컨트롤 덱에 잘 어울린다. 예를 들어 사빈 렌은 자원이 고작 4개만 필요해서 어그로 덱에 자주 쓰이고 보바 펫은 자원 5개가 필요하기 때문에 미드레인지 덱에 자주 쓰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반면 다스 베이더는 요구 조건이 자원 7개라서 보통 후반부를 노리는 컨트롤 덱에서 쓰인다.

3.4. 키워드

카드 능력에 나올 수 있는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방어자가 아니라 공격자일때만 발동되는 키워드가 있으니 입문자들은 특별히 유의해야 한다.
  • 매복(Ambush): 플레이할 때 바로 준비 상태로 바꾸며 적 유닛[8]을 공격할 수 있다. 이때 같은 전장에 적 유닛이 없을 경우 그냥 소진 상태가 된다.
  • 투지(Grit): 데미지 받은만큼 공격력 증가
  • 압도(Overwhelm): 공격자로서 적 유닛을 공격한 후 초과된 데미지는 적 기지가 받는다.
  • 습격(Raid): 공격자로서 적 유닛/기지를 공격할 때 공격력 증가
  • 복원(Restore): 공격자로서 적 유닛/기지를 공격할 때 자신의 기지 체력 회복
  • 파괴공작(Saboteur): 공격자로서 적 유닛/기지를 공격할 때 파수를 무시하며 공격하기 전에 방어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방어막을 먼저 버린다.
  • 파수(Sentinel): 같은 전장의 적 유닛은 자신의 기지와 파수가 아닌 다른 자신의 유닛을 공격할 수 없다.
  • 방어막(Shielded): 플레이할 때 방어막 토큰 업그레이드 1개를 가진채로 게임 영역에 나온다.

Shadows of the Galaxy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 밀수(Smuggle): 이 카드가 자원일 때 비용[9]을 내면서 플레이할 수 있는 키워드. 덱 맨 위 카드로 이 카드를 대체하면서 기존 카드를 플레이한다#. 간단히 말하면 자원으로 쓰다가 나중에 플레이할 수 있는 키워드. 이 카드가 자원일 때 준비 또는 소진 상태인지는 상관없다. 준비 상태인 이 카드를 자원으로 소비하면서 밀수를 발동시킬 수 있다.
  • 현상금(Bounty): 이 유닛이 패배하거나 사로잡히면[10]되면 상대방이 받는 효과이다#. 주로 코스트에 비해 강력한 유닛이지만 패배하였을 경우 패널티를 받는 키워드.

