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05:04:16

서희엽

<colbgcolor=#131230><colcolor=#fff> 서희엽(췌이야)
Seo huiyeop
파일:서희엽2017귀국.jpg
출생 1992년 2월 29일 ([age(1992-02-29)]세)
전라북도 순창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0cm, 109kg[1]
가족 동생 서영환
아내 한태희
슬하 자녀 2명
학력 순창중학교 (졸업)
순창고등학교 (졸업)
위덕대학교 (사회체육학 / 학사)
병역 국군체육부대
종목 역도
체급 109kg
경력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역도 국가대표
플랫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췌이야TV
MBTI INTP[2]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서희엽/췌이야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서희엽
1. 개요2. 상세3. 선수경력4. 수상기록5.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의 현역 남자 역도 선수. 유튜브 췌이야TV도 함께 운영중이다.

2. 상세

세계역도선수권대회에서 대한민국 국가대표로서 용상 금메달을 목에 걸었을만큼 용상의 달인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3]

시합 때 들기 전 "췌이야!"라는 외침이 트레이드마크로 유명하다. 유튜브 채널 이름도 "췌이야TV". 팬들이 좋아하는 추임새인 '췌이야'는 아내의 이름인 '태희'에서 시작된 것인데 '태희-태이-췌희-췌이-췌이야!'로 바뀌었다고 한다.#, #

보디빌딩, 크로스핏, 파워리프팅 등에 비해 비인기종목인 역도 또한 좋은 웨이트 트레이닝 종목이라는 것을 알리고 싶고 개인적으로는 시합 공포증을 해소하고 싶어서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고 한다. 실제로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된 영상에는 자신 뿐만 아니라 다른 역도선수들의 활약도 자주 올려 역도와 역도 선수를 향한 애정이 남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역도는 하루하루 계속 자신의 한계에 도전하는 운동이기에 1kg 기록을 경신할 때마다 세상을 다 가진 것만 같은 희열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3. 선수경력

초등학교 땐 소프트볼로 하는 정구 선수로 활약했다. 어려서부터 키도 크고, 손도 크고, 힘이 세다는 말도 듣고, 매달려 있는 것을 좋아했으며 달리기는 늘 1등이었다고 한다. 그러다 순창중학교 1학년 때 역도장에 테스트 한 번 와볼래라는 제안을 받고 갔는데 60kg도 안되는 체중으로 데드리프트와 스쿼트를 100kg 씩을 성공했다. 그 길로 역도에 뛰어 들게 되었다.#
파일:순창중고서희엽.jpg
순창중고등학교 역도부, 뒷줄 왼쪽 첫 번째
2007년 순창중 3학년 시절 제36회 전국소년체전 역도 77kg급에 출전해 인상, 용상, 합계에서 모두 금메달을 차지해 3관왕에 올라 역도계의 주목을 받았다.#

2009년 순창고 2학년 때, 주니어선수권대회 85kg급에서 은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목에 걸며 전북 역도의 미래임을 증명해보였다.#

2009년 5월, 태국 치앙마이에서 열린 제1회 세계유소년역도선수권대회에 참가해, 인상 133kg, 용상 170kg, 합계 303kg로 아쉽게 합계 5위에 그쳤다.#

2009년 6월 28일, 경기도 포천에서 열린 제81회 전국역도선수권대회에서 85kg급에 출전해(순창고 3학년), 인상 135kg, 용상 180kg (1차 174kg, 2차 180kg로 종전 171kg 기록을 연이어 대회신기록을 경신했다.), 합계 315kg로 금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하는 기염을 토하며 남자고등부 MVP를 받았다.# 당시 장래 꿈이 뭐냐는 질문에 모두의 예상을 깨고 개그맨이 되고 싶다는 답변을 했다.# 훗날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 역도를 잘 모르는 일반인들이 봐도 재미있는 영상을 많이 업로드한 것을 보면 절반정도는 꿈을 이룬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시 개봉한 박건용 감독의 영화 <킹콩을 들다>가 순창중고등학교 역도부를 소재로 한 이야기라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다.#

