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5 분데스리가 리그 순위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4-25 분데스리가 | |||||||||||||||||
전반기 | |||||||||||||||||
R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팀 | SGE | SVW | FCH | VFB | BOC | FCU | STP | FCA | RBL | M05 | SCF | BAY | BMG | TSG | WOB | LEV | KSV |
구장 | H | A | H | A | H | A | H | A | H | A | H | H | A | H | A | H | A |
득 | 2 | 0 | 4 | 1 | 4 | 1 | 2 | 1 | 2 | 1 | 4 | 1 | 1 | 1 | 3 | 2 | 2 |
실 | 0 | 0 | 2 | 5 | 2 | 2 | 1 | 2 | 1 | 3 | 0 | 1 | 1 | 1 | 1 | 3 | 4 |
결과 | 승 | 무 | 승 | 패 | 승 | 패 | 승 | 패 | 승 | 패 | 승 | 무 | 무 | 무 | 승 | 패 | 패 |
승점 | 3 | 4 | 7 | 7 | 10 | 10 | 13 | 13 | 16 | 16 | 19 | 20 | 21 | 22 | 25 | 25 | 25 |
TD[1] | +2 | +2 | +4 | 0 | +2 | +1 | +2 | +1 | +2 | 0 | +4 | +4 | +4 | +4 | +6 | +5 | +3 |
순위 | 2 | 4 | 2 | 8 | 5 | 7 | 7 | 7 | 5 | 7 | 5 | 5 | 6 | 8 | 6 | 8 | 10 |
후반기 | |||||||||||||||||
R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팀 | SGE | SVW | FCH | VFB | BOC | FCU | STP | FCA | RBL | M05 | SCF | BAY | BMG | TSG | WOB | LEV | KSV |
구장 | A | H | A | H | A | H | A | H | A | H | A | A | H | A | H | A | H |
득 | 0 | 2 | 2 | ||||||||||||||
실 | 2 | 2 | 1 | ||||||||||||||
결과 | 패 | 무 | 승 | ||||||||||||||
승점 | 25 | 26 | 29 | ||||||||||||||
TD[2] | +1 | +1 | +2 | ||||||||||||||
순위 | 10 | 11 |
1. 개요2. 전반기
2.1. 1라운드 vs 프랑크푸르트 (홈, 2:0 승)2.2. 2라운드 vs 브레멘 (원정, 0:0 무)2.3. 3라운드 vs 하이덴하임 (홈, 4:2 승)2.4. 4라운드 vs 슈투트가르트 (원정, 5:1 패)2.5. 5라운드 vs 보훔 (홈, 4:2 승)2.6. 6라운드 vs 우니온 베를린 (원정, 2:1 패)2.7. 7라운드 vs 장크트파울리 (홈, 2:1 승)2.8. 8라운드 vs 아우크스부르크 (원정, 2:1 패)2.9. 9라운드 vs 라이프치히 (홈, 2:1 승)2.10. 10라운드 vs 마인츠 (원정, 3:1 패)2.11. 11라운드 vs 프라이부르크 (홈, 4:0 승)2.12. 12라운드 vs 바이에른 뮌헨 (홈, 1:1 무)2.13. 13라운드 vs 묀헨글라트바흐 (원정, 1:1 무)2.14. 14라운드 vs TSG 호펜하임 (홈, 1:1 무)2.15. 15라운드 vs 볼프스부르크 (원정, 1:3 승)2.16. 16라운드 vs 레버쿠젠 (홈, 2:3 패)2.17. 17라운드 vs 킬 (원정, 4:2 패)
3. 후반기3.1. 18라운드 vs 프랑크푸르트 (원정, 2:0 패)3.2. 19라운드 vs 베르더 브레멘 (홈, 2:2 무)3.3. 20라운드 vs 하이덴하임 (원정, 1:2 승 )3.4. 21라운드 vs 슈투트가르트 (홈, : )3.5. 22라운드 vs 보훔 (원정, : )3.6. 23라운드 vs 우니온 베를린 (홈, : )3.7. 24라운드 vs 장크트파울리 (원정, : )3.8. 25라운드 vs 아우크스부르크 (홈, : )3.9. 26라운드 vs 라이프치히 (원정, : )3.10. 27라운드 vs 마인츠 (홈, : )3.11. 28라운드 vs 프라이부르크 (원정, : )3.12. 28라운드 vs 바이에른 뮌헨 (원정, : )
[clearfix]
1. 개요
상위 문서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2024-25 시즌 문서의 방대함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분리되었다.이번 시즌은 통산 62번째 시즌인 분데스리가에서 58번째 BVB가 참가하는 시즌으로 BVB는 2023/24 시즌까지 57시즌 통산 1934경기에서 887승 481무 566패(3527득점, 2712실점)를 기록하고 있으며 통산 승률 45.86%를 기록하고 있다.
경기의 표기 방식은 대한민국의 현지 시각 기준인 (UTC +9)(Universal Time Coordinated, 협정 세계시)로 일괄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3]
2. 전반기
2.1. 1라운드 vs 프랑크푸르트 (홈, 2:0 승)
2024-25 분데스리가 1라운드 2024. 08. 25.(일) 01:3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펠릭스 츠바이어 | ||
관중: 81,365명 | ||
| 2 : 0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
72' 제이미 기튼스 (A. 파스칼 그로스) 90+3' 제이미 기튼스 (A. 라미 벤세바이니) | - | |
Man of the Match: 제이미 기튼스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3-4-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LW 율리안 브란트 85' 라미 벤세바이니 85' | ST 카림 아데예미 59' 제이미 기튼스 72', 90+3' 59' | RW 마르셀 자비처 59' 펠릭스 은메차 59' | ||||||||||||
LM 도니얼 말런 59' 막시밀리안 바이어 59' | LCM 파스칼 그로스 | RCM 엠레 잔 81' 조반니 레이나 81' | RM 율리안 뤼에르손 |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CB 니클라스 쥘레 | RCB 발데마르 안톤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얀 코투, 라미 벤세바이니 | ||||||||||||||
MF | 조반니 레이나, 펠릭스 은메차 | ||||||||||||||
FW | 세바스티앵 알레, 막시밀리안 바이어, 쥘리앵 뒤랑빌, 제이미 기튼스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0 | ||
71% | 점유율 | 29% | |||
20 | 슈팅 | 7 | |||
5 | 유효슈팅 | 2 | |||
709 | 패스 횟수 | 295 | |||
91% | 패스 성공률 | 82% | |||
6 | 파울 | 3 | |||
1/0 | 경고/퇴장 | 0/0 | |||
0 | 오프사이드 | 1 |
- 경기 전 예상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는 지난 시즌부터 파리 생제르맹 FC와 여러 선수가 얽힌 복잡한 거래를 하고 있는 바 랑달 콜로 무아니의 파리 이적에 따른 보상의 성격으로 지난 시즌부터 임대 영입하였던 위고 에키티케를 €16.5M에 완전 영입하였으며 로빈 코흐, 투타와 함께 3백을 구성한 윌리안 파초를 다시 파리 생제르맹에 €40m+@ 이라는 거액에 완전 이적시켰다. 아무래도 파리 생제르맹과의 관계가 좋은 모양.