4. 기타 규칙

===# 규칙 보충 해설 #===
파일:SWU_SOR_172.png 파일:SWU_SOR_020.png
유닛에게 피해를 주는 카드 기지 카드
  • 기지 카드는 유닛이 아니다. 사격 개시 같이 유닛에 피해를 주는 카드는 오직 유닛 카드에만 피해를 줄 수 있다.
파일:SWU_SOR_043.png 파일:SWU_SHD_T02.png
즉시 패배시키는 카드 방어막 토큰(SHD 세트)
  • 방어막은 어떤 종류의 피해든 상관없이 같은 원천에서 나오는 피해를 모두 무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 하지만 슈퍼레이저 블래스트와 같이 유닛을 즉시 패배시키는(죽이는) 효과는 방어막이 막지 못 한다.
파일:SWU_SOR_135.png 파일:SWU_SHD_T02.png
6 피해를 주는 팰퍼틴 황제 방어막 토큰
  • 펠퍼틴 황제 유닛의 플레이할 때 효과는 6 피해를 분배해서 줄 수 있다. 6 피해는 서로 같은 원천에서 나오는 피해이기 때문에 2 이상의 피해를 방어막 토큰을 부착한 유닛에게 주었을 때 실제로는 피해를 전혀 주지 못 하고 방어막 토큰 정확히 1개만 패배시킨다.
파일:SWU_SOR_162.png 파일:SWU_SOR_T01.png
업그레이드를 패배시키는 카드 경험 토큰
  • 경험이나 방어막 같은 토큰 업그레이드도 업그레이드이다. 업그레이드를 패배시키는 카드 효과로 토큰 업그레이드도 제거할 수 있다.
파일:SWU_SOR_092.png 파일:SWU_SOR_127.png
단순히 피해를 주는 카드
  • 위와 같은 카드는 유닛의 준비 상태와 관계 없이 단순히 피해만 주는 것이다. 피해를 주는 것은 공격이 아니기 때문에 유닛을 소진 상태로 만들 필요도 없다.
파일:SWU_SOR_220.png 파일:SUW_SOR_182_Exhausted.png
힘 +3을 적용한 유닛으로 공격하는 기습 소진 상태인 보스크
  • 소진 상태인 유닛은 공격할 수 없다. 공격은 준비 상태의 유닛이 소진 상태로 바꾸면서 이뤄져야 한다.
  • 이벤트 카드의 효과는 최대한 적용하고 적용하지 못 하는 효과는 무시한다. 플레이어는 게임 상태를 전혀 바꾸지 못 하는 이벤트 카드도 플레이할 수 있다.
  • 보스크 능력은 이벤트를 플레이했을 때 유닛 하나에게 2 피해를 줄 수 있다. 가진 유닛이 소진 상태인 보스크 하나 뿐일 때 단 2 피해를 위해서 보스크에게 기습 카드를 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보스크가 힘 +3을 받고 공격하진 않는다.
파일:SWU_SOR_126.png 파일:SWU_SOR_083.png
자원을 플레이하는 카드 자원을 플레이하고 준비시키는 카드
  • 기본적으로 재보급 같이 행동 단계 중 자원을 생성하는 카드는 다른 언급이 없다면 반드시 소진 상태의 자원으로 만든다.
  • 슈퍼레이저 기술자는 '자원을 준비시킨다'라고 명시되어 있기에 이 규칙에서 예외다. 결론적으로 유닛과 자원 카드는 게임 내에 소진 상태로 들어가는 것이다.
파일:SWU_SOR_083.png 파일:SWU_SOR_122.png
패배했을 때 자원이 되는 슈퍼레이저 기술자 적 유닛을 가져가서 조종하는 '반역하는'
  • 패배했을 때 능력은 그 유닛을 조종 중인 플레이어가 받는 효과이다.
  • A가 '반역하는' 카드로 B의 슈퍼레이저 기술자를 가져 간 후 패배시키면 A의 자원이 될 수 있다. 게임 끝나고 카드 돌려주는 것을 잊기 쉽다
파일:SWU_SOR_087.png 파일:SWU_SHD_253.png
덱에서 특정 카드를 찾는 카드
  • 특정 카드를 찾는(Search) 효과를 해결한 후 남은 카드들은 무작위 순서로 덱의 가장 밑에 둔다. 덱에 다시 섞어 넣는게 아니다.
파일:SWU_SOR_140.png 파일:SWU_SHD_247.png
파수를 잃게 하는 카드 조건부로 파수를 얻는 카드
  • 어떤 유닛이 파수를 잃는 효과를 받은 후 파수를 얻으면 파수를 다시 가진 상태가 된다. 즉, 상태를 잃거나 얻는 효과는 그 시점의 전과 후로 나눠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파일:SWU_SOR_058.png 파일:SWU_SOR_188.png
덱에서 카드를 버리게 하는 카드
  • 덱이 다 떨어졌을 때 버림 더미를 다시 섞지 않는다. 카드를 뽑아야 할 때[11] 뽑을 수 없는 카드 1장마다 자신의 기지에 3 피해를 준다.
파일:SWU_SOR_015b.png 파일:SWU_SOR_179.png
보바 펫 리더 유닛 보바 펫 유닛
  • 이 유닛이 공격을 완료할 때는 공격자가 공격한 해결되는 효과이다. 그래서 공격자가 그 공격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조건이 붙는다.
  • 공격할 때는 공격자가 공격하기 에 해결되는 효과이다.
  • 고유 카드 파일:SWU_Unique_Symbol.png파일:SWU_Unique_Symbol_W.png는 자신의 전장에 최대 1장만 있을 수 있다. 만약 게임 영역에 고유 카드가 이미 있는 도중에 동일한 카드를 플레이하면 기존 카드를 대체할 수 있다. 이름이 같은 카드라도 부제(Subtitle)가 다르면 다른 카드로 취급한다.
  • 보바 펫 리더 유닛이 전장에 있어도 보바 펫 유닛을 플레이할 수 있다. 어떤 카드 효과로 같은 이름의 카드를 찾을 때는 부제를 무시하고 오직 같은 이름의 카드만 찾는다.
  • 리더는 항상 게임 내에 있다. 즉, 리더 유닛이 패배하였더라도 게임을 떠난 상태가 아니다. 적 리더 유닛만 패배하였던 행동 단계에서는 보바 펫 리더 유닛 능력의 조건을 달성할 수 없다.
파일:SWU_SOR_010b.png 파일:SWU_SOR_035.png
공격할 때 2 피해를 주는 다스 베이더 리더 유닛 체력 2의 파수 유닛
  • 공격할 때는 공격자가 공격하기 에 해결되는 효과이다.
  • 공격을 선언하면서 공격 대상을 가장 먼저 정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다스 베이더 리더 유닛의 공격할 때 효과로 2 피해를 주면서 파수를 가진 유닛을 패배시킨 후, 적 기지 또는 파수가 아닌 적 유닛에 5 피해를 주는 것은 불가능하다. 공격할 때 효과를 처리하기 에 공격 대상부터 정하는 것이 핵심이다.
파일:SWU_SOR_196.png 파일:SWU_SOR_T02.png
방어막 토큰 1개 부착한 츄바카
  • 위 다스 베이더 리더 유닛의 공격할 때 효과로 2 피해를 주면서 방어막을 먼저 제거한 후 츄바카한테 직접 5 피해를 줄 수 있다. 즉 공격할 때 효과로 피해를 주는 것과 자신의 힘으로 피해를 주는 것은 서로 다른 원천으로 보는 것이다.

