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해군사관학교에서 임관을 앞둔 4학년 사관생도들에게[1] 해군 장교로서 필요한 전문지식과 실무 적응능력을 배양시키고 순방국과 우호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목적 군사훈련이다. 훈련을 위해 순항훈련전단(20XX Cruise Training Task Group)이 구성되며, 전단장은 보통 해군사관학교의 생도대장(부교장 겸임)인 해군준장[2], 참모장은 해군대령, 참모장 예하에 인사, 정보, 작전, 군수 등 각 분야의 참모들이 실무자로 순항훈련을 이끌어간다. 실습대장은 해군중령이 맡는다. 기수마다 다르지만 실습기간이 몇 달에 달하는 만큼 하정복뿐만 아니라 동정복도 챙겨가야 한다. 또한 겨울에는 2학년 생도를 대상으로 3군합동순항훈련을 한반도 주변에서 2주 동안 실시한다.2. 역사
1954년 해사 9기 생도를 대상으로 처음 시작하여, 이후 매년 실시되고 있다. 훈련 기간과 항해 코스는 국력신장과 더불어 점차 장기간, 장거리로 늘어났다.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는 동남아 지역을 순항하는데 그쳤으나, 1970년대에는 미주지역과 중동, 아프리카 지역으로 순항 항로를 개척하였으며, 호주, 뉴질랜드, 피지, 리바울 등 20여 지역을 순항하였다. 특히 1991년도 순항훈련에서는 4개월여의 기간 동안 동남아지역을 거쳐 한국 해군 최초로 수에즈 운하를 통과, 지중해 및 대서양 등 유럽 해역을 순항하는 역사적 항해를 완수하는 쾌거를 이룩하였다. 1992년, 1995년, 2007년, 2013년, 2015년, 2019년, 2023년에는 세계일주 순항훈련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제한된 여건 속에서 진행되었다. 기항지를 대폭 축소하고 대외활동도 모두 취소했다. 항해훈련도 2단계로 시행했다. 1단계는 원양 항해훈련으로 먼바다에서 훈련을 실시하며 말레이시아(포트클랑)와 미국(괌)을 방문하였다. 2단계는 국내 항해훈련으로 제주도를 중심으로 동·서·남해 훈련을 이어갔다. 천지급 군수지원함 또는 소양급 군수지원함과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또는 울산급 호위함이 1척씩 훈련에 차출되었으나, 한산도급 훈련함 1번함 한산도함이 건조됨에 따라 한산도함이 취역 이후 이 역할을 대신할 것으로 보인다.타군 장교, 후보생 및 해군 수병들이 가는 경우도 있으며, 실제로 2학년을 대상으로 한 3군합동순항훈련은 육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및 국군간호사관학교 생도들도 참가한다.
3. 역대 순항훈련전단
|| 연도 || 전단장 || 기간 || 참가함정 || 기항지 ||
1973(사28) | 준장 황의성 | 1973.10.24~1973.12.17 | 웅포, 전남(PG/APD) | 미국령 괌, 뉴기니, 호주, 뉴질랜드, 피지 등 5개국 6개항 |
1974(사29) | 준장 정원민 | 1974.11.01~1974.12.16 | 경북, 제주(PG/APD) |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대만 등 5개국 6개항 |
1975(사30) | 준장 이정선 | 1975.10.18~1975.12.28 | 전북(DD) 웅포(PG/APD) | 필리핀, 싱가폴, 인도, 이란, 인도네시아 등 5개국 7개항 |
1976(사31) | 준장 고중덕 | 1976.05.29~1976.08.20 | 충북(DD) 전남(PG/APD) | 미국, 캐나다, 대만 등 3개국 8개항 |
1977(사32) | 준장 이종수 | 1977.10.13~1978.01.09 | 전북(DD) 경남(PF/APD) | 필리핀, 싱가폴, 인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케냐,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대만 등 9개국 10개항 |
1978(사33) | 준장 김영배 | 1978.06.22~1978.09.07 | 충북(DD) 경남(PF/APD) | 미국, 캐나다, 대만 등 3개국 8개항 |
1979(사34) | 준장 황규학 | 1979.10.26~1979.12.08 | 대구, 대전(DD) | 필리핀, 태국, 싱가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대만 등 6개국 7개항 |
1980(사35) | 준장 정현경 | 1980.10.16~1980.12.27 | 광주, 강원(DD) | 미국, 캐나다, 대만 등 3개국 8개항 |
