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03:30:38

비뢰신의 술

비뢰신의 술법에서 넘어옴
<colbgcolor=#000><colcolor=#fff> 비뢰신의 술
[ruby(飛雷神の術, ruby=ひらいしんのじゅつ)][1] | Flying Raijin Jutsu
<nopad> 파일:external/stream1.gifsoup.com/hiraishin-no-jutsu-2-o.gif
술자 센쥬 토비라마 (개발자)
나미카제 미나토
우즈마키 보루토 (아류)[2]
시라누이 겐마, 나미아시 라이도, 타타미 이와시 (비뢰진의 술)

파일:external/static-2.nexusmods.com/54272-1-1400804318.jpg
나미카제 미나토의 수리검으로, 비뢰신의 술에 사용되는 마킹이 새겨져있다.

1. 개요2. 설명3. 사용법4. 작중 사용5. 단점6. 사용자7. 응용기8. 우즈마키 보루토 버전9. 기타10. 관련 문서

1. 개요

나루토의 등장 술법.

2. 설명

랭크는 S. 특수한 술식으로 마킹된 공간에 술자를 역소환하는 술법. 일종의 공간 도약 및 순간 이동이며 시공간인술순신의 술 둘 다 해당되는 술법이다.

개발자는 2대 호카게 센쥬 토비라마고 4대 호카게인 나미카제 미나토도 주력기로 사용한다. 이 술법 덕분에 미나토는 금빛 섬광, 토비라마는 최속의 닌자로 불렸다. 보루토 2부에서 미나토의 손자인 우즈마키 보루토도 사용한다.

토비라마가 비뢰신을 사용하는 미나토에게 "자네, 나보다 더 뛰어난 순신술사이군", "너와 달리 단번에는 어렵지만, 내 나름의 순신술로 모두를 돕도록 하지"이라고 말했고 신수로부터 2명의 닌자를 비뢰신으로 이동시키면서 "내 순신의 술로 위험한 녀석들은 떨어트려 놓는다"라고 말한 것을 보면 비뢰신의 술은 순신의 술도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작중에서 비뢰신의 술과 일반 순신의 술을 섞어서 부르는 경우가 많다.

토비라마의 언급에서 미나토의 비뢰신 사용도가 토비라마보다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3. 사용법

사용법은 술식이 새겨진 쿠나이를 던지거나 이동하고자 하는 대상에게 술식을 새긴 후 술법을 발동하면 술식이 역소환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단순히 초고속으로 움직여서 마치 순간이동한 것처럼 보이는 기존 순신의 술법과는 다르게 이쪽은 진짜 순간이동이다. 또한, 이 술법은 거리 제한이 없어 마음껏 이동할 수 있어서 술자에게 엄청난 기동력을 부여한다. 보루토 설정집에 의하면 마킹이 되어있다면 다른 차원의 장소도 얼마든지 이동할 수 있다고 한다.[3]

같은 장거리 초고속 이동 술법인 천송술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면 라이카게 수준의 괴물같은 맷집, 또는 츠나데처럼 백호의 인을 사용해 바로 재생가능한 몸이 아닌 이상, 충격으로 육체가 분해될 수도 있어서 물건으로 제한을 둔 반면에, 비뢰신의 술은 사람을 초고속 이동시켜도 이동자의 신체에 이상이 없다.

단, 술자의 술식이 새겨진 곳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술자마다 그 모양이 다르며, 손을 대는 것으로 새길 수 있다. 카카시 외전에서 미나토는 카카시를 구해내면서 적 닌자의 발에 술식을 새긴뒤 나중에 그 닌자가 다시 접근하려 하자 순식간에 그 닌자 뒤로 이동해 죽인다. 바로 위의 미나토가 가방을 떨어뜨리고 그 적 닌자 뒤로 순간이동해서 쿠나이를 겨누며 살벌하게 노려보는 gif 이미지가 바로 이 장면이다. 속도가 얼마나 빠른가 하면 위의 이미지처럼 떨어뜨린 가방이 땅에 닿기도 전에 바위 마을 닌자의 뒤로 이동한다.