또한 뉘른베르크에서는 독일의 유망주 잔 우준을 €11m + @에 영입하며 공격력을 강화하였다. 잔 우준은 지난 시즌 2.분데스리가에서 20경기 출전 16G-2A의 공격 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이밖에 리즈 유나이티드 FC에서 임대 온 상태에서 팀의 중심을 잡아준 로빈 코흐를 완전 영입하였으며 라스무스 크리스텐센을 옵션있는 거래로 임대 영입하였다. 역시 거래 상대방은 리즈.아직 누리 샤힌의 전술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프리 시즌 세레소 오사카전부터 부분 3백을 가동하였으며 아스톤 빌라전에는 시작부터 3백을 가동하였기에 샤힌 감독은 3백을 실전에 염두에 두고 있는 모양.
중원에는 파스칼 그로스와 엠레 잔이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자비처와 브란트의 역할분담이 이번 시즌 초반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그로스 역시 브라이튼에서는 핵심이었지만 노쇠화가 염려되며 엠레 잔 역시 강한 압박에 빌드 업 보다는 정교한 중거리 패스 위주로 경기를 풀아가는 유형이 되었기 때문.
공격력이 준수한 얀 코투의 영입의 나비 효과로 뤼에르손의 쓰임새 또한 고민해야 할 문제가 되었다. 톰 로테의 이적으로 전문 레프트백 자원이 사실상 벤세바이니 한 명 뿐이기에 레프트 백으로의 이동도 점쳐지는 팀의 사정.
마르코 로이스와 마츠 후멜스의 이탈로 선수단의 중심이 되며 부주장에 임명되며 사실상 새로운 BVB의 상징이 되어가고 있는 율리안 브란트가 어떠한 모습을 보여줄 지 기대되는 경기이기도 하다.
- 경기 결과
코벨을 시작으로 슐로터베크-쥘레-안톤이 3백을 이루었고 미드필더는 말런-엠레 잔-그로스-뤼에르손이 선발로 나섰다. 공격은 오랜만에 원톱에 나선 아데예미를 중심으로 두고 브란트와 자비처가 나섰다. 말런이 윙백 보다는 공격진에 가까우므로 비대칭형 포메이션.(3-4-2-1)
지난 시즌 6위를 기록하며 유로파 리그로 밀려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는 4-2-3-1로 나섰다.
캡틴 트랍을 시작으로 테아테-투타-코흐-크리스텐센이 4백으로 나섰으며 3선에는 라르손과 스키리가 위치했다. 2선에는 샤이비-괴체-마르무시의 조합. 원톱에는 에키티케가 이적 후 곧바로 경기에 나섰다. 크리스텐센은 리즈 유나이티드 소속으로 이번 시즌 임대영입한 자원으로 일정조건 충족 시 완전이적이 발동되는 조건으로 알려졌다.
경기 초반 10분까지의 흐름은 단연 SGE의 공세. 전반 5분이 지날 무렵에는 마르무시의 스루 패스를 받은 에키티케의 드리블을 막아서며 코너킥을 허용하였다. 다행히 라르손의 헤더는 높이 떳다.
전반 10분에는 브란트의 패스를 받은 말런의 돌파가 나왔으나 스키리와 코흐의 협력 수비에 막혀 슈팅으로 가져가지 못하였다.
전반 초반의 40%:60%의 점유율로 밀렸던 경기의 양상은 전반 중반이 되어갈 무렵 대등해졌다.
전반 27분에는 마르무시의 코너킥을 달려들던 에키티케가 헤더로 높이 띄우고 라르손이 슈팅하였으나 골문 위로 벗어났다.
BVB는 곧장 반격에 나서 그로스의 패스를 받은 말런의 크로스를 뤼에르손이 가슴으로 트래핑하고 아데예미가 자비처에게 백힐로 연결하였으나 오프사이드가 의심되던 자비처의 이상한 슈팅으로 끝나버렸다.(전반 29`)
전반 40분에는 슐로터베크를 시작으로 그로스와 2:1패스를 주고받은 브란트가 중거리 터닝 슈팅을 날렸지만 트랍이 여유있게 막아냈다. 전반전은 그렇게 양 팀의 빈약한 공격력 덕에 무득점으로 종료.
후반에도 공세를 유지하던 BVB였지만 빌드업 과정에서의 잦은 패스 미스로 결정적 기회를 얻어내지 못하였다.
브란트는 이번 경기에서 잦은 패스 미스를 벌이며 역습을 허용하였다. 후반 7분에 나온 SGE의 역습 역시 브란트 엠레 잔을 향한 패스 미스로 부터 시작되었다. 스키리에게 탈취당하고 괴체의 짧은 패스로 순식간에 3선이 와해되었던 BVB였으나 마르무시의 돌파를 안톤이 끝까지 따라가며 터치 아웃시키며 위기를 넘겼다.
후반 15분이 지날 무렵에는 답답했던 경기의 흐름을 타파하고자 아데예미와 말런을 모두 빼고 바이노 기튼스와 바이어를 투입하였다. 이에 맞서 SGE 역시 은쿤쿠와 마타노비치를 테아테와 마르무시 대신 투입하였다.(후반 23`) 마타노비치는 지난 시즌 카를스루어 SC로 임대를 다녀온 스트라이커 자원.