매복(Ambush)은 입문자들이 틀리기 쉬운 규칙이다. 매복의 정확한 효과 서술은 아래와 같다.
  • 플레이할 때: 만약 적 유닛이 있고, 당신이 적 유닛을 공격하고 싶을 때 즉시 준비 상태로 바꾸면서 공격하는 것이다. (적 기지는 공격할 수 없다.)

즉, 매복은 준비 상태로 바로 게임 내에 플레이되는 효과가 절대 아니다.
파일:SWU_SOR_184.png 파일:SWU_SOR_193.png
준비 상태로 플레이되는 카드
파일:SWU_SOR_022.png 파일:SWU_SHD_043.png
매복을 부여하는 카드 방어막 키워드를 가진 카드
  • 동일한 시점에 2개 이상의 카드 효과들을 해결할 때 턴 진행 중인 플레이어가 순서를 결정한다.
  • 펫의 파이어스프레이가 똑같이 에너지 변환 연구소의 매복 효과를 받고 공격했다면, 유닛 카드의 플레이할 때 효과는 매복에 실행하여 준비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 반대로 밀레니엄 팔콘은 준비 상태로 전장에 들어오는 상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에너지 변환 연구소의 매복 효과를 받고 공격하였다면 준비 상태가 아니라 소진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 같은 원리로 에너지 변환 연구소의 능력을 사용하여 방어막(Shielded) 키워드를 가진 유닛을 플레이하면 매복을 해결하기 또는 에 방어막을 줄 수 있다. 턴 진행 중인 플레이어가 순서를 결정한다.
파일:SWU_SHD_219.png 파일:SWU_SHD_090.png
매복 키워드를 가진 카드
  • 매복을 포함한 숫자가 없는 키워드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매복을 부여하는 카드를 사용해 매복 키워드를 가진 유닛을 플레이해도 매복은 단 한 번만 발동한다.
===# 사이드보드 #===
이외 덱에 넣지 않은 카드 최대 10장[12]을 대전에 들고 갈 수 있는데 사이드보드라고 부르며 게임 사이[13]에 최대 3분의 시간 동안 덱에서 교체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카드를 뜻한다. 어떤 카드를 덱에 교체하거나 추가할지는 상대에게 알려주진 않지만 덱 최소 장수 요구조건은 상대방이 원한다면 확인해줘야 한다.

