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colbgcolor=#0047a0><colcolor=#ffffff> 출생 | 1921년 10월 31일 | ||
| 경기 인천(仁川) | |||
| 사망 | 1968년 9월 20일 (향년47세) | ||
| 인천광역시 | |||
| 본관 | 은진 송씨 (恩津) | ||
| 학력 | 인천상업학교[1] (졸업) 메이지대학교 (법학부 / 졸업) | ||
| 경력 | 인천고등학교 교사 | ||
| 신체 | 182cm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47a0><colcolor=#fff> 배우자 | 이숙형 (1925년생, 2010년 별세) | |
| 자녀 | 장남 송근호 차남 송서호 삼남 송준호 장녀 송혜경 차녀 송혜란 삼녀 송혜선 | }}}}}}}}} | |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2005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2. 상세
송재필은 1921년 인천에서 1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36년 4월 3일 인천상업학교(현 인천고등학교)에 입학하였고, 1941년 3월 6일 졸업하였다. 이후 일본 도쿄의 메이지대학(明治大學)으로 유학하였다.| |
| <rowcolor=#fff> 인천상업학교 재학 시절 |
1942년, 보성전문학교 재학 중이던 동기생 안학순과 함께 일본의 학병제에 반대하는 운동을 결의하였다. 이 운동에는 정구택이 동조하여, 학병 거부를 촉구하는 서신을 작성하였다. 주동자 송재필과 안학순은 이 편지를 인천상업학교 재학 시절 맺은 비밀결사 구성원들과 뜻을 같이할 학생들에게 전달하였다. 서신에는 창씨개명 반대, 학병 반대, 그리고 우국충정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 | | |
| <rowcolor=#fff> 인천고등학교100年史 中 | ||
그러나 이 편지를 전달받은 대전 거주 메이지대학 유학생 김정일이 충북 영동 출신의 경성제국대학 응용화학과 재학생 신 모에게 전달하려던 중, 영동역에서 경찰의 불심검문에 적발되었다. 이후 두 달에 걸친 수사 끝에 1943년 8월 편지의 출처가 밝혀졌고, 관련자 24명이 체포되었다. 송재필은 혹독한 고문을 견디고 살아남았지만, 이후 심각한 후유증에 시달렸다.
1968년 9월 20일, 고문의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200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으며,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 | |
| <rowcolor=#fff> 인천고등학교 추모비 |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묘비 |
3. 외부링크
- [독립운동과 인천·(10)]인천고등학교 제39회 졸업생의 '비밀결사단' #
- 공훈전자사료관 독립유공자 공적정보 #
- 인천고등학교 39회 졸업생들의 비밀결사와 송재필 #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