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실존했던 공룡}}}에 대한 내용은 [[수코미무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수코미무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수코미무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실존했던 공룡: }}}[[수코미무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수코미무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수코미무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수코미무스 Suchomimus | |
<nopad> | |
<colbgcolor=#ff8c00><colcolor=#ffffff> 학명 | 수코미무스 테네렌시스Suchomimus tenerensis |
출생 | 이슬라 누블라 |
체고 | 3m |
길이 | 9.5m |
체중 | 2.5t |
포효 소리 | |
등장 작품 | 《쥬라기 월드: 카오스 이론》 |
1. 개요
쥬라기 월드 시리즈의 수코미무스. 쥬라기 월드: 카오스 이론에서 첫 등장하였다.2. 특징
스피노사우루스, 바리오닉스의 뒤를 이어 월드 시리즈에서 3번째로 등장한 스피노사우루스과 수각류다.기존의 새로 등장한 수각류들의 고질적인 디자인 요소인 덧니와 악어 골판이 없는 담백한 고증 디자인과 깔끔한 배색 덕분에 호평이 많은 편이다.
3. 등장 작품
3.1. 쥬라기 공원 3
위에 서술했듯 직접 등장하지는 않고, 빌리 브렌넌의 대사에서 바리오닉스와 함께 짤막하게 언급된다.3.2. 쥬라기 월드
설정상 수코미무스들은 바리오닉스처럼은 비교적 온순하고 물고기를 주식으로 삼기에, 정글라이드 강가에 방생해 다른 초식공룡들과 함께 배치되었으며, 관람객들은 백악기 크루즈로 수코미무스들을 관람했다고 한다.
3.3.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영화에 직접적인 출연은 없지만 DPG 웹사이트에서 범플풋이라는 병에 걸려 죽어가는 개체를 렉시가 노리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이 실렸다.디자인은 쥬라기 월드의 컨셉아트와 동일하나 깃털이 덜 달려있고 색상이 선명해졌다.
3.4. 쥬라기 월드: 카오스 이론
본편에 새롭게 등장한 종으로, 부두에서 풀려나 사람들과 파라사우롤로푸스 한마리를 공격한다. 파라사우롤로푸스의 등을 물고있다가 카르노타우루스 한마리와 시비가 붙게되어 물고있던 파라사우롤로푸스를 놓아주고 카르노타우루스와 싸우다 컨테이너에 머리를 박는데, 하필 머리를 박은 곳이 티렉스인 엄마 이티의 컨테이너 스위치였고, 수코미무스로 인해 풀려난 엄마 이티가 기름통을 터트려 부두에 불을 지르며 포효하자 다른 공룡들과 함께 도망친다.시즌 2에서는 2마리가 출연한다. 한마리는 스테고사우루스들과 대치하지만 도망친다. 다른 한마리는 주인공 일행을 추격하는 빌런으로 등장하는데, 중간에 하마와 마주쳐서 싸운다. 낮부터 싸워서 저녁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이며, 이후 밤에 수코미무스가 하마를 먹고있는 모습으로 등장해 하마와의 싸움에서 승리했음을 보여준다.[1]
이후 물로 뛰어든 야즈를 잡기 위해 물속으로 잠수해서 공격하지만 결국 야즈는 달아나고, 주인공 일행을 다시 마주쳐 추격하다가 마준가사우루스를 만나 싸우게 되는데, 처음에는 마준가사우루스의 목을 먼저 물고, 반항도 잘하며 비등비등하게 잘 싸우는 듯 싶다가 반격하는 마준가사우루스에게 목을 제대로 물려 패배하고 만다.[2]
4. 게임
4.1. 워패스: 쥬라기 공원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서 최초로 등장. 크기가 무려 스피노사우루스만 하며 생김새도 억어얼굴을 한 티라노라고 봐도 무방하다.정작 스피노사우루스는 구형 복원도라 돛달린 알로사우루스 모습에 전투방식은 엉뚱하게도 랩터이며, 크기도 수코미무스보다 작다.
4.2. 쥬라기 월드: 더 게임
이 게임에서는 전시 가능한 공룡으로 나온다. 등급은 전설로, 매우 희귀인 스피노사우루스보다 높다![3]4.3. 쥬라기 월드: 얼라이브
이 게임에서도 역시, 카오스 이론이 나오기 이전이라, 게임에서의 디자인이, 상술했던 컨셉아트의 묘사된 디자인들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4.4.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중형 육식공룡으로 등장하며, 이 게임 역시, 카오스 이론이 나오기 이전이라 상술했던 컨셉아트와 유사한 디자인으로 등장한다.4.5.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2
전작과 동일한 외형으로 등장하며, 전작과 달리 친척인 바리오닉스와 합사가 가능하다.5. 완구
6. 기타
- 디자인이 시리즈에 등장한 공룡들 중에서 실제 종과 가장 가까운 편이다.
- 전체적인 색상은 실존하는 보아뱀에서 따왔고, 입 구조는 미시시피악어, 뒷다리는 날지 못하는 화식조와 같은 조류를 참조해서 만들었다.
- 울음소리는 바리오닉스의 것을 재사용했지만, 일부 울음소리는 염소와 돼지의 울음소리를 변조해서 사용했다.
[1] 원래 시나리오에서는 수코미무스가 무려 2마리의 하마와 싸워 한 마리를 죽이는 장면을 보여줄 예정이었지만, 본편에서는 시나리오를 수정해서 하마 한 마리와 싸우고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바뀌었다.[2] 목을 물렸을 때를 자세히 보면 눈이 돌아간다.[3] 게다가 스피노사우루스보다 머리 모양의 생김새가 오히려 3편의 스피노사우루스와 같아 보이는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