즉, 게임 중엔 프리미어 기준으로 50장으로 구성된 덱을 사용하지만 사실상 60장 카드로 덱을 만드는 셈이다. 원한다면 사이드보드가 전혀 없어도 무방하지만 추천하지 않는다.

활용법을 예로 들면, 자신의 덱이 컨트롤 덱이면 보통 어그로 덱에 약하기 때문에 어그로에게 효과적인 카드를 사이드보드에 넣는다.

5. 게임 형식

총 4 종류의 게임 형식이 있다. 프리미어, 드래프트전, 봉인전, 쌍둥이 태양.

쌍둥이 태양을 제외하면 스위스 시스템으로 진행한다. 간단히 말하면, 승률이 같거나 비슷한 사람끼리 맞붙는 토너먼트 형식.

5.1. 프리미어

필요 인원 게임 최대 시간[14]
2명 이상 3전 2선승제 55분

가장 기본적인 형식이다. 다른 언급이 없으면 이 형식으로 진행한다는 뜻이다.

처음에는 주사위 등을 이용해 랜덤으로 주도권 토큰을 누가 가지고 시작할지 정한다. 전 판에서 졌던 사람이 주도권 토큰을 가진채로 다음 판을 시작한다. 시간을 초과하면 게임을 즉시 멈추고 승이 더 많은 사람이 이기지만 1대1 상황이었다면 모두가 패배한 것으로 판정한다.

5.1.1. 덱 구성 요건

리더 1명과 기지 1개를 선택한 후 이를 제외한 최소 50장의 카드로 덱을 만든다. 사이드보드는 최대 10장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최대치로 작용하기에 대부분의 덱은 정확히 50장만 사용한다. 똑같은 카드는 3장까지만 덱에 넣을 수 있고, 컬렉션에 있는 모든 카드를 사용하여 덱을 구성할 수 있다.

5.2. 드래프트전

필요 인원 게임 최대 시간
4명 이상 3전 2선승제 55분

전 판에서 졌던 사람이 주도권 토큰을 가진채로 다음 판을 시작한다. 시간을 초과하면 게임을 즉시 멈추고 승이 더 많은 사람이 이기지만 1대1 상황이었다면 모두가 패배한 것으로 판정한다.

각 플레이어들은 3개의 부스터팩을 받고 팩을 엽니다. 다른 카드들은 절대 보지 않고 각 팩의 맨 위의 카드인 리더 카드만 본다. 3개의 리더 중에서 선택한 하나를 가져가고 나머지 2개의 리더는 왼쪽 플레이어에게 넘긴다. 이 시점에서는 각 플레이어마다 리더 3개를 가진다.

그런 다음 3개의 부스터팩 중 하나의 팩을 고른다. 해당 팩의 커먼 희귀도의 기지 카드는 테이블 중앙에 놓고 나머지 카드들에서 한 장을 선택하고 가져간다. 그런 다음 나머지 카드들은 왼쪽 플레이어에게 넘긴다. 그런 다음 오른쪽 플레이어로부터 받은 카드 중에서 다음 카드를 선택하고 가져간다. 이렇게 첫 번째 부스터팩의 모든 카드가 뽑힐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한다.

두 번째 부스터팩도 첫 번째와 같은 과정이지만 이번에는 오른쪽으로 카드를 전달한다. 세번째 부스터팩을 진행할 때는 왼쪽으로 카드를 전달한다.

