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사마귀속 Tenodera | 사마귀 · 왕사마귀 |
넓적배사마귀속 Hierodula | 넓적배사마귀 ·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 | |
애기사마귀속 Acromantis | 애기사마귀 | |
좀사마귀속 Statilia | 좀사마귀 | |
항라사마귀속 Mantis | 항라사마귀 | |
좁쌀사마귀속 Amantis | 좁쌀사마귀 |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붉은가슴넓적배사마귀) Chinese Reddish Mantis | |
| |
학명 | Hierodula chinensis Werner, 1929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 Arthropoda |
강 | 곤충강 insecta |
목 | 사마귀목 Mantodea |
과 | 사마귀과 Mantidae |
아과 | 넓적배사마귀아과 Hierodulinae |
속 | 넓적배사마귀속 Hierodula |
종 |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 H. chinensis |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 암컷 |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 수컷 |
1. 개요
사마귀목 사마귀과 넓적배사마귀속에 속하는 곤충의 일종. 대한민국, 중국, 일본에 서식하고 있으며 원산지는 중국으로 추정된다. 즉, 한국과 일본 입장에서는 외래종 사마귀이다.2010년대 일본에 먼저 유입되어서 붉은가슴넓적배사마귀(ムネアカハラビロカマキリ)로 불리던 종으로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녀석과 동일하다. 한국에서는 2018년에 처음 발견되었고, 2019년 조사를 통해서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정되었다. 국내에서는 전라도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나 경상도, 강원도에서도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종이 먼저 유입되었던 일본에서는 Hierodula venosa 혹은 Hierodula membranacea라고 추정했고, 한국에서는 Hierodula formosana 또는 미동정종으로 추정하였다. 하지만 이 종이 서식하고 있던 중국에서 2020년 논문을 내어 'Hierodula chinensis'로 정리되었다. 한국에서도 2021년 논문이 발표되어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라는 국명이 생겼다.
일본에서는 중국산 빗자루에 이 종의 알집이 붙어서 발견된 사례가 있다. 여러 사마귀의 유입-전파 경로가 그러하듯 이 종 역시 식물 혹은 물건에 알집이 붙어서 들어왔을 가능성이 크다.
2. 특징
|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의 특징적인 붉은 가슴 마디 안쪽 |
덩치가 상당히 큰 편으로 대략 60~80mm까지 자란다. 국내에서 가장 큰 사마귀인 왕사마귀 다음가는 덩치를 자랑한다. 몸길이 자체는 왕사마귀쪽이 더 길지만, 넓적배사마귀 친척 아니랄까봐 두껍고 다부진 체형 탓에 체급 자체는 비슷하다.
다른 사마귀들에 비해 수컷이 굉장히 큰 편이다. 물론 덩치는 암컷이 더 크지만 몸길이만 보면 수컷이 더 큰 경우도 많다. 이는 암컷의 날개는 옆으로 넓은 반면 수컷의 날개는 길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징이다. 대체로 암수 크기 차이가 심한 사마귀들 중에선 특이한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넓적배사마귀처럼 활엽수 가지에 붙어 생활한다. 뜨거운 낮에는 나뭇잎 밑에 숨어있다가 밤이 되면 먹이 활동에 나선다.
3. 넓적배사마귀와의 관계
|
넓적배사마귀 수컷(왼쪽)과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 수컷(오른쪽) |
|
넓적배사마귀 암컷(왼쪽)과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 암컷(오른쪽) |
서식 지역과 환경이 넓적배사마귀와 비슷해서, 일찍이 이 외래종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일본에서는 넓적배사마귀와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의 관계에 대해서 논문이 나온 바 있다. 해당 논문에는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가 정착한 지역에서 넓적배사마귀가 발견되는 숫자가 줄어들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때 남부 지방에서 국한적으로 서식했던 넓적배사마귀가 기후 변화, 채집 후 방생 등의 여러 요인을 통해서 전국에 퍼지고 현재는 우점종 위치까지 올랐듯이, 이 종 역시 전국적으로 퍼져나갈 가능성이 크다. 한국에 살고 있던 넓적배사마귀 혹은 다른 곤충에게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는 앞으로 연구할 문제이다.
넓적배사마귀속(Hierodula) 곤충들은 따뜻한 지역을 선호하지만 추운 날씨에 대한 내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사마귀가 낳는 '알집' 형태의 번식 방식은 거품과 내장재로 알을 감싸서 추위를 쉬이 이길 수 있다.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가 서식하던 중국 지역 중에는 겨울이 없는 곳이 많지만, 일본과 한국의 추운 겨울에도 적응하였다.
앞으로 다른 열대 지역 사마귀가 한국에 정착할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셈이다. 사마귀는 바퀴벌레의 친척인 만큼 의외로 기후 적응력이 뛰어난 곤충이기에 다른 외래종 사마귀를 누군가가 몰래 방사하면 국내 생태계에 큰 위협이 될 수도 있다.[2]
4. 여담
- 국내에 자생하는 근연종인 넓적배사마귀보다 크고 힘이 강하며 외국의 왕넓적배사마귀와 가깝기 때문에 사마귀를 사육하는 곤충 동호인들에게 인기가 높으며 애완용으로 구하려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다.[3] 그러나 일부는 무분별한 방생과 그로 인한 생태계 교란을 우려하기도 한다.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는 엄연히 외래종이기 때문에 방생을 이곳저곳에 하면서 퍼뜨리는 것은 국내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4]
- 사육하는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면 강약약강의 기질이 있다고 하며 온순하지는 않지만 경계심이 강하고 겁이 많다고 한다.
|
넓적배사마귀 수컷(왼쪽)과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 수컷(오른쪽) |
[1] 다만 국내에 자생하는 근연종인 넓적배사마귀도 아랫쪽이 붉은색인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붉은색의 유무가 둘 사이를 가르는 완전한 동정 포인트가 아니며 가슴의 길이로 비교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하다.[2] 몇몇 대형종들의 경우 국내 풀벌레 생태계의 정점인 왕사마귀와 맞먹거나 더 거대하기 때문에 생태계를 뒤흔들 수 있고, 굳이 대형종이 아니라고 해도 중간 포식자 위치에 정착하며 충분히 생태계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3] 따라서 이 종 역시 2010년 후반부터 진행된 사마귀 사육 붐을 일으키는데에 큰 한 몫을 한 셈이다.[4] 다만 이는 외래종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닌데 국내에 서식하는 종이라 할지라도 크기가 작고 서식지가 국소적인 소동물은 원래 채집한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 방생할 경우 해당 지역의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국내에 자생하는 근연종인 넓적배사마귀의 예를 들 수 있는데 해당 종은 국내에서는 남부 지역에서만 서식하던 종이었으나 기후 변화와 더불어 애완용으로 길러지던 개체들의 방생이 이뤄지면서 전국적으로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전국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는 말이 자칫하면 좋게 들릴 수 있으나 특정 종이 없던 지역에 새로이 도입되면 해당 지역에서 그 종과 같은 생태적 지위를 공유하는 생물들에게는 위협이 된다. 그 위협은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런 상황이 심각하면 멸종에 이르게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