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5 시즌 스쿼드 |
1 포프 · 2 카츠야 · 6 와타나베 · 7 에우베르 · 8 키다(C) · 9 다이야 · 10 A.로페스 · 11 얀 마테우스 11 J.퀴뇨네스 · 14 우에나카 · 16 렌 · 17 켄타 · 19 박일규 · 20 준 · 21 이이쿠라 · 23 료 · 25 토이치 27 켄 · 28 야마네 · 31 키무라 · 33 스와마 · 34 타쿠토 · 37 에이타로 · 39 타이키 · 42 모치즈키 · 43 노구치 44 뎅 · 45 장 클로드 · 46 아사다 · 47 야마무라 |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colcolor=#fff> 요코하마 F. 마리노스 No. 33 | ||||||
스와마 코세이 [ruby(諏訪間, ruby=す わ ま)] [ruby(幸, ruby=こう)][ruby(成, ruby=せい)] | Kosei Suwama | ||||||
<colbgcolor=#d22538> 출생 | 2003년 6월 6일 ([age(2003-06-06)]세) | |||||
카나가와현 후지사와시 | ||||||
국적 |
| |||||
신체 | 키 186cm / 체중 85kg | |||||
포지션 | 센터백 | |||||
주발 | 오른발 | |||||
등번호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33 | ||||
소속 | <colbgcolor=#d22538><colcolor=#fff> 유스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16~2021) 츠쿠바대학 (중퇴) (2022~2024) | ||||
선수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5.3~ )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22538><colcolor=#fff> 가족 | 아버지 스와마(1976년생)[1] | ||||
학력 | 쇼난다이([ruby(湘南台, ruby=しょうなんだい)])중학교 (졸업)[2] 야마토미나미([ruby(南, ruby=みなみ)])고교 (졸업)[3] 츠쿠바대학 (중퇴) | |||||
역대 등번호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33번 |
1. 개요
일본 국적의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에이스급 프로레슬러인 '인간흉기' 스와마(본명 스와마 코헤이)의 장남으로도 유명하다.
2. 경력
2.1. 초창기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프로레슬러 스와마가 실업 레슬링 선수였던 시절[4] 스와마의 장남으로 태어난 스와마 코세이는 유치원 때는 아버지를 따라 레슬링을 했으나, 초등학생 때 '(레슬링보다) 아프지 않고, 모두 함께 볼을 쫓는 것이 즐겁다'라는 이유로 축구를 시작하여 중학생 때부터 일찍이 잠재력을 인정받아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주니어 유스에 입단했다.2018년 U-15 대표팀에 발탁되었고, 주장으로 활약하며 이름을 날린 스와마 코세이는 고교 시절에 이미 마리노스 탑팀에 2종 등록되었으며, J2리그 클럽이 영입을 노리는 선수가 되었다.
하지만 고등학교 3학년 때 마리노스 탑팀 승격에 실패하자 스와마 코세이는 아버지 스와마와 상담한 이후 '요코하마는 우승 경쟁을 하는 팀이고, 고졸 프로는 힘들다'라는 판단 하에 츠쿠바대학행을 택했고, 츠쿠바대학에서 더욱 발전하면서 2학년 때 탑팀 승격을 거절했던 요코하마 측에서 역으로 입단 오퍼가 왔다.
이윽고 2022년 U-19 대표팀과 2023 AFC U-20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대표팀까지 선정될 정도로 대학 탑급 센터백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이 기대를 반영하듯 2024년 3월, 졸업 직후인 2026년 즉시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입단이 내정됨과 동시에 대학 재학 중에도 요코하마가 원하면 언제든 요코하마 소속으로 경기를 출전할 수 있는 특별 대우를 받았다.
2.2. 클럽 경력
2.2.1.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5년 2월 23일, 산프레체 히로시마 전에서 3분간 교체 투입되었던 스와마 코세이는 2025년 3월 6일, 본래 2025년까지였던 대학 생활을 중퇴로 마무리하고 본래 2026년부터 정식 입단하기로 되어 있었던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 정식 입단했다.4월 5일 도쿄 베르디 전에서 90분 풀타임을 소화하며 정식 데뷔하였고, 경기는 0 - 0 무승부를 기록했다.