이 모든 과정이 끝나면 각 플레이어는 45장의 카드(리더 카드 3장과 나머지 카드 42장)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5.2.1. 덱 구성 요건

리더 1명과 기지 1개를 선택한 후 이를 제외한 최소 50장의 카드로 덱을 만든다. 플레이어들은 테이블 중앙에 있는 커먼 기지를 선택하거나 팩에서 뽑은 레어 기지를 사용할 수 있다. 덱에는 같은 카드를 몇 장이든 포함할 수 있다.

5.3. 봉인전

필요 인원 게임 최대 시간
2명 이상 3전 2선승제 55분

전 판에서 졌던 사람이 주도권 토큰을 가진채로 다음 판을 시작한다. 시간을 초과하면 게임을 즉시 멈추고 승이 더 많은 사람이 이기지만 1대1 상황이었다면 모두가 패배한 것으로 판정한다.

각 플레이어마다 6개의 부스터팩을 받고 연다. Pre-release 이벤트에서 사용하는 포맷이다. 실제로 Pre-release 박스에 부스터팩 6개가 들어있다.

5.3.1. 덱 구성 요건

리더 1명과 기지 1개를 선택한 후 이를 제외한 최소 50장의 카드로 덱을 만든다. 사이드보드는 남은 카드들로 구성한다. 덱에는 같은 카드를 몇 장이든 포함할 수 있다.

5.4. 쌍둥이 태양

필요 인원 게임 최대 시간
3-4명 단판 45-80분

새로운 규칙, 카운터, 덱 구성 요건을 갖춘 개인전 방식이다. 최소 3인을 요구하며, 보통 4인 플레이를 권장한다. 그래서 매직 더 게더링 커멘더의 전체적인 방식과 비슷하며 스타워즈 언리미티드도 정치질을 허용한다.

게임 시작 전, 선플레이어에게 주도권 카운터를 주고, 아래에 서술할 블래스트 카운터와 계획 카운터를 게임 중앙 영역에 놓는다. 주도권 카운터를 가진 플레이어부터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며 멀리건을 할지 결정한다. 이후 턴 진행도 마찬가지로 주도권 카운터를 가진 플레이어부터 시계 방향으로 진행한다.

지상 전장과 우주 전장은 2인 게임처럼 똑같이 적용한다. 하지만 파수(Sentinel)는 약간 다르게 작동한다. 파수 유닛을 조종하는 플레이어의 기지와 파수가 아닌 유닛을 다른 플레이어들이 공격할 수 없으며, 파수가 없는 다른 플레이어의 기지와 유닛들은 공격할 수 있다.

만약 카드 능력이 여러 플레이어들에게 영향을 동시에 끼치면, 가능한 한 동시에 해결한다. 동시에 해결이 어려운 경우, 능력을 발동한 카드를 조종하는 플레이어가 해결 순서를 결정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정치질을 허용한다. 대화를 어떻게 할지는 완전히 자유이다. 자신의 숨겨진 정보(손패)도 원한다면 논의할 수 있다. 플레이어 간에 이루어진 모든 거래는 구속력이 없다. 즉, 상대를 속여도 괜찮다는 뜻이다.

5.4.1. 카운터

주도권 카운터 이외에 블래스트 카운터와 계획 카운터가 게임에 추가된다. 추가된 카운터의 기능은 아래와 같다.
  • 플레이어가 블래스트 카운터를 가질 때 각 상대의 기지에게 1 피해를 준다.
  • 플레이어가 계획 카운터를 가질 때 자신의 덱에서 카드 1장을 뽑는다. 그런 다음, 손패에서 카드 1장을 선택해 자신의 덱 맨 아래에 둔다 (방금 뽑은 카드도 둘 수 있다).