후반 25분에는 교체 투입되었던 은쿤쿠가 스키리와 2:1패스를 통해 뤼에르손을 제쳐내고 쇄도하던 샤이비에게 연결하였다. 다행히 낮게 깔리는 크로스에 샤이비가 타점을 맞추지 못하면서 큰 위기를 넘겼다.
위기를 넘긴 BVB는 리그 첫 득점을 만들어냈다. 후반 26분, 슐로터베크를 시작으로 그로스를 거친 공이 바이노 기튼스에게 연결되었는데 이를 직접 돌파에 이은 슈팅으로 마무리 지은 것. 카르스텐센을 페인팅하였던 바이노 기튼스의 움직임과 슈팅이 빛났던 순간이었다.
첫 득점에 성공한 BVB였지만 경기의 양상은 대등하게 흘러갔다. SGE는 잔 우준과 크나우프를 샤이비와 에키티케 대신 투입하여 공격진 전체를 교체하며 승부수를 가져갔다. BVB는 엠레 잔과 자비처를 빼고 레이나와 은메차를 투입.
이후 브란트까지 빼고 벤세바이니를 투입하며 다시 4백으로 변형한 BVB는 SGE의 공세를 막아서며 무득점으로 경기를 끝냈다.
후반 46분이 지날 무렵에는 크나우프를 저지하는 과정에서 벤세바이니가 터프한 태클로 이를 막아내고 바이노 기튼스에게 직접 연결하였다. 바이노 기튼스를 이를 받아 장거리 드리블에 이은 슈팅으로 자신의 멀티 득점에 성공하였다. 후방에 남겨진 투타가 바이노 기튼스와 바이어를 모두 막아내야 했기에 나왔던 손쉬웠던 득점이었다.
한편, 벤세바이니의 태클 과정이 조금 과격했기에 반칙 지적 및 소급 적용으로 득점 취소가 염려되었으나 다행히 벤세바이니의 태클 과정에서 반칙은 지적되지 않았으며 바이노 기튼스의 득점이 인정되었다.
결국 쉽지 않았던 프랑크푸르트를 맞아 바이노 기튼스의 개인 기량에 의존하여 승리를 얻어가는 모양새가 되었다. 그로스와 엠레 잔 간의 역할 분담과 브란트의 연계력 보완이라는 문제점을 남긴 경기.
2.2. 2라운드 vs 브레멘 (원정, 0:0 무)
2024-25 분데스리가 2라운드 2024. 08. 31.(토) 22:30(UTC+9) | |||
경기장: 베저슈타디온 (브레멘) | |||
주심: 로베르트 하르트만 | |||
관중: 42,100명 | |||
0 : 0 | |||
SV 베르더 브레멘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 | - | ||
- | 73' 니코 슐로터베크 | ||
Man of the Match: 니클라스 슈타르크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3-4-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LW 율리안 브란트 77' 펠릭스 은메차 77' | ST 막시밀리안 바이어 71' 도니얼 말런 71' | RW 마르셀 자비처 | ||||||||||||
LM 제이미 기튼스 57' 카림 아데예미 57' | LCM 파스칼 그로스 | RCM 엠레 잔 | RM 율리안 뤼에르손 |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CB 니클라스 쥘레 57' 라미 벤세바이니 57' | RCB 발데마르 안톤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마르셀 로트카 | ||||||||||||
DF | 라미 벤세바이니, 필리포 칼릭스 마네 | ||||||||||||||
MF | 조반니 레이나, 펠릭스 은메차 | ||||||||||||||
FW | 쥘리앵 뒤랑빌, 도니얼 말런, 카림 아데예미 | }}} | }}}}}}}}} |
SV 베르더 브레멘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0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0 | ||
46% | 점유율 | 54% | |||
5 | 슈팅 | 9 | |||
1 | 유효슈팅 | 4 | |||
443 | 패스 횟수 | 523 | |||
82% | 패스 성공률 | 87% | |||
11 | 파울 | 16 | |||
2/0 | 경고/퇴장 | 5/1 | |||
8 | 오프사이드 | 3 |
- 경기 전 예상
승격한 장크트파울리는 물론 홀슈타인 킬까지 모두 독일 북부의 팀이기에 다른 시즌과 달리 이번 시즌에는 여러 번 독일 북부로 다녀와야 할 예정.
베르더 브레멘은 202cm 라는 신장으로 유명한 스켈리 알베로를 리옹에서 영입하였으며 샬케에서는 스트라이커 자원으로 케케 토프를 영입하였다. 그러나 지난 시즌 하이덴하임으로 임대를 보내 상승세를 이끈 주역인 에렌 딩치는 지키지 못하였다. SC 프라이부르크가 바이아웃을 지불하며 영입하였기 때문.
한편 오랫동안 골문을 지켜왔던 이르지 파블렌카가 팀을 떠남에 따라 백업 골리로 마르쿠스 콜케를 로스토크에서 영입하였다. 지난 시즌부터 주전으로 도약한 미하엘 체터러와 번갈아 투입될 예정.
첫 경기에서 부실한 빌드업 과정과 이에 따른 턴오버가 느린 스피드와 맞물려 많은 역습을 허용하였던 BVB가 어떠한 해결책을 보일지 걱정이되는 경기.
부주장에 임명되며 팀의 중심을 잡아주어야 했으나 SGE전 잦은 패스 미스를 보인 브란트가 자비처와 공존할 수 있을지 역시 걱정이되는 경기.
- 경기 결과
유럽 현지 시각 8월 31일 펼쳐진 매치 클럽이 기존 3개국 3개 클럽에서 7개국 & 8팀과 대결을 해야하는 긴 일정이 기다리고 있으며 9월 19일(이하 한국 시간)과 10월 2일에 리그 페이즈 초반 경기가 예정되어 있는 만큼 경기력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는 상태.
외즈잔을 VfL 볼프스부르크로, 알레를 스페인의 CD 레가네스로 임대로 보낸 BVB는 무코코까지 OGC 니스로 임대를 보낸 상황. 주전 자원이 아닌 자원의 경기력 향상이 목적이라지만 자칫 선수 가용의 폭이 좁아져 부상에 따른 대체 선수의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아쉬운 대목.