1981(사36) | 준장 김종호 | 1981.10.15~1981.12.29 | 전북, 대전(DD) |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폴, 인도네시아, 대만 등 6개국 6개항 |
1982(사37) | 준장 정용근 | 1982.10.08~1982.12.28 | 대전, 강원(DD) |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 3개국 11개항 |
1983(사38) | 준장 김종호 | 1983.11.10~1983.12.20 | 광주, 전주(DD) | 미국 등 1개국 3개항 |
1984(사39) | 준장 김철우 | 1984.11.05~1984.12.18 | 전북, 경기(DD) | 미국 등 1개국 3개항 |
1985(사40) | 준장 김홍길 | 1985.11.07~1985.12.20 | 충북, 강원(DD) | 필리핀, 태국, 싱가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대만 등 6개국 7개항 |
1986(사41) | 준장 여운길 | 1986.10.18~1986.12.17 | 대전, 전주(DD) | 미국령 괌, 뉴기니, 호주, 뉴질랜드, 사모아, 피지, 파푸아뉴기니, 대만 등 8개국 8개항 |
1987(사42) | 준장 김홍렬 | 1987.10.13~1987.12.14 | 서울, 충남(FF) | 필리핀, 태국, 싱가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대만, 미국령 괌 등 7개국 8개항 |
1988(사43) | 준장 박연용 | 1988.10.13~1988.12.22 | 마산, 경북(FF) | 미국, 캐나다 등 2개국 7개항 |
1989(사44) | 준장 이기정 | 1989.10.10~1989.12.20 | 충남, 경북(FF) |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몰디브, 인도네시아, 싱가폴 등 9개국 9개항 |
1990(사45) | 준장 이수용 | 1990.10.29~1991.02.11 | 전남, 제주(FF) | 미국, 멕시코, 페루, 칠레 등 4개국 6개항 |
1991(사46) | 준장 장정길 | 1991.09.09~1992.01.09 | 충남, 제주(FF) | 필리핀, 말레이시아, 몰디브,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영국, 포르투갈, 스페인, 그리스, 인도네시아, 대만 등 14개국 15개항 |
1992(사47)[3] | 준장 윤광웅 | 1992.09.14~1993.01.21 | 충남, 마산(FF) | 미국, 멕시코, 파나마, 베네수엘라, 브라질, 나이지리아, 세네갈, 포르투갈, 프랑스, 이탈리아,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몰디브, 말레이시아 등 14개국 18개항 |
1993(사48) | 준장 김태일 | 1993.09.08~1993.12.27 | 천지(AOE) 경북, 제주(FF) | 필리핀, 브루나이, 태국, 싱가폴,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호주, 뉴질랜드, 사모아, 솔로몬 제도, 북마리아나 등 16개국 16개항 |
1994(사49) | 준장 한상기 | 1994.08.16~1994.12.26 | 천지(AOE) 서울, 마산(FF) |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사우디아라비아, 이탈리아, 포르투갈, 영국, 독일, 프랑스, 그리스, 러시아, 터키, 이집트,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등 16개국 16개항 |
1995(사50)[4] | 준장 정병두 | 1995.08.02~1995.12.20 | 천지(AOE) 부산, 청주(FF) | 태국,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이탈리아, 프랑스, 모로코, 스페인, 미국, 푸에르토리코,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파나마, 멕시코 등 15개국 19개항 |
1996(사51) | 준장 오승렬 | 1996.09.16~1996.12.16 | 천지(AOE) 충남, 전남(FF) | 러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호주, 뉴질랜드, 피지, 미국, 일본 등 12개국 12개항 |
1997(사52) | 준장 이상필 | 1997.09.04~1997.12.16 | 천지(AOE) 마산, 청주(FF) | 캐나다, 미국, 멕시코, 과테말라, 에콰도르, 칠레,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등 7개국 11개항 |
