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e3f36, #8d473d 20%, #8d473d 80%, #7e3f36);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화 시대 | 신화상 | 족보상 | |||
<rowcolor=#8d473d> 첫째 | 둘째 | 셋째 | 초대 | |||
양을나 | 고을나 | 부을나 | 고을나왕 | |||
삼국 시대 | 왕 | 족보상 (~6세기) | ||||
<rowcolor=#8d473d> 제15대 | 제26대 | 제27대 | 제30대 | |||
고후 | 담왕 | 지운왕 | 담왕 | |||
문헌상 기록 (7세기) | ||||||
<rowcolor=#8d473d> 제?대 | 제?대 | 제?대 | ||||
도동음률 | 유리도라 | 고여 | ||||
족보상 (9~10세기) | ||||||
<rowcolor=#8d473d>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
경직왕 | 민왕 | 자견왕 | ||||
기타 | 고후 | 고청 | 고계 | |||||
담왕 | 도동음률 | ||||||
고려 시대 | 고자견 | 고말로 | 주물 | 고오노 | 가리 | 고일 | 두량 | 가야잉 | 가어내 | 가양잉 | 고복령 | 의인 | 구대 | 양호 | 고인조 | 고인단 | 고수좌 | 고복수 | 고순량 | 고순원 | 고실개 | 고신걸 | 고봉례 | |||||
두라 | 양구미 | 호잉 | 수운나 | 문창우 | 문창유 | 문충걸 | 문충보 | 문충세 | ||||||
조선 시대 | 좌도지관 고봉례 | 고상온 | 고충원 | |||||
우도지관 문충세 | ||||||
* 신라에 세 형제가 내조하여 각각 받은 칭호. 시기 불명. 고려사상 확인됨. ** 백제 문주왕에게 담왕이 받은 칭호로 족보상 기록됨, 후대 도동음률(명칭에 이설 있음)은 삼국사기상 좌평으로 확인됨. | ||||||
}}}}}}}}}}}} |
殊雲那
(?~?)
1. 개요
11세기 탐라국의 왕자로, 배융교위 고물(古物)의 아버지다.2. 이름
수운나라는 이름은 한국 고유의 이름으로 보인다. 성씨에 대해서는 아들 고물이 고(高)씨가 아닌가 하는 의견이 있다. 초기의 탐라 성주는 이름 첫글자가 '고(高)'와 같거나 비슷한 발음의 다른 한자인 경우가 많은데, 비슷한 시기에 고몰(高沒)[1]이라는 인물이 등장하므로 둘은 동일 인물을 가리킨다는 것이다.3. 생애
수운나는 고려사 정종 9년(1043) 12월조에[2] 새로 왕자가 된 호잉(號仍) 이후 10년만에 사서에 등장하는 왕자다. 문종 7년(1053) 아들 배융교위 고물을 고려 본국에 보내 우황(牛黃)·쇠뿔(牛角)·쇠가죽(牛皮)·소라 고기(螺肉)·비자(榧子)·해조(海藻)·귀갑(龜甲) 등을 바친다. 그리고 문종으로부터 중호장군(中虎將軍)의 관직과 공복(公服)·은 허리띠(銀帶)·채단(彩段)·약물(藥物) 등을 받는다.탐라는 공부(貢賦)로서 매년 바치는 귤 외에 여러 차례 방물을 바쳤는데, 수운나의 조공 기사를 통해 그 자세한 품목을 파악할 수 있다. 채집한 해산물이나 열매 외에 소의 여러 부위를 바친 것에서 제주도에서 소 사육이 원간섭기에 몽골이 목장을 세우기 전부터 이뤄졌다는 것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