2009년 제90회 전국체육대회 고등부 85kg급 경기에서 인상 147kg(3차, 1위), 용상 171kg[4], 합계 318kg(1위)로 전북선수단에 금메달 2개와 은메달 1개를 선물했다.#
2010년 고교 졸업 후 경북개발공사에 실업선수로 입단했다. 제48회 전국남자주니어역도선수권대회 94kg급으로 참가해 은메달 3개를 획득했다. 10월 전국체전에서는 94kg급 인상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5년 국군체육부대 소속으로 경남 고성 역도전용경기장에서 열린 2015 전국 남녀역도선수권대회 105kg급에서 인상 180㎏·용상 220㎏·합계 400㎏을 기록해 우승했다.#

2015년 8월 11일, 생애 처음으로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태국 푸껫에서 열린 아시아역도선수권 남자 105kg급 경기에서 "인상 170㎏·용상 211㎏·합계 381㎏"으로[5] 3개 부문 모두 정상에 오르며 105kg 금메달 3개를 싹슬이 했다.# 서희엽은 아시아역도선수권 3관왕으로 한국 남자역도 중량급 기대주로 한국 역도의 희망이 되었다.#

2015년 11월 27일(현지시간) 대한민국 역도의 차세대 주자로 꼽히는 그가 미국 휴스턴 조지 R. 브라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5 세계역도선수권대회 남자 105kg급에 참가해 인상에서 170kg(35명 중 15위)로 용상에서 역전을 노렸지만 용상 3차례 시기를 아쉽게 모두 실패해 결국 실격 처리됐다.#
파일:서희엽2015우수선수.jpg
2016년 1월 6일,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을 대비해 10kg급에 정기삼과 함께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6] 20일에는 대한역도연맹이 선정한 2015년 우수선수로 뽑혔고, 그가 속했던 국군체육부대는 전국체전 금7, 은5, 동8로 우수단체상을 수상했다. #, #

2016년 7월 22일, 강원도 양구군 용하체육관에서 열린 2016 한국실업연맹회장배 전국연도대회 남자부 105㎏급에 참가해 인상에서 171㎏을 들어 대회 타이기록으로 우승한 뒤 용상에서도 215㎏의 대회신기록[7]으로 정상에 올랐다. 합계에서도 386㎏으로 대회신기록[8]을 갈아치우며 3관왕을 차지했다.#
파일:서희엽2016전국체전.jpg
2016년 10월, 제97회 전국체육대회에 수원시청 소속으로 참가해 남자 일반부 105kg급에서 인상(3차 178kg, 2위)[9], 용상(1차 212kg, 2차 216kg, 3차 220kg), 합계(398kg)[10]에서 우승해 2관왕을 거머쥐었다.# 또한, 수원시청 역도 팀도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며 2016년도 일반부 우수단체로 선정됐다.#
파일:서희엽.jpg
2017년 4월 29일(현지시간)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아슈가바트)에서 열린 2017년 아시아역도선수권대회 남자부 105㎏급에 참가해 인상 1차 시기에 170㎏을 성공했지만 176㎏을 신청한 2, 3차 시기에서 모두 바벨을 놓치고 말았다. 용상에서는 220㎏을 들어 1㎏ 모자란 2위[11]에 올랐다. 합계 390㎏으로 용상과 합계에서 은메달을 차지했다.#, #

2017년 6월 28일, 전남 완도 농어민문화센터에서 열린 제89회 전국남자역도선수권대회에서 105kg급에 참가해 인상 173kg 3위[12]에 머물렀지만 용상에서 217kg을 들어 1위, 합계에서 390kg로 금메달을 따내어 2관왕을 기록했다.#

2017년 7월, 강원도 양구 용하체육관에서 열린 2017 한국실업연맹회장배 전국역도대회 남자 +105㎏급에서 3관왕을 들어올리며 대회 최우수선수(MVP)에 선정됐다. 인상에서 170kg[13], 용상 210kg[14]를 들어올려 합계에서도 380kg[15]로 대회 3관왕에 올랐다.#
파일:서희엽2017애너하임.jpg
2017년 12월, 미국 애너하임에서 열린 2017 세계역도선수권대회에 출전해 용상 1차 시기에서 216kg를 들어 올렸고, 2차 시기에서 222kg을 들어 3차 시기에서 222kg에 성공한 리투아니아의 아르투스 플레스니엑스를 꺾고 용상 금메달을 따냈다. 개최지가 미국이라 시차적응 문제도 있었지만 연습 상황이 좋아 자신감이 붙어 있었고 연습 기록도 나쁘지 않았다고 한다. 용상 2차 시기 때 동메달을 확보해 세계선수권에서는 3위도 처음인지라 경기장이 떠나갈 듯 환호했고 경쟁자들이 따라오지 못해 금메달을 얻어낼 수 있었다. 인상에서는 172kg(13위)에 그쳐 합계에서 394kg로 4위에 머물렀다. 합계 3위(399kg)[16]와 5kg 차이밖에 나지 않아 더 아쉬운 결과였다. 또한, 인상이 연습 기록과 대회 기록의 차이가 10kg이상이 날 정도로 실전에서 약한 모습을 보여 이를 극복해내겠다는 다짐도 내비쳤다. 이 대회를 계기로 대한민국 역도 "중량급 간판"이라는 칭호가 따라붙었다. 훗날 자신이 가장 빛난던 순간으로 꼽기도 하였다. #, #, #