1998(사53) | 준장 최기출 | 1998.10.22~1998.12.28 | 대청(AOE) 서울(FF) | 러시아, 홍콩, 싱가포르, 방글라데시,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필리핀, 일본 등 8개국 8개항 |
1999(사54) | 준장 조학제 | 1999.10.29~2000.01.21 | 화천(AOE) 경북, 제주(FF) | 베트남, 태국,인도네시아, 솔로몬, 호주, 뉴질랜드, 피지, 사모아, 미국 등 9개국 9개항 |
2000(사55) | 준장 정병칠 | 2000.10.09~2001.02.05 | 광개토대왕(DDH) 대청(AOE) 청주(FF) | 러시아, 미국, 캐나다, 멕시코, 과테말라, 페루,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호주, 필리핀, 일본 등 10개국 13개항 |
2001(사56) | 준장 안기석 | 2001.10.22~2002.01.13 | 을지문덕(DDH) 화천(AOE) 부산(FF) | 중국,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방글라데시, 몰디브, 인도,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등 10개국 10개항 |
2002(사57) | 준장 장승학 | 2002.10.08~2003.01.30 | 광개토대왕(DDH) 천지(AOE) 제주(FF) | 일본, 러시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칠레, 페루, 에콰도르, 과테말라, 멕시코, 미국 등 9개국 14개항 |
2003(사58) | 준장 김중련 | 2003.10.13~2004.01.16 | 양만춘(DDH) 대청(AOE) 원산(MLS) | 중국, 필리핀,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호주, 뉴질랜드, 피지, 솔로몬, 미국 등 13개국 13개항 |
2004(사59) | 준장 오성규 | 2004.09.22~2004.12.29 | 양만춘(DDH) 화천(AOE) 원산(MLS) | 러시아, 일본, 미국, 캐나다, 멕시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등 6개국 10개항 |
2005(사60) | 준장 최윤희 | 2005.05.07~2005.09.09 | 충무공이순신(DDH) 천지(AOE) | 싱가포르, 오만, 이집트, 포르투갈,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스, 터키, 인도, 중국 등 12개국 12개항 |
2006(사61) | 준장 손정목 | 2006.08.30~2006.12.21 | 대조영(DDH) 대청(AOE) | 러시아, 일본, 미국, 캐나다, 멕시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뉴질랜드, 호주, 솔로몬 등 9개국 12개항 |
2007(사62) | 준장 임철순 | 2007.08.29~2007.12.24 | 충무공이순신(DDH) 화천(AOE) | 중국, 베트남, 인도, 이집트,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미국, 일본 등 9개국 12개항 |
2008(사63) | 준장 운영식 | 2008.08.25~2008.12.24 | 대조영(DDH) 천지(AOE) | 러시아, 일본, 태국, 싱가포르, 인도, 이집트, 터키, 그리스, 오만, 아랍에미리트연합, 바레인, 몰디브,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15개국 15개항 |
2009(사64) | 준장 김동균 | 2009.05.27~2009.08.31 | 최영(DDH) 대청(AOE) | 브루나이, 스리랑카, 사우디아라비아, 이탈리아, 프랑스, 이집트, 지부티, 싱가포르, 필리핀 등 9개국 9개항 |
2010(사65) | 준장 이병권 | 2010.07.02~2010.09.30 | 양만춘(DDH) 화천(AOE) | 캐나다, 미국, 뉴질랜드, 호주,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등 7개국 8개항 |
2011(사66) | 준장 최양선 | 2011.09.19~2011.12.23 | 강감찬(DDH) 천지(AOE) | 베트남, 스리랑카,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이탈리아, 프랑스, 그리스, 인도, 말레이시아, 일본 등 10개국 10개항 |
2012(사67) | 준장 박문영 | 2012.09.14~2012.12.28 | 충무공이순신(DDH) 대청(AOE) | 러시아, 미국, 멕시코, 콜롬비아, 페루, 칠레, 뉴질랜드, 호주, 파푸아뉴기니, 중국 등 10개국 11개항 |