술식은 한번 새겨지면 지워지지 않기에, 몸에 술식이 새겨지면 언제 어디에서 미나토가 습격할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예토전생자나[4] 육도선인급의 강자가 아닌 이상 사형선고나 다름없다.

미나토의 비뢰신 술식에 있는 한자는 인애지령(忍愛之刢)[5]이다. 토비라마의 술식은 센쥬 일족의 상징이기도 한 금강저의 모양이다. 이를 볼 때 비뢰신용 술식은 술자마다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미나토는 항상 자신이 가지고 다니는 쿠나이의 꼬리 부분에 시공간의 문장을 새겨서 전투용으로 사용하고 있다.[6]

갓난아기인 나루토와 함께 이동하거나 쿠라마의 미수옥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등 접촉만 한다면, 다른 사람이나 술법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림자 분신으로도 비뢰신의 술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토비라마는 분신을 이용해 오비토한테 이용했고 미나토도 본체는 결계를 유지한 채 그림자 분신으로 비뢰신의 술법을 사용하여 오비토를 쿠나이로 베어버렸다. 다만 사용자의 차크라로 마킹이 되지 않은 개체는 같이 이동할 수 있는 숫자가 1개가 최대이며 그림자 분신은 본체가 쓰는 것보다는 이동 속도가 느리다고 한다.

4. 작중 사용

562화에서 밝혀지기를 미나토가 4대 호카케였을 때 자신을 호위하는 3명의 닌자 나미아시 라이도, 시라누이 겐마타타미 이와시에게 가르쳤다고 한다. 다만 각각 술식을 나누어 전수해줬는지는 몰라도 3명이 함께 사용해야 비뢰신의 술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언급을 보면 그냥 기량이 부족해서 그런 듯하다. 사실 설정집에 적혀있기를 이 3명이 사용하는 술법은 '비뢰진의 술'이라는 술법으로 비뢰신의 술을 변형하여 만든 술법이다. 아마 비뢰신의 술에 비해 배우기 쉬워보이며 3명이서 진을 형성해서 이름에 '진'이 들어가는 듯하다.

630화에서 미나토는 이 인술로 사스케의 +오로치마루와 다른 호카게들보다 먼저 전장에 도착했다.

637화에서는 이 기술로 생전에 술식을 새겨두었던 토비에게 날아가 단번에 베어버렸는데, 미나토의 말로는 "한 번 새겨진 비뢰신의 술식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고 한다. 즉 술자 본인이 사망한 후에도 술식은 유효하다는 것. 물론 예외도 있어서 쿠시나처럼 인주력의 봉인식에 쓰여있으면 미수가 뽑히자마자 지워지고, 십미의 인주력이 된 오비토에게 적혀있던 술식도 상처가 전부 치유되면서 지워졌다.

토비라마와 미나토가 서로 마킹해서 비뢰신의 술법을 연계한 기술인 '호순 회전의 술 비뢰신'이라는 술법을 사용해 나루토와 사스케에게 날라온 오비토의 폭발하는 구도옥을 비뢰신의 술법으로 되돌려준 뒤, 먼 거리를 분신을 통해 이동시켜 폭발시켰다.

보루토 2부에서는 미나토의 손자인 보루토가 사용. 코드에게 붙여놓은 두꺼비가 갖고 있던 마킹을 통해 십미의 이공간으로 대피한 코드를 따라 들어올 수 있었다.

나중에 밝혀지길 보루토가 사용하는 비뢰신의 술은 오오츠츠키가 사용하는 시공간 인술을 컨트롤 하기 위해 연구하다가 독자적으로 비뢰신의 술과 비슷한 결과를 도출한 후 할아버지의 술법 이름을 붙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시 말해 보루토는 엄밀히 말하자면 비뢰신의 술의 사용자가 아니다.[7]

