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7 00:23:32

부정대명사

📘 영문법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colbgcolor=#2667a9><colcolor=#fff> 관계사 · 고유명사 · 간접화법 ·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 간접목적어 · 가정법 · 가주어 · 구동사 · 관사 · 과거분사 · 관계대명사 · 관계부사
능동태 · 논리적 연결사
동사 (be(동사)) · 동사원형 · 동명사 · 도치 · 대명사
루트문장(root clause, 주절)
모음 · 명사 · 문장 성분 · 문장의 5형식 · 명사절 · 목적어 · 물질명사 · 명사구
보어 · 분사 · 분사구문 · 부사 · 부사절 · 부정문 · 부정대명사 · 부정사 (to 부정사) · 불규칙활용
시제 · 속격 · 술부 · 수동태 · 수사 · 수일치 (주어-동사 일치)
인칭대명사 · 의문문 · 유도부사 · 완전타동사 · 의문사 · 의문형 부사절
지시대명사 · 주부 · 조동사 · 전치사 · 접속사
추상명사 · 첨가구문 (e.g. not only ~ but also)
컴마 사용법 (문법상 쉼표 처리 규칙)
품사 · 표현 강조법 (도치, 강조구문 등 포함)
화법 · 현재진행형 · 현재완료형 · 형용사 · 현재분사 · 확정 표현 (must, have to 등)
기타 영국식 영어 · 미국식 영어 · 영미권 · 영어(교과) · 영숙어 · 슬랭(속어) · 시험용 표현 (IELTS, TOEFL 등 관련 문법)
🌍 영어 관련 틀 둘러보기 🌍 }}}}}}}}}

1. 개요2. 구분
2.1. 나머지와 전체로의 구분2.2. 수로서의 구분
3. 각 불특정대명사의 특징
3.1. one3.2. some/any
4. , + of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whom) + 불완전한 문장

1. 개요

/ / 불특정대명사 / Indefinite pronoun

분명히 정해지지 않는 막연한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대명사이다. 형용사처럼 꾸며주는 한정사로 쓰여지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one, another, other / many, much, most / (a) litte, (a) few 이런 것들이 있다. 원래는 형용사나 부사지만 불특정대명사의 역할을 하는 것도 있다. 결론적으로 막연한 무언가를 대명사화해서 이야기한다면 부정대명사라고 보면 된다. 즉, 불특정한 사람, 사물, 양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대명사를 의미한다.

부정대명사의 '부정' 은 긍정의 반대말이 아니라 '정해지지 않음' 이라는 뜻이다. 긍정의 반대말은 한자로 , 정해지지 않음은 이다. 즉 수학 용어 부정형의 '부정'과 같은 뜻이다. 다만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임은 사실이기에, 쉬운 말인 '불특정대명사' 를 쓰기도 한다.

불특정대명사 중에는 복합불특정대명사라는 것도 존재한다.

some, any, every, no에 -body나 -one 또는 -thing을 붙여서 만든 것을 이렇게 부르며 -body나 -one가 붙은 대명사는 사람을 받아주는 대인불특정대명사라고 하며, -thing을 붙이는 대명사는 사물을 나타내는 대물불특정대명사라고 한다.
이런 대명사는 기존의 some, any, every, no에 기본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형용사의 후치 수식을 받고 단수로 취급되는 것이 특징이다.

초중고 과정에서는 이에 대해 무언가를 묶음에 쓰여지는 one, other, another, some이 어떻게 쓰이는 가를 초점을 맞추어 가르치기도 하며 any, one, some 을 불특정대명사라고 소개하고 이를 부정문, 긍정문, 의문문에서 어떻게 써야 문장이 자연스러워 지는가에 대해 가르치기도 한다. 또한 토익의 경우 불특정대명사의 수일치를 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설명하여 가르치는 경우도 있다.

이렇듯 불특정대명사는 역할로의 단수/복수의 구분, 전체/일부의 구분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쓰임은 일반적으로 대명사이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부정대명사를 제외하고는 대명사로 쓰여지는 거의 모든 문법에서 통한다. 하지만 각 불특정대명사들의 특징이 여러 가지이기 때문에 각 쓰임에 변수가 있다.

