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15:48:06

사일런트 프렌드

사일런트 프렌드 (2025)
Stille Freundin
Silent Friend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장르 드라마
감독 일디코 엔예디
각본
제작 레인하르트 브룬딕
니콜라스 엘고지
모니카 메치
주연 양조위
레아 세두
루나 배들러
질베스터 그로트
마르틴 부트케
촬영 게르겔리 팔로스[1]
편집 ○○
미술 베아트릭스 페토
음악 ○○
의상 ○○
제작사 파일:독일 국기.svg 판도라 필름
파일:프랑스 국기.svg 갈라테 필름스
파일:투명.png 아르테 프랑스 시네마
파일:헝가리 국기.svg Inforg-M&M Film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배급사 파일:독일 국기.svg 판도라 필름
파일:헝가리 국기.svg Mozinet
개봉일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2025년 월 일
파일:독일 국기.svg 년 월 일
화면비 1.85 : 1
상영 시간 2시간 27분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
북미 박스오피스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2]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줄거리8. 사운드트랙9. 평가10. 흥행11. 기타12. 관련 문서

1. 개요

일디코 엔예디 감독 및 각본, 양조위, 레아 세두, 엔조 브룸, 루나 배들러, 질베스터 그로트, 마르틴 부트케 주연의 2025년작 프랑스-독일-헝가리 합작 영화.

제8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신인배우상(마르첼로 마스트로얀니상) 수상작.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4. 예고편

공식 예고편

5. 시놉시스

하나의 나무를 배경으로 서로 다른 세 시대, 1908년과 1972년, 그리고 2020년 세 시대의 인물들이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 이야기.

6. 등장인물

  • 양조위 - 토니 역
  • 레아 세두 - 앨리스 역
  • 루나 배들러[3] - 그레테 역
  • 엔조 브룸 - 한스 역
  • 질베스터 그로트 - 안톤 역
  • 윤 후앙 - 율 역
  • 루카 발렌티니 - 프란체스코 역
  • 마르틴 부트케
  • 펠릭스 부로세 - 막스 역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27811632, IMDb_user=7.5,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silent_friend,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silent-friend, 레터박스_user=,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인디와이어=silent-friend-review-tony-leung-1235149183, 인디와이어_user=B,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사일런트 프렌드>는 고요하고 농밀한 에네디의 세계에 딱 들어맞는 작품이다. <나의 20세기>(1989)에서 속삭이는 별을 삽입했던 그는 수령이 200년에 다다른 은행나무를 등장시킨다. 독일 대학가의 식물원 안에서 1908년엔 대학 최초의 여학생이, 1972년엔 수줍은 남학생이, 2020년엔 홍콩의 신경과학자가 한동안 머문다. 찬찬한 관찰자인 그들은 시대의 흐름과 무관한 조용한 존재들이다. 그런 특성이 그들과 은행나무, 제라늄이 소통하게 하는데, 식물은 그들을 바라보고 말을 건넬 뿐만 아니라 주체적으로 대응한다. 극 중 시대를 오가는 전개 방식은 은행나무가 감각하고 기억했던 것을 풀어놓은 것과 다름없다. 시대별로 다른 톤을 사용했으나, 나무의 의식을 빌려 그들은 하나로 묶이게 된다. 달빛처럼 고요하나 엄숙하지 않고, 평화로우나 지루하지 않은 체험이 삶을 깨운다.
출처 : 2025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이용철 평론가 소개 #

10.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10.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10.2. 북미 (미국·캐나다)

10.3. 중국

10.4. 대만

10.5. 일본

10.6. 영국

10.7. 기타 국가

11. 기타

  • 양조위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이후 두번째로 중화권 외에서 출연한 영화이자 첫번째 유럽권 영화 출연작인데, 일디코 엔예디 감독이 밝히길 토니의 배역은 처음 각본을 쓸 때부터 양조위를 상정하고 만든 배역이라고 한다. #

12. 관련 문서

  • [[관련 문서1]]
  • [[관련 문서2]]

[1] 로이 앤더슨의 영화 비둘기, 가지에 앉아 존재를 성찰하다끝없음에 관하여의 촬영감독.[2]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상영 등급.[3] 넷플릭스 시리즈 '바이오해커스'로 유명해진 스위스의 배우. 엔예디의 전작 내 아내 이야기에도 출연한 바 있다.[4]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