BVB는 4-2-3-1로 나섰다. 코벨을 시작으로 슐로터베브-쥘레-안톤-뤼에르손이 4백으로 나섰으며 엠레 잔과 그로스가 3선에 위치했다. 2선에는 브란트는 중앙에 두고 바이노 기튼스와 자비처가 출전. 원톱에는 바이어가 첫 선발에 이름을 올렸다. SGE전 승리의 주역인 바이노 기튼스가 선발로 나섰으며 슐로터베크가 LB로 이동한 것이 차이점.
BVB의 리그 첫 원정 상대는 1981년부터 1999년까지 오랫동안 베르더의 스포츠 디렉터(단장)를 역임하였던 Wilfried 'willy' lemke #의 사망으로 추모 분위기 속에 경기에 나선 SV 베르더 브레멘(이하 SVW) ##
SV 베르더 브레멘은 3-5-2을 내세웠다. 골키퍼는 파블렌카를 밀어내고 지난 시즌부터 주전 골리로 올라선 체터러가 나섰으며 융-프리들-슈타르크(스타크)가 3백을 이루었다. 미드필더는 아구(LWB)-스타케-리넨-바이저(RWB)가 선발로 출전하였으며 2선에는 은진마와 슈미트가 나섰다. 원톱은 두크슈.
비텐쿠르와 드망이 컨디션 난조와 부상으로 선발에서 제외된 SVW는 수비시 4-2-3-1로 변형하여 바이어를 고립시키고 바이저와 아구를 카운터인 바이노 기튼스와 브란트에 맨마킹 시켜 위험을 차단하고 공격시에는 3-4-3을 기본으로 슈미트와 리넨을 중점으로 빠른 역습 위주의 전략을 채택하였다. 두크슈 역시 후방 깊이 내려와서 수비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는 모습.
BVB는 전반 10분만에 뤼에르손의 크로스가 읽히면서 공을 탈취당하고 이어진 두크슈의 트래핑에 이은 바이저의 돌파에 이은 은진마의 슈팅으로 위험한 상황에 놓였다. 뤼에르손이 따라가며 견제하였던 은진마의 슈팅을 코벨이 쳐냈으며 스타케의 리바운드는 왼쪽으로 벗어났다.
전반 중반까지는 경기력과 점유율에서 앞서 나갔으나 BVB는 엠레 잔과 그로스는 전진 패스 능력이 크게 약화된 모습으로 공격의 활로를 찾지 못하였다. 그로스는 SVW의 압박에 롱패스와 백패스가 남발되는 형태로 경기했으며 엠레 잔은 전진 패스 자체가 힘든 상황.
또한 공의 소유권를 잃었으며 느린 판단으로 빠른 공세에 연결고리의 역할을 하지 못하였기에 차라리 3선에 브란트가 그로스와 바꾸어 역할을 해주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모습.
전반 33분에는 쥘레의 견제를 받은 리넨의 공을 뤼에르손이 탈취하며 그로스에게 연결하였다. 이후 하프라인 부근에 있던 그로스가 크로스하고 이전 상황에서 복귀하지 못하던 안톤이 융의 견제를 이겨내고 페널티 박스 안 슈팅까지 이어갔지만 공은 빗나가고 말았다.
참고값에 불과하다지만 Xg의 값은 BVB 0.27G, SVW 0.09G에 불과했던 전반은 무득점으로 종료.
전반전 BVB의 부실한 빌드업을 간파한 SVW 올레 베르너 감독은 후반전 시작과 동시에 파훼에 나섰다.
선수 교체는 없었기에 전반전과 같은 라인업으로 나선 SVW였지만 이번 시즌에는 중앙으로 포지션을 옮긴 리넨을 비롯 스타케와 바이저까지 엠레 잔과 그로소에 대한 마크에 나서면서 BVB는 공격을 펼치는데 어려움을 겪어야했다.
후반 3분, 뤼에르손의 늦어진 복귀로 아구에게 태클을 가하면서 경고를 받았다. 전반에 이미 안톤과 쥘레가 받았던 경고를 뤼에르손까지 받으면서 BVB 수비진의 본격적인 카드 잔치가 펼쳐졌다.
이후 뤼에르손은 주력이 빠른 아구의 돌파에 의해 여러 번 돌파를 허용하며 오른쪽 라인이 무너졌으며 이후 은진마와 두크슈에게 슈팅을 허용하였다. 경고와 함께 주어진 프리킥에 이은 상황은 안톤이 블럭하였다지만 무척 위험했던 상황.
후반 7분에는 브란트를 향한 슐로터베크의 패스가 끊기면서 슐로터베크가 무리한 동작으로 바이저에게 태클을 가하면서 경고를 받았다. 결국 선발로 나선 4백이 전부 경고를 받고 말았다.
후반 초반에 나온 SVW의 공세에 샤힌 감독은 일치감치 교체를 단행하였다. 이미 경고를 받았던 쥘레 및 바이노 기튼스를 빼고 벤세바이니와 아데예미을 투입하였다.(후반 12`)
아데예미는 교체 투입 후 곧바로 융과 스타케의 태클을 피하며 드리블에 이은 중거리 슈팅을 날렸다. 그러나 체터러가 어렵지 않게 펀칭하며 마무리.
후반 17분에는 그로스의 프리킥을 슡로터베크가 몸을 날리며 헤더로 바운딩하였으나 밀집도 높았던 관계로 득점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융이 클리어링하며 마무리.
후반 28분에는 아데예미가 드리블 과정에서 탈취 당하고 역습에 나선 SVW에게 스루패스를 허용하며 위험을 자초하였다. 반대편에서 커버에 나선 슐로터베크가 무리한 반칙을 하며 다시 경고를 받고 퇴장당하였다.
앞서 말런을 바이어 대신 투입하였던 BVB였으나 슐로터베크의 퇴장으로 수적 열세에 놓이면서 무척 위태로운 경기가 펼쳐졌다. 결국 은메차까지 브란트 대신 투입.
이후 벤세바이니는 후반 40분 경고를 받으며 선발 4명은 물론 교체 투입되었던 자원까지 경고를 받는 촌극이 펼쳐졌다.
BVB는 후반 48분이 지난 시점 아데예미의 드리블과 그로스의 패스를 받은 말런의 슈팅이 나왔으나 각도가 좁았던 관계로 체터러의 선방에 막히면서 득점에 실패하였다. 경기는 수적 우세를 살리지 못한 SVW의 공격력에 더해 롱패스 위주로 공격한 BVB의 세밀하지 못한 공격력으로 양 팀 모두 무득점으로 종료.
