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소피 졸린 본 펠튼 Sophie Joline von Felten | |
| |
출생 | 2009년 4월 19일 ([age(2009-04-19)]세) |
스위스 취리히 | |
국적 |
|
(복수국적)[1] |
학력 | 피어슨 커넥션 아카데미 |
종목 | 피겨 스케이팅 |
신체 | 160cm |
코치 | 보이코 알렉시예프, 알렉세이 레토프, 올가 가니체바 |
소속 | 스케이팅 클럽 오브 보스턴 |
랭킹 | 주니어 세계 19위[2] |
링크 |
1. 개요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선수이다.2. 선수 경력
2.1. 2022-23 시즌
주니어 데뷔 가능 연령이 되어 2022 JGP 라트비아에 출전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쇼트 32.62점, 프리 81.01점, 총점 113.63점으로 25위를 기록했다.2022 JGP 폴란드 II 쇼트에서는 44.06점, 프리에서는 84.21점, 총점 128.27점으로 23위를 기록했다.
2.2. 2023-24 시즌
스위스에서 훈련을 위해 자주 찾던 미국으로 소속을 변경해 미국 대표가 됐다.전미 선수권 주니어 부문에서 쇼트 56.31점, 프리 94.26점, 총점 150.57로 9위를 기록했다.
2.3. 2024-25 시즌
점프 구성쇼트 | 3A+3T, 2A / 3F[A] | |
프리 | 그 외 대회 | 3A+2T, 4S, 3A, 3Lz / 3Lz+2A+2A+SEQ, 3Lo, 3F+3T |
CS 크랜베리 컵, JGP 슬로베니아&중국 | 3A+3T, 3Lo, 3A, 3Lz / 3Lz+2A+2A+SEQ, 3S, 3F+2T |
2024 JGP 중국 쇼트에서는 트리플 악셀+트리플 토룹 점프에서는 연결 토룹을 붙이지 못해 COMBO 처리하는 실수를 하였고, 트리플 플립에서도 스텝아웃을 하는 등 실수로 51.41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첫 점프인 트리플 악셀에서 쿼터 판정을 받고, 트리플 살코와 트리플 러츠에서 넘어지고, 트리플 러츠+더블 악셀+더블 악셀 시퀀스 점프에서 스텝아웃하고 트리플 살코가 무효 처리, 트리플 플립+더블 토룹에서 선행 점프에서 쿼터 판정을 받는 등 매우 저조한 수행으로 13위를 기록했다.
2025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18위를 기록했다. 트리플 악셀+트리플 토룹 점프에서 토룹에서 쿼터 판정을 받고, 트리플 플립 점프에서 어텐션과 쿼터 판정을 받으면서 53.93점, 프리에서는 트리플 악셀+트리플 토룹에서 착지 불안으로 감점을 받고, 쿼드러플 살코에서는 언더 판정을 받았다. 트리플 악셀에서는 넘어지고 트리플 러츠와 트리플 러츠+더블 악셀+더블 악셀 시퀀스 점프에서 모두 러츠에서 쿼터 판정을 받았다. 또 트리플 플립+트리플 토룹 점프에서 선행 플립에서는 어텐션 토룹에서는 쿼터 판정을 받으며 프리 111.47점, 총점 165.40점으로 18위를 기록했다.
2.4. 2025-26 시즌
점프 구성쇼트 | 3A+3T, 2A / 3Lo[A] |
프리 | 3A+2T, 4S, 3A, 3Lo / 3Lz+2A+2A+SEQ, 3Lz+3T, 3F |
2025 JGP 튀르키예 쇼트에서는 트리플 악셀+트리플 토룹 연결 점프를 성공 시키고 모든 비점프에서 레벨4를 받는 클린 연기로 68.17점을 기록했다. 프리에서는 쿼드러플 살코를 스텝아웃하고, 단독 트리플 악셀에서 넘어지는 등 연거푸 실수를 하며 118.75점, 총점 186.92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5 JGP 폴란드에서 쇼트에서 트리플 악셀+트리플 토룹 연결 점프에서 악셀에서는 쿼터 판정, 토룹에서는 언더 판정을 받으며 58.24점을 기록했다. 프리에서는 쿼트러플 살코의 착지가 좋지 않아 미세한 감점을 받고, 트리플 러츠+더블 악셀+더블 악셀 시퀀스 점프와 단독 트리플 러츠에서 어텐션 판정을 받았지만 트리플 악셀+더블 토룹, 트리플 악셀 등을 한 프로그램에서 모두 성공 시키며 프리 132. 43점, 총점 190.67점을 받으며 주니어 그랑프리 두 대회 연속 동메달을 획득했다.