2013(사68) | 준장 장수홍 | 2013.07.25~2013.12.09 | 대조영(DDH) 화천(AOE) |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 터키, 영국, 프랑스, 벨기에,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캐나다, 미국, 파나마, 에콰도르 등 14개국 15개항 |
2014(사69) | 준장 천정수 | 2014.09.18~2014.12.23 | 최영(DDH) 천지(AOE) | 미국, 호주,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인도, 미얀마, 말레이시아, 베트남, 러시아 등 11개국 11개항 |
2015(사70) | 준장 김종삼 | 2015.08.27~2016.01.05 | 강감찬(DDH) 대청(AOE) | 중국(상하이), 태국(싸타힙), 인도(첸나이), 사우디아라비아(제다), 이집트(알렉산드리아), 터키(이즈미르), 이탈리아(치비타베키아), 스페인(바르셀로나), 프랑스(쎄르부르), 네덜란드(로테르담), 영국(포츠머스), 캐나다(몬트리올), 미국(뉴욕), 콜롬비아(카르타헤나), 멕시코(아카풀코), 미국(하와이) 등 15개국 16개항 |
2016(사71) [5] | 준장 이상훈 | 2016.09.05~2016.12.16 | 충무공이순신(DDH) 천지(AOE) | 일본, 러시아, 미국,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뉴질랜드, 호주, 파푸아뉴기니,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11개국 12개항 |
2017(사72) [6] | 준장 양용모 | 2017.09.11~2017.12.18 | 강감찬(DDH) 화천(AOE) | 베트남(다낭), 인도(뭄바이), 아랍에미리트(아부다비), 쿠웨이트(슈와이크), 스리랑카(콜롬보), 인도네시아(수라바야), 태국(파타야), 말레이시아(코타키나발루), 미국(괌), 일본(요코스카) 등 10개국 10개항 |
2018(사73) [7] | 준장 이수열 | 2018.09.07~2019.01.19 | 충무공이순신(DDH) 대청(AOE) | 미국(하와이), 멕시코(아카풀코), 미국(볼티모어), 프랑스(쉘부르), 벨기에(앤트워프), 독일(함부르크), 영국(포츠머스), 파나마(발보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파페테), 파푸아뉴기니(포트모르즈비), 중국(상하이) 등 9개국 12개항 |
2019(사74) [8] | 준장 양민수 | 2019.08.28~2020.01.15 | 문무대왕(DDH) 화천(AOE) | 필리핀(마닐라), 베트남(다낭), 태국(싸타힙), 인도(뭄바이), 이집트(알렉산드리아), 이탈리아(치비타베키아), 네덜란드(로테르담), 스웨덴(스톡홀름), 노르웨이(오슬로), 미국(노퍽), 콜롬비아(카르타헤나), 미국(샌디에고), 캐나다(밴쿠버), 미국(하와이) 등 12개국 14개항 |
2020(사75) | 준장 김경철 | 2020.10.14~2020.12.11 | 강감찬(DDH) 소양(AOE) | 말레이시아, 미국 등 2개국 2개항 |
2021(사76) [9] | 준장 박규백 | 2021.10.22~2021.12.23 | 왕건(DDH) 소양(AOE) | 미국, 캐나다 등 2개국 5개항 |
2022(사77) [10] | 준장 강동구 | 2022.09.02~2022.12.20 | 한산도(ATH) 대청(AOE) | 배트남, 말레이시아, 미국등 9개국 10개항 |
2023(사78) [11] | 준장 조충호 | 2023.08.28~2024.01.15 | 한산도(ATH) 화천(AOE) | 미국, 콜롬비아, 캐나다, 독일, 영국, 프랑스, 스페인,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인도, 방글라데시, 필리핀, 일본등 13개국 14개항 |
2024(사79) [12] | 준장 김동래 | 2024.09.05~2024.12.23 | 한산도(ATH) 대청(AOE) | 미국(하와이), 캐나다(빅토리아), 미국(샌디에고), 멕시코(아카풀고), 에콰도르(과야길), 타히티(파페테), 피지(수바), 뉴질랜드(오클랜드), 호주(시드니), 미국(괌)등 8개국 10개항 |
4. 합동 순항훈련
3군 사관학교 생도들이 참가하는 순항훈련으로, 주로 2주 동안 국내 관할 바다에서 해상훈련을 시행하며 이외에도 군항, 전승지 등을 방문하여 견학 등 여러 활동을 한다. 일본 등 주변국을 방문하기도 한다. 합동 순항훈련은 각군 사관학교 간 통합교육의 일환으로 시행하며 2학년 생도들이 대상이다.[13]처음에는 함정실습으로 불리다가 2018년 훈련부터 합동순항훈련으로 부르게 되었다. 동시에 원래 1월에 실시하던 것을 순항훈련과 비슷한 하반기로 변경했다. 주 내용은 독도/이어도 및 각지 군항 방문, 해외 안보사적 답사, NLL 수호용사 해상헌화, 평택 서해수호관 견학, 항해당직 체험, 전술기동 및 대잠전, 해상사격 등 각종 해상훈련으로 구성된다.