엠레 잔과 그로스의 느린 기동력에 더해 높은 자비처의 위치 선정과 빌드업 과정에서의 불안한 모습을 펼친 경기였다.
롱패스 또는 개개인의 돌파력에 의존하는 단조로운 패턴만이 공격 옵션이 되어버린 상황에서 BVB는 국가대표 A 매치 주간 이후 리그 3라운드 1. FC 하이덴하임(H) -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1. 클뤼프 브뤼허 KV전(A) - 리그 4라운드 VfB 슈투트가르트전(A)을 이어 나간다.
2.3. 3라운드 vs 하이덴하임 (홈, 4:2 승)
2024-25 분데스리가 3라운드 2024. 09. 14.(토) 03:3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로베르트 슈뢰더 | ||
관중: 81,365명 | ||
| 4 : 2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 FC 하이덴하임 | |
12' 도니얼 말런 (A. 카림 아데예미) 17' 카림 아데예미 (A. 율리안 브란트) 41' 카림 아데예미 (A. 율리안 뤼에르손) 90+3' 엠레 잔 (PK) | 39' 마르빈 피링거 (A. 오마르 트라오레) 74' 막시밀리안 브로이니히 (PK)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카림 아데예미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ST 세루 기라시 72' 막시밀리안 바이어 72'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M 카림 아데예미 17', 41' 79' 제이미 기튼스 79' | CAM 율리안 브란트 79' 엠레 잔 90+3' 79' | RM 도니얼 말런 12' 59' 마르셀 자비처 59' | }}} | |||||||||||
LDM 파스칼 그로스 | RDM 펠릭스 은메차 | ||||||||||||||
LB 라미 벤세바이니 72' 얀 코투 72' | LCB 니클라스 쥘레 | RCB 발데마르 안톤 | RB 율리안 뤼에르손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얀 코투, 알무게라 카바르 | ||||||||||||||
MF | 마르셀 자비처, 엠레 잔, 키엘 베티엔 | ||||||||||||||
FW | 막시밀리안 바이어, 쥘리앵 뒤랑빌, 제이미 기튼스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 FC 하이덴하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2 | ||
62% | 점유율 | 38% | |||
13 | 슈팅 | 11 | |||
6 | 유효슈팅 | 4 | |||
561 | 패스 횟수 | 342 | |||
85% | 패스 성공률 | 78% | |||
12 | 파울 | 18 | |||
2/0 | 경고/퇴장 | 2/0 | |||
0 | 오프사이드 | 1 |
- 경기 전 예상
유럽 대부분의 국가가 네이션스리그 2경기를 치렀기에 각국의 국가대표로 출전한 선수의 피로도에 따라 라인업에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BVB는 기라시와 코투가 부상에서 복귀하여 데뷔전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며 2군에서 알게무라 카바르(Almugera Kabar)가 다시 콜업&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2006년생의 젊은 레프트백 자원이며 이미 바르샤와 링크가 있었던 선수였기에 일단은 BVB가 선수 등록을 포함한 일련의 수단을 강구한 것으로 보인다.
팀의 주포 클라인딘스트가 BMG로 이적하였으며 얀니클라스 베스테 역시 포르투갈로 무대를 옮긴 하이덴하임은 지난 시즌 중원의 핵심이었던 세사 역시 자유계약으로 BSC로 이적하며 전력 손실을 겪었다.
리그 8위의 성적으로 컨퍼런스 리그 진출권까지 얻어낸 하이덴하임이었지만 2부 리그의 헤르타에게 팀의 중요 선수를 잃은 팀의 사정.
해당 선수의 공백은 아우크스부르크에서 도르슈,우니온에서 카우프만를 영입하고 FCB에서 바너를 임대하며 메우려 한다지만 쉽지 않아 보이는 것이 사실.
한편, SSV 울름 1846 소속으로 팀의 3.리가 우승을 이끌었던 레오 시엔자는 이번 시즌 분데스리가로의 입성에 성공하였다.
BVB는 2라운드 SV 베르더 브레멘전에서 쓸데없는 반칙으로 경고누적 퇴장을 당한 니코 슐로터베크가 A매치 2경기 모두 출전하였기에 체력 안배의 문제로도 이번 경기 출전은 어렵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1경기 출전 금지.
따라서 이번 징계로 인해 수비진 구성에 큰 변화가 예정되었다. 슐로터베크가 못나오기 때문에 개막 후 계속 사용한 3백 전술을 포기하고 4백으로 이번 경기를 맞이하는 것이 불가피해졌다. 얀 코투의 영입으로 경쟁이 불가피해졌기에 라이트백으로 누가 나설지도 관전 포인트.
한편 VfB 슈투트가르트에서 맹활약을 펼치며 BVB가 영입한 세루 기라시는 이번 라운드에서 데뷔전을 치를 것이 유력하다.
- 경기 결과
코벨을 시작으로 벤세바이니-쥘레-안톤-뤼에르손이 4백을 이루었다. 나란히 독일 대표팀에 선발되었던 그로스(LCM)는 선발로 나섰으나 엠레 잔은 벤치 대기. 은메차(RCM)가 이번 경기에 선발로 나서 그로스와 짝을 이루었다. 2선은 브란트를 가운데로 두고 아데예미와 말런이 나섰다.
지난 시즌 1.분데스리가 데뷔 시즌에서 8위를 기록하며 유럽대항전 진출까지 확정한 1.FC 하이덴하임(이하 FCH) 역시 4-2-3-1로 나섰다.
뭘러가 골문을 지키는 가운데 푀렌바흐-김버-마인카-트레오레가 4백을 이루었으며 3선에는 쇠프너와 말로니가 선발로 출전. 2선에는 시엔자-바너-베크가 나섰다. 원톱에는 피링거가 출전.
전반 5분, 그로스와 말런이 브란트를 이용한 2:1 패스를 통해 공간을 창출하며 말런이 중거리 슈팅을 시도하였지만 빗나갔다.
전반 10분에는 은메차와 그로스를 축으로 아데예미와 그로스가 패스를 주고받으며 페널티 박스 밖에 있던 말런에게 연결하며 첫 득점에 성공하였다. 말런은 터닝 동작에 이은 슈팅으로 득점에 성공.