2. 구분

2.1. 나머지와 전체로의 구분

불특정대명사의 나머지와 전체와의 구분은 "the"의 유무로 나뉜다. the가 있으면 전체, the가 없으면 부분으로 이야기한다.
No 구분 1단계 불특정대명사 2단계 불특정대명사
1 2개(명) 막연히 하나 one 나머지 하나 the other
2 막연히 다른 하나 another
3 2개(명) 이상 막연히 다른 여럿 other
4 나머지 여럿 전체 the others
5 둘 이상 일부some 막연히 다른 여럿 others
6 막연히 또 다른 여럿 (still) others
7 나머지 여럿 전체 the others
출처

이 서술은 보통 중고등학교에서 중요하게 설명하는데 그 이유는 수능 시험에서 간혹 이에 대해 간접적으로 나마 나오는 경우가 있으며 해석을 할 때 the other, other, others 모두 비슷하게 생겼지만 해석이 조금씩 달라져 학교 선생님들이 함정 문제로 잘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불특정대명사들의 묶음 표현은 실생활에서도 많이 쓰여지는 표현이기 때문에 부정대명사의 묶음 표현을 하나의 구문으로 인식하고 다음처럼 설명한다.

1. 전체 숫자가 2인 경우
one~, the other~(하나는~, 다른 하나는~)

2. 전체 숫자가 3인 경우
one~, the others(하나는~, 나머지 전부는~)

one~, another~, the other~(하나는~ 또 다른 하나는~ 나머지 하나는~)

3. 전체 숫자가 3이상 경우(전체를 알 때)
some~, the others~ (몇몇은~, 나머지 전부는~)
one~, the others~(하나는~, 나머지 전부는~)

4. 전체 숫자가 3이상인 경우(전체를 모를 때)
some~, others~(몇몇은~, 다른 몇몇은~)

출처

2.2. 수로서의 구분

불특정대명사는 앞처럼 전체/일부로 나누어서 이야기하기도 하지만 다음과 같이 대명사의 수를 통해서로 구분할 수 있다.
구분 단수 복수 불가산
a(n) / one / each / every / another O X X
many / both / several / a few / few X O X
much / a little / little X X O
most / some / all X O O

이외에도 많은 불특정대명사를 단/복수를 통해서 구분할 수 있다. 앞에 나와있는 것은 주로 쓰여지는 부정대명사들이다. 추가적으로 -thing, -body, -one을 붙인 부정대명사는 단수 취급한다.

3. 각 불특정대명사의 특징

3.1. one

가장 기본적인 불특정대명사로, 복수형은 ones, 소유격은 one's, 목적격은 그대로 one이다.

1. 앞에 언급된 불특정한 (같은 종류의) 사물을 가리킬 때.
(예) I don't have a pen. Can I borrow one? (one= a pen)
Is there a bank near here?-Yes, there's one on the corner. (one= a bank)
다만 앞의 언급된 것과 동일한 것을 의미할 때는 it/they 를 사용한다.
Where is my cell phone?-It's on the sofa.(it= the cell phone)

2. 앞에 나온 명사를 받을 때.
(예) Anthony has three cats: a white one(= cat) and two black ones(=cats)

3. 일반적인 사람들을 표시할 때.
(예)One should do one's duty.

3.2. some/any

some, any는 '조금(의)'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나라와는 달리 적다는 의미보다는 불확실하다는 늬양스를 가지고 있다. 주로 some은 "조금 있다는 것을 가정할 때" 사용되며, any는 "있는지 없는지 확실하지 않을 때" 사용된다. 때문에 some은 긍정문&권유문 에 쓰지만 any는 부정문&의문문에 쓰인다.

(예) Kelly has some cookies, I'd like to eat some (=some cookies).
Would you like to have some pens? (권유문)

(예) I'm sorry; I don't have any money. (부정문)
Does he get any allowance? (의문문)

4. , + of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whom) + 불완전한 문장

, 다음에 불특정대명사 + of which나 whom(주격 관계대명사)가 등장하는 경우, 이후 뒤에 나오는, 주격 관계대명사의 등장에 따라 문장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등장한다.
(예) The superviser employs five engineers, the last of which is man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