2018년 4월, 제64회 경기도체육대회에 수원시청 소속으로 참가해 105kg이상급에서 3개의 금메달을 수확했다.# 5월 8일에는 경상남도 고성 역도경기장에서 열린 2018 전국남녀역도선수권대회 남자 105kg급 경기에서 인상 182kg로 3위[17], 용상 222kg[2위] 1위, 합계 404kg로 치열한 접전 끝에[19] 2관왕을 기록했다.#, #

2018년 8월 26일,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참가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인터내셔널 엑스포에서 열린 남자 역도 105kg급 경기에서 인상에서 174kg[20] 용상에서 1차 시기 만에 220kg에 성공했으나 2차와 3차에서 227kg를 들어내지 못해 합계 394kg, 5위로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21] #

2018년 10월 13일 전북 진안 문예체육회관에서 열린 제99회 전국체육대회#에 남자 105kg급에 수원시청 소속으로 참가해 인상 1차에서 170kg, 2차에서 175kg를 성공했지만 3차에서 170kg는 실패해 3위, 용상에서는 1차에서 신청한 215kg을 3차까지 들지못해 실격했다.[22]#
파일:서희엽2019EGAT.jpg
2019년 2월 10일(한국시간), 태국 치앙마이에서 열린 EGAT(이겟)컵 국제역도대회 남자 109kg급에서 인상에서 173kg, 용상에서 205kg으로 1위를 차지했다. 합계에서도 378kg으로 1위에 올라 3관왕을 기록했다.#

2019년 3월 14일에는 '중량급 간판'이라는 본인의 칭호에 걸맞게 강원도 양구 용하체육관에서 열린 2019 전국실업역도선수권대회 남자 105kg에 참가해 인상 3차에서 181kg[23]로 종전 180kg의 기록을 갈아치우며 대회신기록을 수립했다. 용상에서도 3차에서 221kg으로 종전 220kg의 기록을 갈아치우며 1위를 기록했다. 이로써 합계 402kg로 대회신기록(종전 400kg)으로 우승해 3관왕에 올랐다.#

2019년 7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19 한·중·일 국제친선역도선수권대회에서 수원시청 소속으로 대한민국 대표로 참가해 인상 171kg, 용상 215kg, 합계 386kg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0년 8월, 강원 양구용하체육관서 열린 2020 전국실업역도선수권대회에서 수원시청 소속으로 109kg급에 출전해 인상 174kg[24]영상, 용상 218kg[25]영상, 합계 392kg로 용상에서 금메달, 인상과 합계에서 은메달을 기록했다.#

2020년 9월 22일, 경남 고성군 고성역도전용경기장에서 열린 제92회 전국남자역도선수권대회에 109kg급에 수원시청 소속으로 출전해 인상에서 172kg[26], 용상에서 210kg[27], 합계 382kg[28]로 2위와 합계 62kg차로 따돌리며 3관왕을 달성했다.#
파일:서희엽2020실업회장배.jpg
2020년 11월 17일, 강원 용하체육관서 열린 2020 한국실업역도연맹회장배 역도경기대회에 남자 일반부 109kg급에 수원시청 소속으로 출전해 인상 175kg[29], 용상 222kg(대회 신기록)[30], 합계 397kg[31]로 2위와 66kg의 차이를 벌리며 3관왕을 달성했다.#