흐름 탄 BVB는 두 번째 골도 터트렸다. 전반 16`, 뤼에르손이 시엔자의 전진 패스를 가로채며 드리블로 말런에게 연결하였으며 이후 브란트를 거쳐 아데예미에게 연결되었다. 페널티 박스 내에 있던 아데예미가 가볍게 득점에 성공. 말런에 이어 아데예미 역시 시즌 첫 득점이었다.
전반 중반이 지날 무렵에는 다소 소강 상태를 이루며 경기가 진행되었다. 후반 35분에는 뤼에르손의 반칙으로 내어준 프리킥 상황에서 피링거에게 헤더를 내주었으나 코벨이 어렵지않게 막아내었다.
전반 37분에는 트라오레의 돌파를 시작으로 FCH의 득점이 나왔다. 그로스의 터치 아웃으로 만든 스로인 상황에서 트라오레가 빠르게 피링거에게 공중으로 연결하였다. 쥘레와 1:1의 상황. 결국 쥘레가 피링거의 마킹에 실패하며 실점하였다.
이번 시즌 리그에서 첫 실점을 허용한 BVB는 약 3분 만에 아데예미가 달아나는 득점을 기록하였다. 뤼에르손의 오른쪽 라인 돌파에 이어 낮게 깔리는 크로스를 시도하였으며 기라시가 공을 흘려주면서 아데예미에게 연결되었으며 아데예미가 침착한 마무리로 멀티골을 달성.
그렇게 전반은 3:1로 마무리되었다. 66%:34%의 점유율을 기록.
후반은 FCH에서 먼저 선수 교체를 단행하였다. 베크를 빼고 콘테를 투입하며 시작하였으며 BVB를 강하게 압박하였다.
후반 6분에는 그로스와 브란트를 거친 공이 아데예미에게 전달되었으며 이를 말런이 받고 터닝 슈팅으로 마무리하였으나 빗나갔다.
후반 14분에는 말런 대신 자비처를 투입하였다. 자비처 역시 오스트리아 대표팀으로 지난주에 열린 대표팀 경기에 출전하였기에 체력 안배에 나선 모습.
후반 20분을 지날 무렵에는 브란트의 크로스에 이은 트라오레의 클리어링이 그로스 앞으로 가면서 기회를 얻었다. 이후 그로스가 자비처에게 연결하고 자비처의 슈팅은 골망을 갈랐으나 득점은 인정되지 않았다. 공중 트래핑 과정에서 그로스의 어깨와 팔에 맞고 연결되었기 때문.
득점이 취소되었으나 BVB는 다시 공세를 가하였다. 후반 22분에는 자비처의 크로스를 받은 기라시의 아크로바틱한 동작에 이은 슈팅이 나왔으나 체공 시간이 길었던 관계로 뭘러가 각도를 좁히며 나오며 득점에는 실패하였다.
FCH는 후반 23분, 시엔자와 바너, 피링거를 도르슈와 브로이니히 및 카우프만으로 교체하였다.
하이덴하임은 교체 투입되었던 카우프만의 오른쪽 라인 침투에 의해 기회를 얻었다. 후반 27분, 트라오레의 패스를 받고 페널티 박스 안에서 돌파하려던 카우프만을 쥘레가 넘어트렸다는 판정이 나오면서 페널티 킥을 허용.
결국 키커로 나선 브로이니히가 성공시키며 2:3의 추격을 허용하게 되었다.
이번 시즌과 같이 지난 시즌에도 초반이었던 3라운드에서 만나 앞서고 있던 상황에서 끝내 동점골을 허용하면서 무승부로 마친 전력이 있기에 BVB는 불안해졌다.
실점한 BVB는 얀 코투를 처음 투입시켰으며 바이어 역시 투입되었다.(후반 27`,벤세바이니, 기라시 out) 이후 아데예미와 브란트 역시 바이노 기튼스와 엠제 잔으로 교체되었다.
3:2로 앞서고 있었으나 불안한 리드를 이어가던 후반 45`, 코너킥을 얻은 상황에서 그로스의 코너킥이 트라오레의 손에 맞으면서 핸드볼이 선언되었다. 트라오레의 팔이 부자연스럽게 위로 올라섰기 때문. 결국 키커로 나선 엠레 잔이 마무리에 성공하며 팀의 4번째 득점을 기록하였다. 엠레 잔의 페널티 킥 득점으로 쐐기를 박은 BVB는 결국 하이덴하임에 4:2로 승리하였다.
트라오레는 오버래핑에 나서 좋은 크로스로 추격골을 어시스트하였으며 여러 차례 돌파를 성공시켰으나 핸드볼 반칙으로 끝내 팀의 패배는 막지 못하였다. 여러모로 이번 경기의 신 스틸러.
한편, 이번 시즌 리그에서 첫 선발 출전하였던 은메차는 CDM의 역할을 수행하며 팀의 중심이 되어주는 좋은 활약을 보였다. BVB로서는 적지 않은 금액에 영입한 선수이기에 앞으로 더욱 더 경기장을 누벼야 하는 자원.
한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오는 19일(목) 새벽 4시(이하 한국 시간)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1. 클뤼프 브뤼허전 원정을 떠난다. 다음은 지난 시즌 3번을 만나 모두 졌던 VfB 슈투트가르트와의 원정 경기(BUNDES-4R)이며 VfL 보훔과의 레비어 더비는 리그 5라운드.
이후 셀틱 FC를 지그날 이두나 파크로 불러들여 챔피언스 리그 리즈 페이즈 2차전(10월 2일 오전 4시)을 갖는다.