3. 여담
- 성인 스와마([ruby(諏訪間, ruby=す わ ま)])는 일본 전국에 670명만이 존재하여 성씨 순위 약 1만위대를 기록하는 희귀 성씨이다.
-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에이스급 프로레슬러 스와마([ruby(諏訪魔, ruby=す わ ま)], 본명 스와마 코헤이([ruby(諏訪間, ruby=す わ ま)] [ruby(幸平, ruby=こうへい)]))의 장남으로, 스와마가 프로레슬러로 전향하기 이전이었던 2003년에 태어났다. 스와마는 2004년 4월에 전일본에 입단했는데 이 때 입단식에 아기였던 스와마 코세이를 데리고 왔기 때문에 아기를 데리고 입단한 프로레슬러로 화제가 되었다.
- 아버지 스와마의 경기 중 가장 잊을 수 없는 경기로 2008년 4월, 스와마 코세이가 5살 때 치러진 2008 챔피언 카니발 결승전 (스와마 vs 타나하시 히로시)[5]을 꼽았다. 스와마 코세이는 아버지가 피니셔 라스트 라이드로 타나하시를 꺾는 모습을 어머니와 TV로 직접 봤으며, 이윽고 스와마가 스와마의 몸집만한 우승 트로피를 가지고 집에 온 후 코세이에게 '트로피를 들어봐라'라고 했는데 두 손으로 들어봐도 꿈쩍도 안 하자 스와마가 웃으면서 한 손에는 트로피를, 한 손에는 자기를 가볍게 번쩍 들었던 것이 가장 인상 깊었다고 한다.
- 아버지의 상징 포즈인 호쾌한 표정을 지으며 손가락으로 전방 대각선을 가르키는 포즈를 자신의 상징으로도 삼고 있다.
- 다양한 단체에서 최종 보스와 같은 활약을 보여준 프로레슬러였던 '제왕' 타카야마 요시히로의 조카인 비셀 고베 소속(FC 류큐 임대이적 상태) 골키퍼 타카야마 시오키(髙山 汐生)가 대학 2년 선배로, 대학에 들어왔을 때 타카야마가 스와마를 불러서 "내 숙부[6]가 타카야마 요시히로야"라고 이야기해주어서 알게 되었다고 한다. 이걸 들은 스와마 코세이도 깜짝 놀라서 바로 아버지에게 전화했다고 하며, 프로레슬링계에서 때로는 대결하고, 때로는 태그팀으로 함께 활약했던 스와마와 타카야마 요시히로의 각각 아들과 조카가 한 팀에서 동료로 뛴 것이 프로레슬링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4. 같이 보기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5 시즌 선수 명단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5 시즌 | |||||||
<rowcolor=#ffffff> 등번호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생년월일 | 신체 조건 | 비고 | |
1 | | GK | 포프 윌리엄 | William Popp | 1994.10.21 | 192cm, 86kg | ||
2 | | DF | 나가토 카츠야 | Katsuya Nagato | 1995.08.25 | 173cm, 73kg | ||
6 | | MF | 와타나베 코타 | Kota Watanabe | 1998.10.18 | 165cm / 61kg | ||
7 | | FW | 에우베르 | Élber | 1992.05.27 | 170cm, 70kg | ||
8 | | MF | 키다 타쿠야 | Takuya Kida | 1994.08.23 | 170cm / 64kg | 주장 | |
9 | | FW | 토노 다이야 | Daiya Tono | 1999.03.14 | 166cm, 66kg | ||
10 | | FW | 안데르송 로페스 | Anderson Lopes | 1993.09.15 | 185cm / 82kg | ||
11 | | FW | 얀 마테우스 | Yan Matheus | 1998.09.04 | 170cm / 71kg | ||
13 | | DF | 제이슨 퀴뇨네스 | Jeison Quiñónes | 1997.08.17 | 185cm, 86kg | ||
14 | | FW | 우에나카 아사히 | Asahi Uenaka | 2001.11.01 | 179cm, 75kg | ||
16 | | DF | 카토 렌 | Ren Kato | 1999.12.28 | 175cm, 72kg | ||
17 | | MF | 이노우에 켄타 | Kenta Inoue | 1998.07.23 | 171cm, 69kg | ||