2021년 4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아시아역도선수권 남자 109㎏급 경기에 참전해 인상 177kg로 5위를 하였지만, 용상 1차 시기에서 무릎에 통증을 느껴 안타깝게도 경기를 이어가지 못했다.# 시합 출발 전에 갑자기 무릎 상태가 나빠졌고 당일에 무릎 보호대를 세 겹을 꼈다. 용상 1차 당시 구르는 동작을 하다가 자세를 정확하게 해야겠다는 마음이 앞서 원래 앉던 깊이보다 더 내려갔는데 갑자기 '딱'소리가 나면서 힘이 풀렸다고 한다. 다음 날 우즈베키스탄의 병원을 찾아가 MRI 촬영을 하고 사진 80장을 들고 인도 의사에게 보여줬더니 "All cut"이라고 답했다. 무릎의 슬개건이 완전히 파열된 것이다. 당시 그 정도의 부상은 한 번도 경험해본 적이 없어서 은퇴를 고민할 만큼 심신이 힘들었다고 한다.

2022년 10월, 제103회 전국체육대회에 경상북도개발공사 소속으로 참가해 남자 일반부 109kg급에서 인상에서 금메달, 용상과 합계에서 각각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3년 6월, 제95회 전국남자역도선수권대회에 109kg급에 경상북도개발공사 소속으로 출전해 인상, 용상, 합계 모두 금메달로 3관왕을 달성했다.#

2024년 10월, 제105회 전국체육대회에 경상북도개발공사 소속으로 참가해 남자 일반부 105kg급에서 인상 3위, 용상에서 217kg로 1위, 합계 2위로 금, 은,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2025년 3월 11~14일, 경남 고성군 역도전용경기장에서 열린 2025 전국실업역도선수권대회에서 경북개발공사 소속으로 109kg급에 참가번호 7번으로 출전했다. 인상에서 1차 165kg, 2차 165kg, 3차 166kg 모두 실패했지만, 용상에서 1차 200kg, 2차 210kg를 성공하고 3차에서 212kg 실패해 용상에서 은메달[32]을 획득하였다.#

경상북도개발공사, 수원시청에서는 물론 2015년 첫 국가대표로 선발 된 이후로 무릎 부상으로 인한 2022,2023년을 제외하고는 모두 대한민국 역도 국가대표 선수로 선발돼 국내외 많은 대회에서 활약했다. 2025년도에도 역시 역도 국가대표로 선발됐다. LA올림픽에서 꼭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국가대표, 자랑스러운 아버지가 되고 싶다는 다짐을 밝혔다.

4. 수상기록

세계 역도 선수권
<colcolor=#373a3c> 금메달 2017 애너하임 105kg급 용상[33]
아시아 역도 선수권
금메달 2015 푸껫 105kg급 인상, 용상, 합계
은메달 2017 아시가바트 105kg급 용상[34], 합계[35]
전국 남자 역도 선수권
금메달 2015 제87회 105kg급 인상[36], 용상[37], 합계[38]
금메달 2017 제89회 105kg급 용상[39], 합계[40]
동메달 2017 제89회 105kg급 인상[41]
금메달 2018 제90회 105kg급 용상, 합계
동메달 2018 제90회 105kg급 인상
금메달 2020 제92회 109kg급 인상[42], 용상[43], 합계[44]
금메달 2023 제95회 109kg급 인상, 용상, 합계
전국 체육 대회
금메달 2015 제96회 105kg급 용상
동메달 2015 제96회 105kg급 합계
금메달 2016 제97회 105kg급 용상, 합계
은메달 2016 제97회 105kg급 인상
금메달 2022 제103회 109kg급 인상
은메달 2022 제103회 109kg급 용상, 합계
동메달 2024 제105회 105kg급 인상
금메달 2024 제105회 105kg급 용상[45]
은메달 2024 제105회 105kg급 합계
한국실업역도연맹회장배
금메달 2016 105kg급 인상, 용상, 합계
금메달 2017 105kg급 인상, 용상, 합계
금메달 2020 109kg급 인상[46], 용상[47], 합계[48]
전국실업역도선수권대회
금메달 2019 105kg급 인상[49], 용상[50], 합계[51]
은메달 2020 109kg급 인상[52], 합계[53]
금메달 2020 109kg급 용상[54]
은메달 2025 109kg급 용상[55]