5. 단점

너무 재촉하지 마... 아직 4대 호카게님 만큼 능숙하게 쓸 순 없다고.
우즈마키 보루토
습득 난이도가 매우 높다. 단독 사용 가능자가 2, 4대 호카게인 토비라마, 미나토와 보루토인데, 천재라고 하는 보루토조차도 능숙하지 못하다.[8] 그리고 특별상급닌자조차 3명이서 함께 사용해야 겨우 가능한데다가 시간도 위에 3명에 비해 많이 걸린다. 그렇기에 이 술법을 쓰는 병력을 다수 양성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습득하더라도 끝이 아니며 숙련 과정도 험난하다. 마킹 위치를 전부 기억하고 구분할 수 있는 뛰어난 인지 및 사고능력, 반응속도를 갈고 닦아야 한다. 미나토는 술식을 새긴 쿠나이를 일부러 티나게 뿌려 회피를 유도하고 이동하여 뒤를 잡거나 아군에게 쿠나이를 줘서 여러 전장을 오가며 활동하는데, 이러려면 수십에서 수백개의 마킹을 전부 기억하고 구분할 수 있어야 하고 각 상황에 맞게 빠르게 반응하고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소수의 마킹 갯수로 소규모 활용도 가능하기에, 어디까지나 숙련도에 한정하여 뒤따르는 단점이다.

제4차 인계대전에서는 사용자들이 예토전생되어 무한 차크라 상태였기에 연비를 신경쓰는 묘사가 많지 않았으나, 생전의 미나토가 쿠라마 수준의 크기를 이동시키려면 차크라가 필요하다면서 차크라를 짤 시간을 벌어야 했고, 이동시키고 난 뒤에는 차크라를 대부분 소모해 기진맥진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쿠라마의 차크라를 사용했음에도 십미의 미수옥으로부터 닌자연합군을 구하고, 신수의 넝쿨로 인해 차크라를 잃자 나루토의 곁으로 이동할 차크라마저 부족해 곤란해지기도 했다. 어느 정도까지는 문제 없지만, 대상의 부피나 질량이 일정 이상이 되면 차크라 소모도 비례적으로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사용자

7. 응용기

  • 비뢰진의 술(飛雷陣の術)
    비뢰신의 술과 같은 효과를 가진 시공간인술. 4대 호카게의 호위 소대였던 겐마와 그 일원들이 전수받았다. 세 사람이 진을 짜고 진 안에 있는 물체, 사람을 전이시킬 수 있다.



    진의 서

    4대 호카게의 호위 소대였던 시라누이 겐마, 나미아시 라이도, 타타미 이와시가 사용하는 연계 시공간인술. 비뢰신의 술을 사용하는 나미카제 미나토가 그들의 수월한 호위 임무를 위해 가르친 술법으로 설정집에 명시된 '비뢰진'이라는 명칭은 3명이서 비뢰신의 술을 '진'을 쳐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세 명의 술자들이 검지와 중지가 서로 맞닿도록 인을 맺어 그안에 순간이동 시킬 대상을 에워싼다. 이후 대상과 세 명의 술자가 마킹된 표식으로 순간이동한다. 비뢰신의 술과 달리 상당히 시간이 걸리며, 한 명으로는 술법을 발동할 수가 없다. 이 술법으로 테루미 메이를 마킹이 된 5대 호카게에게 이동시켜 다섯 카게가 집결할 수 있었다.
  • 비뢰신・도뢰(飛雷神・導雷)
    비뢰신의 쿠나이에 들어오는 공격을 멀리 옮기는 결계를 형성하는 술법. 공격 거리가 뒤틀리면 다른 위치에 직접 해야 된다. 미나토가 비뢰신의 술을 많이 발전시킨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인은 사-오-자-미.
  • 호순 회전의 술 비뢰신(互瞬回しの術 飛雷神)[10]
    두 개의 비뢰신이 빛나는 그때 기적의 연계가 발동!!



    두 비뢰신 술사가 같이 모인 순간에 태어난 꿈의 연계! 시공간인술을 만들어낸 2대 호카게와 이를 이어받아 술법을 보다 높은 경지로 끌어올린 4대 호카게에 의한 무시무시한 콤비네이션이다. 아군의 공격을 제 몸으로 받아내고, 두 개의 비뢰신을 동시에 발동시킴으로써 표적과 바꿔치기해 대미지를 주는 커다란 위험을 동반하는 술법이기도 하다. 연계 상대와의 절묘한 호흡, 서로를 믿는 마음만이 가능케 하는 고등 연계. 표적이 된 자는 이도저도 못한 채 정면에서 당하게 될 뿐!!