19 | | GK | 박일규 | Park Il Gyu | 1989.12.22 | 180cm, 76kg | ||
20 | | MF | 아마노 준 | Jun Amano | 1991.07.19 | 175cm, 67kg | ||
21 | | GK | 이이쿠라 히로키 | Hiroki Iikura | 1986.06.01 | 181cm, 71kg | ||
23 | | FW | 미야이치 료 | Ryo Miyaichi | 1992.12.14 | 183cm, 70kg | ||
25 | | MF | 스즈키 토이치 | Toichi Suzuki | 2000.05.30 | 165cm, 61kg | ||
27 | | DF | 마츠바라 켄 | Ken Matsubara | 1993.02.16 | 180cm / 77kg | ||
28 | | MF | 야마네 리쿠 | Riku Yamane | 2003.08.17 | 173cm, 65kg | ||
31 | | GK | 키무라 료야 | Ryoya Kimura | 2003.06.10 | 187cm, 81kg | ||
33 | | DF | 스와마 코세이 | Suwama Kosei | 2003.06.06 | 186cm, 85kg | [1] | |
34 | | MF | 키무라 타쿠토 | Takuto Kimura | 2000.05.16 | 170cm, 69kg | ||
37 | | MF | 마츠다 에이타로 | Eitaro Matsuda | 2001.05.20 | 170cm, 64kg | ||
39 | | DF | 와타나베 타이키 | Taiki Watanabe | 1999.04.22 | 180cm, 75kg | ||
42 | | MF | 모치즈키 코헤이 | Kohei Mochizuki | 2006.06.07 | 178cm, 76kg | ||
43 | | DF | 노구치 레노 | Reno Noguchi | 2006.05.30 | 178cm, 76kg | ||
44 | | DF | 토머스 뎅 | Thomas Jok Deng | 1997.03.20 | 182cm, 73kg | ||
45 | | MF | 장 클로드 | Jean Claude | 2003.12.14 | 186cm, 73kg | ||
46 | | FW | 아사다 히로토 | Hiroto Asada | 2008.01.16 | 180cm, 77kg | ||
47 | | MF | 야마무라 카즈야 | Kazuya Yamamura | 1989.12.02 | 186cm, 80kg | ||
<colbgcolor=#203078> 구단 정보 | ||||||||
감독: 스티브 홀랜드 / 홈구장: 닛산 스타디움 | ||||||||
출처: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웹사이트 |
}}}}}}}}} ||
[1]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에이스급 프로레슬러이자 비상근 이사. '인간흉기'라는 별명과 그에 걸맞는 188cm 120kg의 피지컬로 이름을 날렸다.[2] 아버지 스와마와, 도쿄 죠시 프로레슬링 소속 여성 프로레슬러 카미후쿠 유키가 이곳 출신이다. 아버지 스와마는 야구부 출신이었다.[3] 고향 후지사와시 인근의 야마토시 소재. 일본 전국에서 손꼽히는 여자 배구 명문으로 유명하다.[4] 스와마는 2004 아테네 올림픽 출전을 노리고 실업 레슬링 선수 생활을 계속했으나, 아테네 올림픽에서 자신이 출전할 계급의 출전 범위가 없어진 일로 인해 목표를 잃고 붕 뜨고 말았고, 츄오대학 선배이자 국회의원 프로레슬러로 끗발을 날리던 '북두의 유성' 하세 히로시의 스카웃을 받고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단했다.[5] 스와마는 입단 4년만에 전일본의 떠오르는 에이스로 자리잡았고, 현 신일본 프로레슬링 선수 겸 사장 타나하시 히로시는 전일본의 라이벌 단체인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떠오르는 에이스였으며, 이 경기는 양 단체의 떠오르는 에이스끼리의 대결이 되었다.[6] 아버지의 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