2.4. 4라운드 vs 슈투트가르트 (원정, 5:1 패)
2024-25 분데스리가 4라운드 2024. 09. 23.(월) 00:30(UTC+9) | |||
경기장: MHP아레나 (슈투트가르트) | |||
주심: 플로리안 바트슈튀브너 | |||
관중: 60,000명 | |||
5 : 1 | |||
VfB 슈투트가르트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4' 데니스 운다브 (A. 막시밀리안 미텔슈테트) 21' 에르메딘 데미로비치 (A. 막시밀리안 미텔슈테트) 62' 엔조 미요 (A. 아타칸 카라초어) 80' 엘 빌랄 투레 (A. 엔조 미요) 90' 데니스 운다브 (A. 엔조 미요) | 75' 세루 기라시 (A. 제이미 기튼스)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엔조 미요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3-4-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LW 율리안 브란트 72' 엠레 잔 72' | ST 세루 기라시 75' | RW 마르셀 자비처 | ||||||||||||
LM 카림 아데예미 46' 라미 벤세바이니 46' | LCM 파스칼 그로스 63' 도니얼 말런 63' | RCM 펠릭스 은메차 30' 제이미 기튼스 30' | RM 율리안 뤼에르손 46' 얀 코투 46' |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CB 니클라스 쥘레 | RCB 발데마르 안톤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마르셀 로트카 | ||||||||||||
DF | 얀 코투, 라미 벤세바이니 | ||||||||||||||
MF | 엠레 잔, 키엘 베티엔 | ||||||||||||||
FW | 막시밀리안 바이어, 쥘리앵 뒤랑빌, 도니얼 말런, 제이미 기튼스 | }}} | }}}}}}}}} |
VfB 슈투트가르트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1 | ||
54% | 점유율 | 46% | |||
16 | 슈팅 | 7 | |||
9 | 유효슈팅 | 3 | |||
491 | 패스 횟수 | 460 | |||
87% | 패스 성공률 | 86% | |||
10 | 파울 | 6 | |||
1/0 | 경고/퇴장 | 3/0 | |||
3 | 오프사이드 | 2 |
캐스터 | 해설 |
박봉서 | 김환 |
- 경기 전 예상
지난 시즌 승점 73점으로 리그 2위의 성적으로 2009/10 시즌 이후 15시즌만에 챔피언스 리그에 재진출한 슈투트가르트는 기라시와 안톤을 BVB에, 이토를 BAY에 내주었으며 실라스(음붐파)와 정우영을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와 1.FC 우니온 베를린에 각각 임대보내며 전력 약화가 우려되었다.
그러나 기라시의 대체 자원으로 분데스리가에서 검증을 마친 데미로비치를 FC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영입하며 공백을 최소화하였으며 브라이튼 & 호브 엘비언과 복잡한 거래를 통해 운다브를 완전 영입하였다. 추정 이적료는 €26m + @의 상당한 금액.
수비진에 대한 보강으로는 안톤과 이토의 대체 자원으로 벨기에 국적의 센터백 알다킬을 번리에서 영입하였으며 2.분데스리가로 강등된 1.FC 쾰른에서는 샤보를 영입하며 보강을 마친 상태. 또한 골리 뉘벨을 BAY에서 임대 연장하며 수비진의 안정도 가져온 모습이다.
한편 운다브의 백업 자원으로는 아탈란타 BC에서는 투레를 영입하며 공격진에 대한 착실한 보강도 성공한 모습.
기존의 3선 자원인 미텔슈테트와 슈틸러, 카라초어가 건재하며 퓌리히와 미요 및 르웰링까지 2선에 유지된 슈투트가르트는 이번 시즌에도 좋은 경기력을 보일것으로 예상된다.
은메차와 그로스의 기용 및 자비처의 활용 방안에 대한 문제를 안고 있는 BVB가 지난 시즌 세 차례의 맞대결에서 모두 패하며 승리를 내준 슈투트가르트를 상대로 어떠한 경기력을 보일지 걱정이 되는 경기.
- 경기 결과
코벨을 시작으로 슐로터베크-쥘레-안톤-뤼에르손으로 이루어진 4백이 나섰고 3선에는 그로으와 은메차가 나섰다. 2선은 아데예미-브란트-자비처의 조합. 원톱에는 기라시가 나섰다.
지난 시즌 리그 2위에 올라서며 2009/10 시즌 이후 15시즌만에 챔피언스 리그 진출을 이루어낸 VfB 슈투트가르트(이하 VFB)는 4-4-2로 나섰다.
골리 뉘벨을 시작으로 미텔슈타트-샤보트-루오-파그노만이 4백으로 나섰으며 미드필더는 르웰링-슈틸러-카라초어-미요가 선발로 출전하였다. 공격은 데미로비치와 운다브로 이루어진 2톱.
전반 3분, 미텔슈타트의 전진 패스가 뤼에르손으로 향하는 사이 운다브의 침투에 이은 슈팅으로 실점하고 말았다. 뤼에르손이 잔디에 미끄러지며 중심을 잃었으며 이를 놓치지 않는 운다브의 집중력이 높았던 장면.
흐름을 탄 VFB는 곧바로 팀의 두 번째 골을 뽑아냈다. 전반 20분 르웰링과 2:1패스를 받은 미텔슈타트의 크로스에 이은 데미로비치의 한 박자 빠른 헤더로 코벨을 역동작으로 몰아넣으며 두 번째 득점을 만들었다.
슈틸러와 카라초어 및 미요가 버티는 VFB의 중원에 BVB는 현격한 열세를 드러내며 전반 30`, 누리 샤힌은 은메차를 빼고 바이노 기튼스를 투입하는 사실상 전술적 패배를 시인하였다. 이에 BVB의 포메이션은 4-5-1로 변경되었다.
이후 BVB는 LB으로 출전하였던 슐로터베크의 카운터였던 미요에 대한 견제와 은메차의 사실상 공격력을 포기한 포지셔닝으로 공격력에 대한 동력을 잃어버렸다. 자비처의 지나치게 높은 위치 및 패싱력은 준수하다지만 탈압박에 대한 대처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그로스의 역할로 미드필더에서 제공권을 상실했던 전반전의 흐름. 다행인지 추가 실점은 하지 않은 채 전반을 마쳤다.
후반, 누리 샤힌 감독은 아데예미를 빼고 벤세바이니를 투입하는 결정을 내렸다. 0:2로 뒤처진 상황에서 공격진을 빼고 수비진를 추가하는 결정은 현시점의 BVB가 갖는 현주소를 알려주었다.
후반 7분, 코너킥을 허용한 상황에서 미텔슈타트의 크로스에 이은 카라초어의 헤더 패스 그리고 미요의 마무리로 세 번째 득점을 만들며 경기는 사실상 VFB의 승리로 넘어갔다.
BVB는 이미 공격력의 동력을 상실한 상황인 후반 30분, 바이노 기튼스의 패스를 받은 기라시가 교체 투입되었던 자가두의 견제를 이겨내고 추격골을 터트렸다.
