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af>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 시 (городской округ) | |||||||||
로벤키 | 루간스크 | 루베즈노예 | ||||||||
리시찬스크 | 브랸카 | 세베로도네츠크 | ||||||||
스타하노프 | 알쳅스크 | 크라스니 루치 | ||||||||
키롭스크 | 페르보마이스크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군 (муниципальный округ) |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폐지된 행정구역 | |||||||||
2022년 9월 1일 행정구역 개편 기준 1: 2022년 9월 1일 폐지. # | }}}}}}}}}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도시 세베로도네츠크 Северодонецк | Severodonetsk | |||||
| |||||
시장 | |||||
행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e6382f><colcolor=#fff> 국가 | <colbgcolor=#fff,#010101>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실효지배]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 |||
행정구역 | 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세베로도네츠크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 세베로도네츠크 | ||||
시간대 | UTC+3 | }}}}}}}}}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e6382f><colcolor=#fff> 인구 | <colbgcolor=#fff,#010101>103,479명(2019년) | |||
인구 밀도 | 2,463.8명/km² | ||||
면적 | 42km² | ||||
공용어 | 러시아어 | }}}}}}}}} | |||
정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e6382f><colcolor=#fff> 시장 |
<colbgcolor=#e6382f><colcolor=#fff> 설립 | <colbgcolor=#fff,#010101> 1934년 4월 29일 | |
홈페이지 | | |
SNS | |
[clearfix]
1. 개요
세베로도네츠크는 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도시로, 2019년 기준 인구는 약 10만 명이다. 인근 리시찬스크, 루베즈노예와 연담 도시권을 이룬다.2. 역사
현대 이전 기록에서는 도네츠(Донец)라는 이름의 마을이었다.현대에 와서는 1934년 리시찬스크의 리시찬스크 비료 공장이 세워지면서 이 지역의 발전이 시작되었다. 도네츠는 당시 리시찬스크 산하 노동자 거주지인 리스힘스트로이(Лисхимстрой)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2년 7월 11일 나치 독일이 점령하였다가 소련군에 의해 1943년 2월 1일 다시 탈환되었다.
1950년 리스힘스트로이의 새 지명이 거론되었는데[3] 최종적으로 세베르스키도네츠강에서 따온 세베로도네츠크가 선정되었다. 1951년 1월 1일 질산 암모늄 생산을 시작하였다. 1958년 도시로 승격되었다.
2014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독립으로 우크라이나 정부가 루한스크주의 원 주도 루간스크를 상실하자 세베로도네츠크를 임시 주도로 두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개시된 후 주요 전장이 되어 격전이 벌어졌으며 4개월에 가까운 포격전과 시가전 끝에 2022년 6월 26일 러시아군이 점령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세베로도네츠크 전투 문서 참조.
3. 사건사고
2025년 2월 3일 세베로도네츠크의 현직 시장 니콜라이 모르구노프가 강도와 납치 혐의로 구금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기사에 따르면 브랸카 시의 시장으로 재임할 때부터 갱단을 동원해 부유한 주민들을 납치, 재산을 강탈하고 몸값을 받아왔다고 한다.#
4. 여담
| | |
~2023년 | 2023년~2024년 | 2024년~ |
|
유럽에서 가장 큰 화학 기업 중 하나인 아조트가 이 도시에 위치해 있다.
[실효지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시 전체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산하로 지배하고 있다.[2] 강도와 납치 혐의로 구금 #[3] 스베틀로그라드(Светлоград), 콤소몰스크나도네츠(Комсомольск-на-Донец), 멘델레옙스크(Менделеевск), 세베로도네츠크(Северодонец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