기존의 주도권 갸져오기 행동은 카운터 가져오기 행동으로 교체되며, 이 행동을 했을 때 이번 라운드에 아직 클레임되지 않은 카운터 1개를 가져갈 수 있다. 기존의 주도권 가져오기 행동처럼 카운터 가져오기 행동을 했을 경우 해당 플레이어는 그 라운드 동안 더 이상 패스 이외의 행동을 할 수 없다. 모종의 이유로 한 플레이어가 2개의 주도권 토큰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도권 카운터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카운터 가져오기 행동을 통해 또다른 카운터를 가져갔을 경우.

라운드가 끝날 때 주도권 카운터를 제외한 블래스트 카운터와 계획 카운터를 게임 중앙 영역에 돌려놓는다. 주도권 카운터는 기본 게임처럼 원래 가지고 있던 플레이어가 누가 먼저 가져가지 않는 한 계속 가지고 있다.

3인 게임에서는 누군가 세 번째로 카운터를 가져가면 행동 단계가 끝나며, 4인 게임에서는 세 개의 카운터를 모두 가져간 후 남은 플레이어가 다른 행동을 할 수 없거나 하지 않기로 선택한 경우 행동 단계가 종료된다.

5.4.2. 행동 단계

다른 플레이어를 제거한 플레이어는 자신의 기지에서 5 피해를 회복한다. 하지만 자신의 기지에 공격해서 자신을 제거하면 자신의 기지에서 피해는 회복되지 않는다.

행동으로 일시적인 패스는 불가능하다[15]. 가져올 수 있는 카운터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에만 일시적인 패스를 할 수 있다. 혼자 남은 경우에 패스를 하면 자동적으로 해당 행동 단계가 종료된다.

5.4.3. 게임 종료

플레이어 한 명이 제거되면, 진행중인 단계를 끝내자마자 게임이 종료된다. 자신의 기지에 가장 많은 체력이 남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동률일 경우, 승리를 함께 공유한다. 정치질을 하는 이유

5.4.4. 덱 구성 요건

각 플레이어의 덱에는 리더 한 명이 아닌 두 명을 포함해야 한다. 다만 선택된 리더 두 명의 악행 또는 영웅심 속성이 반드시 서로 같아야한다. 기지는 1개만 선택한다.

덱은 최소 50장으로 구성되어야하며, 각 카드의 사본은 정확히 한 장씩만 포함할 수 있다.

앞으로 세트가 많아질 수록 덱의 최소 장수는 증가한다.


[1] 이때는 카드를 배치한 것이고 플레이한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2] 카드 효과로 인해 달라질 수 있다.[3] 멀리건 1번 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모든 카드를 덱에 섞고 6장을 다시 뽑는다.[4] 유닛과 자원을 플레이하면 소진 상태로 게임 내에 들어간다.[5] 두명이 연속적으로 패스하지 않는 이상 패스를 해도 자신의 턴은 계속 돌아오는 점을 주의해야한다.[6] 게임 중 단 한 번만 발동할 수 있다.[7] 최소 자원 X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8] 기지는 공격 불가[9] 비용으로 나와있는 속성 아이콘은 자신의 리더와 기지 속성에 따라 자원 패널티를 받을 수도 있다.[10] Capture: 사로잡은 유닛 밑에 사로잡힌 유닛을 뒷면으로 둔다. 이때 사로잡힌 유닛이 받았던 데미지와 붙여진 업그레이드를 모두 버린다. 사로잡았던 유닛이 패배하면 풀려난다.[11] 일반적으로 재편성 단계[12] 기본적으로 10장이며 프리미어를 제외한 다른 포맷에선 달라질 수 있다. 리더와 기지 카드 제외.[13] 상대와 첫 번째 매치 전에는 카드를 교체하거나 추가할 수 없다. 그리고 3전 2선승제가 끝난 후 다른 상대를 만나기 전에는 반드시 초기 덱으로 돌려놓아야 한다.[14] 2전 혹은 3전[15] 2인 게임에서는 '소프트' 패스 즉, 일시적인 패스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