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9D85>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반포도서관 | 내곡도서관 | 양재도서관 | 서초청소년도서관 |
| 방배숲환경도서관 | 서이도서관 | 잠원도서관 | 방배도서관 | |
| 서초 그림책도서관 | 기타 작은도서관 |
| 서울특별시의 공공도서관 목록 둘러보기 |
| 서초구립반포도서관 瑞草區立盤浦圖書館 Banpo Public Library | ||
| | ||
| 구분 | 서울특별시 서초구청 공공도서관[이전][2] | |
| 개관일 | 2013년 3월 12일 서초구립반포도서관 | |
| 자료 | 도서 | 162,588권[기준] |
| 비도서 | 5,014점[기준] | |
| 정기간행물 | 114종[기준] | |
| 우편 번호 | 06599 | |
| 연락처 | 02-520-8700 |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고무래로 34[6] | |
| 홈페이지 | | |
1. 개요
| |
| 반포도서관 전경 |
2. 이용 안내
- 대출가능자료 종류 및 수, 대출기간
| <colbgcolor=#009D85><colcolor=#fff> 도서자료 | 5권 or 4권+DVD 1점 (도서 2주, DVD 1주) |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법정공휴일 |
- 개방 시간
| 열람실 | 하절기 | 동절기 | 비고 | ||
| 평일 | 주말 | 평일 | 주말 | ||
| 어린이자료실 | 09:00 - 18:00 | 09:00 - 18:00 | 하절기와 동일 | ||
| 종합자료실1·2 | 09:00 - 22:00 | ||||
2.1. 시설 관련 정보
| 열람실 | 계 | 칸막이석 | 노트북석 | 일반석 | 좌석표 발권방식 | 와이파이 | ||||||||||||||||||
| 26석 | 0석 | 26석 | 0석 | 자율자석 | O | |||||||||||||||||||
| 디지털정보실 | 정보검색용 PC | 스캐너 | 복사기 | 프린터 | ||||||||||||||||||||
| 27석 | 1대 | 2대 | 2대 | |||||||||||||||||||||
| 기타부대시설 | 식당·매점 | 사물함 | 자판기 | 휴게실 | ||||||||||||||||||||
| X | X | ? | X[7] | |||||||||||||||||||||
3. 소개
서초구 구립 공공도서관. 2013년 3월 12일 개관한 도서관이며 도서관 전용 건물에 자리하고 있다. 관리가 잘 돼서 깨끗하고, 전용 건물이다 보니 매우 쾌적하다. 게다가 안내데스크가 있고 각종 모임이 주최되는 등 여러 모로 신경 쓴 티가 나는 것도 장점.그런데 이 모든 장점을 덮는 단 하나의 단점이 있으니... 시험 공부를 할 열람실이 없다! 다시 말해 자기 책을 볼 열람실이 아예 없다. 1층 로비에서도 개인 공부가 허용되는데, 거기는 로비라 공부가 될 리 없고, 결정적으로 각종 행사가 열리곤 한다.
위 주장은 동의하기 어려운 것이 열람실이 따로 없을 뿐 열람석은 많이 있기 때문에 독립된 열람실이 아니면 공부를 하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문제될 것이 없다.
3층에 PC가 27대 있고 하루에 3시간 사용가능.
4층에 노트북석이 26석 있으며 예약하고 써야 한다. 하루에 5시간 사용가능
도서관을 이용하려면 회원가입을 해서 회원증을 발급 받아야 한다.
회원증은 주민등록상 서울시에 거주하거나 서울 소재의 직장, 학교에 다니는 사람만 발급 가능하며 플라스틱 카드 발급 대신 모바일 회원증으로 전환되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자가 서울시민카드를 활용하면 도서관에 방문하지 않고 카드 발급이 가능하다.
노트북석 이용이나 PC좌석 이용하기 위해서는 회원증이 필요하다.
2022년 10월부터 유료화 되어 최초 1시간 무료, 이후 10분당 500원이다.
구립 도서관치곤 구민들 입장에서는 생각보다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 사실상 반포1동과 서초4동 주민들이 걸어다니기 쉽지 방배동이나 서초구 이남쪽 구민들은 여러 번 버스를 갈아타야 방문할 수 있다.
4. 층별 안내
| <colbgcolor=#009D85><colcolor=#fff> 층별 안내 | |
| 5층 | 관장실, 사무실, 수서실, 하늘정원,세미나실1·2 |
| 4층 | 종합자료실2(과학·예술 외), 다문화도서 |
| 3층 | 종합자료실1(문학·역사·여행), DVD, PC석 |
| 2층 | 어린이자료실, 어린이작업실 모야, 수유실, 유아화장실 |
| 1층 | 통합데스크, 신문잡지, 복사출력센터, 다목적실, 늘봄카페, 장애인화장실 |
| 지하 1층 | 주차장, 관리실, 기계실, 서고 |
5. 교통
5.1. 버스
5.2. 지하철
서울 지하철 9호선 사평역 2번 출구[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