    오비토에게 연계 인술을 걸기 위해, 돌진하는 나루토 & 사스케 앞에··· 4대가 뛰어든다!



    4대가 기술에 닿는 순간, 오비토의 등 뒤에 있던 2대와 동시에 비뢰신을 발동!



    진의 서

    랭크는 A. 근/중/원거리형 보조계 인술. 두 명의 술자가 비뢰신으로 두 사람의 위치를 서로 바꾸는 기술. 제4차 닌자대전에서 토비라마나미카제 미나토가 연계하여 사용해 오비토에게 작둔을 먹였다. A랭크 술법인데 비뢰신 베기와 마찬가지로 평가를 할 때 비뢰신 술의 난이도는 배제한 듯하다.

8. 우즈마키 보루토 버전

카신 거사에 의하면 1부 시점으로부터 1년 후의 6년 후, 즉 19세의 보루토가 만든 술법이라고 한다. 술법명은 '비뢰신의 술'이지만 이는 시공간인술로 빠르게 이동한다는 유사점 때문에 보루토가 명명한 것일 뿐, 실제로는 그 메커니즘이 완전히 다른 아류라고 한다.#

이 술법은 오오츠츠키로서 가진 시공간인술[11]을 제어할 방법을 찾던 보루토가 고안한 술법으로, 오오츠츠키의 시공간인술에 기반하여 금속 물체에 부여한 차크라를 감지해 이동한다. 2부의 보루토는 옷 안쪽에 여러 금속 배지들을 달고 있는데, 패션이 아니라 각기 모양을 달리함으로써 특정 금속을 감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단거리 사용시에는 오리지널 비뢰신과 같이 굉장한 기동력을 자랑하지만 장거리 이동시에는 발동에 시간이 걸리는데다 마킹을 새기는 시간 역시 대상과 닿는 순간 바로 마킹을 새기는 미나토와 비교하면 한참 느려서 사전에 마킹이 새겨진 금속 조각을 준비해둬야 등, 오리지널에 비해 제한이 많다.

9. 기타

비슷한 술법으로는 윤회안을 개안한 사스케의 아메노테지카라가 있는데, 비뢰신의 술과 달리 이 술법은 사물 혹은 사람, 공간을 맞바꾸는 술법이다. 하지만 공간과 술자 자신을 바꾸는 건 차크라 소모량이 많은지 사스케는 보통 사물과 바꿔치기한다. 술자가 아닌 타인과 공간 등 술자가 아닌 물체도 바꿔치기 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제한이 있다. 비뢰신의 술법은 술자가 마킹한 곳에만 이동이 가능하지만, 아메노테지카라와 달리 거리 제한이 없으며, 술사와 직/간접적으로 이어져 있으면 술사 외의 존재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차크라 소모도 적은 편이다.

만화경계 시공간인술인 카무이와 비교할 경우,[12] 시노에게 잡힌 토비가 순식간에 사라지는 것을 보고 카카시가 "이건... 4대 호카게조차 능가하는 시공간 인술이야...!!"라며 놀란 것과 미나토가 토비와의 전투에서 비뢰신의 술법과 같은 계열인 시공간동술인 카무이를 시전하는 것을 보고, "나와 2대 호카게 이상의 시공간 인술이다"라고 평가한 것을 보아, 카무이가 비뢰신의 술보다 상위의 성능을 가진 술법으로 추정된다. 다만 종합적인 성능에 있어서는 카무이가 우위일지라도, 마킹만 있으면 전신이 순식간에 이동하는 비뢰신과 달리 카무이는 을 중심으로 발생한 공간의 소용돌이가 술자를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전송되기에 비뢰신과 비교하면 딜레이가 상당하다.[13] 즉 카무이가 최상위 시공간인술로 고평가받는 결정적인 이유는 별도의 준비작업 없이 술자나 대상의 신체 일부만을 대상으로도 발동할 수 있는[14] 엄청난 자유도에 있는 것이고, 순수 이동 속도만 따져서는 비뢰신이 명백히 한 수 위다. 게다가 만화경 사륜안의 특성상 엄청난 위험을 동반하는지라 하시라마의 세포 없인 남용할 수 없는 카무이와 달리 비뢰신의 술은 차크라 소모량이 적고, 그나마 보급형이라는 점에서 안정성이 높다.[15]