육군, 공군, 해군 및 간호사관학교의 2학년 생도들이 참가한다. 일반 순항훈련처럼 합동순항훈련전단이 창설되어 훈련을 주관한다.
합동순항훈련은 육해공+간호사관학교 생도들 전체가 대상인 만큼 해사 순항훈련보다 참가인원이 많기 때문에 주로 천왕봉급 상륙함이 차출되며 교육사 실습함정으로 지정된 배[14] 중 한 척이 동행하는 식으로 구성된다.
4.1. 역대 합동순항훈련전단
역대 함정실습전단 | ||||
연도 | 전단장 | 기간 | 참가함정 | 방문지 |
2018 | 준장 박세길 | 2018.01.25~2018.02.04 | 독도(LPH) 최영(DDH) | 독도, 부산, 이어도, 백령도, 평택 등 |
역대 합동순항훈련전단 | ||||
연도 | 전단장 | 기간 | 참가함정 | 방문지 |
2018 | 준장 이성열 | 2018.10.28~2018.11.18 | 천왕봉, 일출봉(LST) 대조영(DDH) | 독도, 이어도, 백령도, 사세보(일본), 블라디보스토크(러시아) 등 |
2019 | 준장 강성원 | 2019.11.05~2019.11.19 | 천자봉, 일출봉(LST) 남포(MLS) | 블라디보스토크(러시아), 부산, 제주, 평택 등 |
2020 | 준장 박후병 | 2020.11.11~2020.11.20 | 노적봉, 천왕봉(LST) 남포(MLS) | 독도, 백령도, 부산, 평택 등 |
2021 | 2021.11.17~2021.11.26 | 한산도(ATH) 일출봉, 노적봉(LST) |
5. 유사 사례
공군사관학교의 경우에는 2005년부터 해외항법훈련을 실시한다.[1] 순항훈련 전 3학년 때는 하계연안실습을 한다.[2] 관례상 차출함정의 원소속 전단장이 순항훈련전단장을 겸임하던 시절이 있었다. 때문에 DDH가 제5성분전단 소속이던 시절엔 5전단장이 순항훈련전단장을 겸임하곤 했다.[3] 순항훈련 사상 최초로 세계일주를 했다.[4] 지금까지 최장거리 항해로 해사 50기 생도가 30698NM(56853km) 세계 일주로 140일간 15개국 19개항을 항해했다.[5] 107일 35300km[6] 98일 34369km[7] 총 항해거리 33500NM(약 60000km, 135일 중 102일 항해)[8] 순항훈련 6번째 세계일주. 총 기간 143일로 기간은 가장 길었다. 5만9천여 km 항해[9] 67일[10] 110일[11] 141일[12] 일[13] 국방부는 2012년부터 각군 사관학교 생도들의 통합성 강화를 위해 통합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1학년은 육군, 2학년은 해군, 3학년은 공군에서 주관한다.[14] 한산도급 훈련함, 남포급 기뢰부설함 등 신예 함정이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