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5 01:24:04

선염법


용묵법의 종류
삼묵법 발묵법 삼투법 파묵법 적묵법 퇴묵법 선염법



渲染法

1. 개요

동양화에서 이나 채색을 사용하여 점진적인 농담 변화를 통해 대상의 입체감, 공간감, 그리고 분위기를 표현하는 기법을 말한다. 현대 미술에서 사용하는 그라데이션 또는 블렌딩과 유사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붓 자국이 드러나지 않도록 색이나 먹을 여러 단계에 걸쳐 부드럽게 칠해 번지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2. 특징

점진적인 농담 변화를 통해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효과를 만들어내는 기법으로, 붓으로 여러 번 덧칠하거나 물을 사용하여 단계적인 색상 변화를 표현할 수 있다. 빛과 그림자의 효과를 모방하여 공간감과 입체감을 강조하며, 원근감을 활용해 깊이 있는 구도를 설정할 수 있다. 풍경화에서는 기상 현상이나 시간의 변화를 표현하는 데 쓰이며, 인물화나 정물화에서도 부드러운 양감을 부여하는 데 유용하다. 원하는 농도와 효과를 얻기 위해 반복적으로 덧칠하는 방식이 사용되는데, 특히 한지를 사용할 시에는 먹색이 중첩되어도 탁해지지 않기 때문에 선염법에 적합한 종이이다.

3. 활용

산수화에서는 원근감을 표현하고 공간감을 강조하는 데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인물화와 화조화에서도 자연스러운 색감과 질감을 구현하는 데 활용된다. 인물의 피부나 옷 주름에 섬세한 농담 변화를 주어 부드러운 양감과 사실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인물의 감정이나 분위기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한다. 꽃이나 새를 그릴 때는 꽃잎의 부드러운 곡선이나 깃털의 미묘한 색상 변화를 선염법으로 표현하여 생동감과 입체감을 주기 좋다. 꽃잎의 안쪽과 바깥쪽 색깔 차이나 새 깃털을 붓 자국 없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농담으로 활용하여 표현하면 원금감이랑 공간감을 강조하는데 좋다. 섬세하게 그림을 표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