10. 관련 문서



[1] 피뢰침과 독음이 같다.[2] 술법의 발동결과는 비뢰신의 술과 매우 유사하나, 기원은 오오츠츠키의 시공간인술이며, 마킹의 매개체는 금속에 국한되고 발동 시간도 오래걸리는 등 오리지널 비뢰신의 술의 아득한 하위호환이다.[3] 이는, 토비카무이 공간이나 요모츠히라사카의 6가지의 공간도 마킹만 되어있다면 이동할 수 있다는 소리이다.[4] 예토전생자들은 먼지와 재의 육신을 가져서 타격을 맞아봤자 웬만해선 죽지않고 계속 싸울 수 있다. 게다가 통증을 못 느끼니 산 인간 기준에선 유효타여도 예토전생자는 반격할 수 있다.[5] '사랑으로 참고 견디며 나아가다.' 라는 의미이다. 여담으로 미나토의 스승인 지라이야 또한 '닌자(忍者)는 참고 견디는 자' 라는 발언을 여러 차례 어필한 바 있다.[6] 쿠나이를 엉뚱한 곳으로 여러 개 던져 놓은 뒤 순식간에 적의 뒤를 잡는 식. 미나토는 다수의 쿠나이를 전장에 뿌려놓고 곳곳으로 공간이동을 하며 빠르게 치고 빠지는 전법도 사용하는데, 이건 수백 개의 쿠나이에 새겨진 술식을 모두 일일이 구분하고 기억할 수 있어야 가능한 전법이다. 술법을 익혀도 머리가 따라주지 못하면 제대로 응용할 수 없다.[7] 그리고 이는 원래 보루토가 6년이나 걸려서 스스로 터득해야 하는 기술이었지만, 카신 거사가 발동 원리를 알려줌으로서 원래보다 더 빠른 시간 안에 익힐 수 있었다는 것도 밝혀졌다.[8] 보루토는 술법 시전에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했고, 그마저도 4대에 비하면 아직 능숙하게 쓸 수 없다 말했으니 이 술법의 난이도가 다른 술법에 비해 격이 다른 수준임을 짐작할 수 있다.[9] 술법의 발동결과는 비뢰신의 술과 매우 유사하나, 기원은 오오츠츠키의 시공간인술이며, 마킹의 매개체는 금속에 국한되고 발동 시간도 오래걸리는 등 오리지널 비뢰신의 술의 아득한 하위호환이다.[10] 설정집 명칭은 '비뢰신 호순 회전술'이다.[11] 잇시키 등이 사용하는 웜홀을 여는 기술.[12] 공교롭게도 사용자 전원이 미나토의 제자들이다.[13] 실제로 미나토 본인도 카무이에 빨려들어가는 상황에서 비뢰신을 써서 탈출했다. 한발 먼저 발동한 카무이의 전송속도보다도 비뢰신의 이동속도가 빠르다는 증거.[14] 대상이 신체 일부만 전송당하면 그 부위를 영구히 손실되거나 즉사하지만 술자의 신체 일부만 전송할 경우 아무런 물리적 타격을 입지 않는다. 공수 양면에서 무적급의 활용도를 자랑하기에 초딩치트라고 불리는 것.[15] 오비토나 전쟁편의 카카시가 카무이로 보여준 대활약은 하시라마 세포로 몸을 떡칠하거나 구미, 육도선인(이 된 오비토)의 차크라를 일시적으로 받아서 가능한 묘기였다. 미나토의 경우, 금빛섬광이라는 별호에서 알 수 있듯 수리검 수십개를 각지에 뿌려 여기저기 순식간에 이동하며 싸우는 전법이 주특기였으니 가성비에 있어서는 비뢰신이 월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