5. 여담

  • 아내 한태희도 역도선수 출신으로 2018년 결혼했다. 아홉 번 차였지만 열 번 째에 마음을 받아줬다고 한다. 2017년에 결혼식을 올리려고 했지만 국제대회 참가로 늦추어졌다. 묵묵히 옆에서 늘 믿음으로 지지해준 아내 덕분인지 세계역도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따냈고, 슬하의 두 자식을 두고 부부의 연을 잘 이어나가고 있다.#
  • 20대 때에는 노는 것도 좋아해 놀기도 많이 놀았다고 한다. 20대 때 당시 여자친구 였던 지금의 아내에 대한 사랑이 50%, 역도에 대한 사랑이 50%였다고. 지금은 두 아이에 대한 사랑이 가장 크다고 한다.
  • 조심성이 많은 성격이다. 술을 마시다보면 실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술도 잘 먹지 않으려고 한다.#
  • 낯선 외국 음식을 아예 못 먹는 편이다. 따라서 국제대회에서 늘 먹는 것으로 불편함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
  • 매일 철을 드는 사람이지만 운동선수는 철들지 않고 늘 순수함을 가지고 있어야 된다고 한다.#
  • 자신의 한계를 정해두지 않고 늘 '지금이 내 전성기다'라는 마음으로 훈련에 임한다고 한다.
  • 역도가 자신을 열심히 살게 해주는 원동력이라고 한다. 본인이 생각했을때 자신은 게으른 성격이라 휴가 기간에 집에서 한 발자국도 잘 나오지 않는데, 역도를 할 때에는 한 시간 전부터 미리 준비하고 진심으로 임한다고 한다.
  • 기회가 주어진다면 어릴 적부터 꿈이었던 연예인도 되어보고 싶다고 한다.

[1] 평체는 약115kg[2] #[3] 세계역도선수권대회에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는 1991년 전병관, 원정식 등이 있다.[4] 2위, 1위 172kg[5] 2위는 인상 162㎏·용상 201㎏·합계 363㎏을 든 아헤드 주겔리(시리아)[6] 이후 선발전을 통과하지 못하고 마음고생을 많이 했다고 한다. 이때 자비로 심리 상담까지 받았을 정도로 큰 시련과 좌절이었다고 밝혔다.[7] 종전 211㎏[8] 종전 382㎏[9] 1위 179kg[10] 2위 394kg[11] 1위 221㎏, 모하메드레자 바라리(이란)[12] 1위 178kg 정기삼, 2위 177kg 진윤성[13] 2위 박재균 165kg, 3위 이지한 151kg[14] 2위 박재균 200kg, 김정규 193kg[15] 2위 박재균 365kg, 3위 김정규 343kg[16] 우즈베키스탄 - 에반 이프레모프[17] 1위 183kg 정기삼, 진윤성[2위] 정기삼 220kg[19] 2위 경남도청 정기삼 403kg, 3위 고양시청 진윤성 394kg[20] 1차 시기부터 신청했지만 3차 시기에 들었다.[21] 함께 참가한 정기삼 또한 인상 180kg, 용상 215kg 합계 395kg로, 4위를 기록했다.[22] 인상은 184kg를 기록한 정기삼, 용상은 225kg를 기록한 김철민, 합계는 400kg를 기록한 김철민이 각각 우승했다.[23] 2위 고근형 171kg[24] 1차 169kg, 2차 174kg, 3차 178kg 실패, 1위 고양시청 진윤성 180kg[25] 1차 213kg, 2차 218kg, 3차 224kg(실패), 2위 진윤성 217kg[26] 2위 전남 완도군청 임진강 140kg[27] 2위 임진강 180kg[28] 2위 임진강 320kg[29] 2위 함상준 150kg, 3위 장혜준 145kg[30] 종전 신기록 220kg, 2위 함상준 인천시청 181kg, 3위 장혜준 충북도청[31] 2위 함상준 331kg, 3위 장혜준 315kg[32] 1위 211kg[33] 222kg 1위, 인상 172kg 14위, 합계 394kg 4위[34] 220kg, 1위는 221kg[35] 390kg, 인상 170kg 6위[36] 180kg[37] 220kg[38] 400kg[39] 217kg[40] 390kg[41] 173kg[42] 172kg[43] 210kg[44] 382kg[45] 217kg[46] 175kg[47] 222kg, 대회신기록, 종전 220kg[48] 397kg[49] 181kg 대회신기록, 종전 180kg[50] 221kg 대회신기록, 종전 220kg[51] 대회 신기록 402kg, 종전 400kg[52] 174kg[53] 392kg[54] 218kg[55] 210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