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9 00:18:58

블러드 메피스트

블러드 메피스트
파일:블러드 메피스트.png
마음의 어둠에서 태어난 자, 지금, 영혼과 맞바꾸어 강림하라!
心の闇より生まれし者、今、魂と引き替えに降臨するがいい!
싱크로 소환! 맥동하라, 「블러드 메피스트」!
シンクロ召喚!脈動せよ、「ブラッド・メフィスト」!

-유희왕 5D's 제95화 中 볼거-
1. 개요2. 설명
2.1. 원작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2.1.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CrimsonMefist-JP-Anime-5D.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블러드 메피스트,
일어판 명칭=ブラッド・メフィスト,
영어판 명칭=Blood Mefist,
레벨=8,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2800, 수비력=13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1턴에 1번\,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카드의 매수 × 300 포인트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를 세트했을 경우\, 300 포인트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유희왕 5D's 일상생활 편 94화에서부터 등장. 본래 제조 중단된 '플레이어에거 실제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카드' 중 회수되지 못한 유일한 카드로서, 볼거가 사용해 로버트 피어슨을 죽음으로 내몬 것으로 나온다.[1]

이후 볼거크로우 호건과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했다. 번 효과로 크로우를 몰아붙이며 싱크로 라이벌리로 보호했으나, 블랙 페더 드래곤BF-정예의 제피로스의 무한 루프로 검은 날개 카운터를 잔뜩 쌓은 블랙 페더 드래곤에게 공격력이 0이 된 상태로 공격을 받으며 볼가가 패배했다.

이름의 유래는 메피스토펠레스로 추정. 공격명은 '커스드 블러드(カースド・ブラッド / Cursed Blood)'. 입에서 산성을 지닌 토사물을 토해내는 더러운 공격이다. 이거에 맞아서 상체만 녹아버린 BF-암즈 윙의 모습 역시 상당히 무섭다.

유희왕 ARC-V 58화에서는 커먼즈의 D휠러가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card7371381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블러드 메피스트,
일어판 명칭=ブラッド・メフィスト,
영어판 명칭=Blood Mefist,
레벨=8,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2800, 수비력=13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상대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카드의 수 × 3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효과2=②: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를 세트할 때마다 발동한다. 상대에게 300 데미지를 준다.)]
첫번째 효과는 상대 스텐바이 페이즈에 상대 필드의 카드 수만큼 효과 데미지를 주는 유발 효과. 데미지 수치가 안정치 못한데다 본전을 뽑으려면 최소 2~3장 이상의 카드가 상대 필드에 있어야 한다. 방해꾼 트리오 등으로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늘리거나 자업자득 등으로 데미지를 더 준다거나, 씽쩐후 등으로 세트 카드의 발동을 막으면서 데미지 수치도 늘리는 콤보를 고려할 수 있겠다. 발동 타이밍이 스텐바이 페이즈라 달의 서 등 속공 마법이 상대 패에 존재했다간 그대로 막힐 우려도 있다.

두번째 효과는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를 세트할 때마다 효과 데미지를 주는 유발효과. 마법 / 함정 카드 세트가 조건이며, 고철의 허수아비함정 몬스터가 세트됐을 때도 데미지는 부여된다. 다만 역시 상대 플레잉에 전적으로 의존한다는 것이 흠. 상대에게 세트를 강요하는 마법 봉인의 방향제를 같이 써주면 좋겠지만, 데미지 수치 자체가 빈약해서 개의치 않고 세트해대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하지만 상대가 세트를 몇 번이나 거듭하면 그만큼 데미지도 착착 쌓일 테니 악몽의 고문실과 같이 써주거나 씽쩐후로 발동할 수 없도록 만들어서 첫번째 효과와 연계하면 데미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안정적이지 못한 번 데미지 때문에 아무도 주목하지 않던 카드였으나, 2025년 들어 중고 가격이 폭등했다. YCSJ에서 순수 K9 덱이 덱의 함정 카드를 세트하는 것이 메인 기믹 중 하나인 드래곤테일 상대로 이 카드를 카오스 앙헬-혼돈의 쌍익-과 같이 내서 압박하는 것으로 1승을 거두었다고 해 가격이 오른 것인데, 그래 봤자 드래곤테일이 한 턴에 세트하는 카드의 양으로는 네 자릿수 데미지도 주기 힘든 데다 K9 덱 중 이 카드를 쓰지 않고도 우승하는 경우가 더 많아 한국 내에서는 화이트 더스튼 사태처럼 중고 거래가 조작을 위한 움직임이 아니냐는 비판적인 의견이 우세하다. 그리고 그 플레이어는 다음에 참가한 대회에서 이 카드를 쓰지 않은 K9 덱으로 우승하면서 사실상 중고 거래가 조작을 위해 투입한 것이 확실해졌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0-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DY3-JP005 | デュエルディスク遊星Ver.DX 2010
2010-1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DY3-KR005 | 듀얼디스크 유성 Ver.DX 2010 특전 카드
2011-08-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CSW-EN004 | Yu-Gi-Oh! CHAMPIONSHIP SERIES 2011

[1] 다만 과거 회상을 보면 피어슨을 죽일 생각까지는 없었던 모양. 아마도 블러드 메피스토의 충격으로 건물에 불이 나는 바람에 피어슨이 타 죽은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