3. 기록
- 트리플 악셀 점프를 성공한 27번째 여자 선수[5]
- 쿼드러플 점프를 성공한 16번째 여자 선수[6]
- 쿼드러플 살코 점프를 성공한 여덟 번째 여자 선수[7]
- 쿼드러플 살코 점프를 성공한 최초의 미국 여자 선수
- 한 프로그램에서 두 번의 트리플 악셀을 성공한 다섯 번째 여자 선수[8]
4. ISU 공인 최고 점수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ISU 공인 최고 점수 | |
쇼트 | 68.17(2025 JGP 튀르키예) |
프리 | 132.43(2025 JGP 폴란드) |
총점 | 197.41(2024 JGP 슬로베니아) |
5. 커리어
||<-6><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0000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color=#000000,#dddddd><bgcolor=#000000,#000000><color=#ffffff,#ffffff> 국제 대회: 주니어 ||
<rowcolor=#ffffff,#ffffff> 대표 국가 |
스위스 |
미국 | |||
대회 | 21–22 | 22–23 | 23–24 | 24–25 | 25–26 |
주니어 세계선수권 | 18th | ||||
JGP 튀르키예 | 3rd | ||||
JGP 중국 | 13th | ||||
JPG 슬로베니아 | 1st | ||||
JGP 폴란드 | 23th | 3rd | |||
JGP 라트비아 | 25th | ||||
CS 크랜베리 컵 인터내셔널 | 9thJ | 1stJ | |||
NRW 트로피 | 8thJ | ||||
바바리안 오픈 | 7thA | ||||
국내 대회 | |||||
전미선수권 | 9thJ | 1stJ | |||
스위스 선수권 | 2ndJ | ||||
* 대회 약자: JGP=주니어 그랑프리 |
[1] 스위스인 부친과 러시아인 모친 사이에서 태어났다. 2022-23 시즌까지는 스위스를 대표했으며, 이후 미국으로 이주해 2023-24 시즌부터 미국을 대표하고 있다. 영주권은 없고 스포츠 비자를 활용해 어머니와 함께 미국에 체류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2] 2025년 10월 10일 기준 ISU World Standings 2025/2026 Junior Women[A] 해당 시즌 주니어 단독 점프 과제다.[A] [5] 이토 미도리 - 토냐 하딩 - 류드밀라 넬리디나 / 나카노 유카리 - 아사다 마오 -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 키히라 리카 - 미라이 나가수 - 알리사 리우 -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 유영 - 아나스타샤 샤보토바 - 소피야 아카티예바 - 바바라 키셀 - 소피야 사모델키나 - 카밀라 발리예바 - 히구치 와카바 - 카와베 마나 - 요시다 하나 - 나카이 아미 - 시마다 마오 - 와타나베 린카 - 잉가 구르게니제 - 김유재 - 김유성 - 앰버 글렌 - 본인 순.[6] 안도 미키 -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 엘리자벳 뚜르진바예바 - 카밀라 발리예바 - 알리사 리우 - 안나 셰르바코바 - 미아 칼린 - 베로니카 질리나 - 소피야 사모델키나 - 아나스타샤 지니나 - 소피야 아카티예바 - 마야 흐로미흐 - 스미요시 리온 - 시마다 마오 - 아리나 칼루기나 -본인 순.[7] 안도 미키 -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 엘리자벳 뚜르진바예바 - 소피야 사모델키나 - 소피야 아카티예바 - 카밀라 발리예바- 아리나 칼루기나 -본인 순.[8] 아사다 마오 - 키히라 리카 -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 본인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