그러나 이미 경기의 판도는 VFB에게 기운 후 였으며 미요의 패스를 받은 투레에게 실점(후반 34`)하더니 다시 미요의 어시스트를 받은 운다브의 멀티 실점(후반 44`)하며 1:5의 대패를 기록하였다.
프리 시즌 부터 불안감을 야기하였던 3백으로의 전향으로의 전향 및 누리 샤힌 감독의 주된 빌드업인 이른바 3-2 빌드업에 대한 상대 팀의 대처와 이에 대한 타개, 자비처와 그로스 및 은메차의 위치 선정과 레프트백으로 이동되었던 슐로터베크의 빌드업 문제까지 팀의 모든 문제점이 고스란히 나타냈던 경기의 모습이였다.
지난 시즌 3패를 헌납하고 다시 슈투트가르트 원정에 나서 더욱 참혹한 패배를 당한 BVB는 이후 VfL 보훔과의 분데스리가 5R(H) - FC 셀틱과의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2차전(H) - 1.FC 우니온 베를린과의 분데스리가 6라운드(A)의 일정을 이어나간다.
2.5. 5라운드 vs 보훔 (홈, 4:2 승)
2024-25 분데스리가 5라운드 2024. 09. 28.(토) 03:3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펠릭스 브리히 | ||
관중: 81,365명 | ||
| 4 : 2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VfL 보훔 | |
44' 세루 기라시 (A. 율리안 브란트) 62' 엠레 잔 (PK) 75' 세루 기라시 (A. 카림 아데예미) 81' 펠릭스 은메차 (A. 카림 아데예미) | 16' 마투시 베로 (A. 필리프 호프만) 21' 다니 더 비트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세루 기라시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ST 세루 기라시 44', 75'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M 제이미 기튼스 66' 쥘리앵 뒤랑빌 66' | CAM 율리안 브란트 74' 막시밀리안 바이어 74' | RM 카림 아데예미 | }}} | |||||||||||
LDM 파스칼 그로스 74' 펠릭스 은메차 74' 81' | RDM 엠레 잔 62' | ||||||||||||||
LB 율리안 뤼에르손 74' 라미 벤세바이니 74' | LCB 니클라스 쥘레 | RCB 발데마르 안톤 | RB 얀 코투 82' 니클라스 쥘레 82'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라미 벤세바이니, 니클라스 쥘레 | ||||||||||||||
MF | 펠릭스 은메차, 키엘 베티엔 | ||||||||||||||
FW | 막시밀리안 바이어, 쥘리앵 뒤랑빌, 도니얼 말런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VfL 보훔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2 | ||
64% | 점유율 | 36% | |||
22 | 슈팅 | 10 | |||
7 | 유효슈팅 | 6 | |||
538 | 패스 횟수 | 272 | |||
91% | 패스 성공률 | 77% | |||
12 | 파울 | 9 | |||
2/0 | 경고/퇴장 | 0/0 | |||
3 | 오프사이드 | 3 |
캐스터 | 해설 |
김용남 | 남윤성 |
- 경기 전 예상
누리 샤힌도 개막 후 쭉 사용해오던 3백 전술이 지난 경기에서만 무려 5실점을 하는 처참한 성적을 받으면서 4백으로의 전환을 고려 중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번 라운드의 경우에는 니클라스 쥘레를 제외하고 니코 슐로터베크와 발데마르 안톤 둘만 선발 기용하는 4백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은편.
개막 이후 3연패의 부진에 빠졌으며 지난 4R 홀슈타인 킬과의 경기에서 승리를 눈앞에 두었으나 동점골을 허용하고 승점 1점에 머무르고 있는 보훔은 핵심 자원인 케빈 슈퇴거가 묀헨글라트바흐로 자유 이적하였으며 파트리크 오스터하게를 SC 프라이부르크에 내어주며 전력 약화가 예상된다. 공격 자원인 아사노 타쿠마 역시 스페인으로 자유 이적.
이에 따른 전력 공백을 타개하고자 지난 2022/23 시즌부터 임대한 상태였던 오르데츠를 완전 영입하였으며 BVB에서는 사무엘 밤바를, AZ 알크마르에서는 더 비트를 영입하며 공격력을 강화한 상태.
또한 슈퇴거의 이적과 캡틴 로시야의 노쇠화에 대한 대책으로 시소코를 RC 스트라스부르에서 영입하였으며 잉글랜드에서는 미요시를 영입하며 중원을 보강하였다. 시소코와 미요시는 기존 중원 자원인 베로 및 로시야와 함께 중원을 구성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 시즌 후반부 구단과 마찰을 일으키며 로스터에서 제외된 골리 마누엘 리만에 대한 대체 선수로는 드레베스를 다시 영입하였으며 기존의 티모 호른과 주전 경쟁을 펼칠것으로 보인다.
전술상의 고민과 기존 자원과의 조화에 대한 염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누리 샤힌의 판단과 전술이 궁금해지는 경기.
- 경기 결과
옆 동네 도르트문트로 원정 온 VfL 보훔(이하 BOC)은 4-4-2로 나섰다.
티모 호른을 제치고 선발로 나서고 있는 드레베스가 골문을 지켰고 4백은 비테크-마쇼비치-외어만-파슬라크. 미드필더로는 베로(LM)-시소코(CDM)-로시야(RM)-다슈너(AM)가 나섰다. 공격은 보아두와 호프만의 조합.
전반 7분, 브란트의 패스를 받은 그로스의 패스에 이은 뤼에르손의 슈팅이 있었으나 높이 뜨며 기회를 놓쳤다.
OC은 수비시 시소코를 4백 라인까지 내리고 베로와 로시야와 다슈너,파슬라크 및 호프만으로 이루어진 미드필더진으로 구성된 변형 4-5-1로 맞섰는데 전반 10분까지 대등한 점유율율 보이며 BVB를 압박하였다.
전반 15`, 높은 라인을 유지하던 BVB의 수비진이 비테크의 전진 패스와 이후 호프만과 베로의 2:1패스에 수비진이 와해되며 베로에게 실점을 허용하였다.
곧이어 전반 20분에는 후방 빌드업의 진행 중 슐로터베크의 높았던 백패스를 코벨이 받고 제치려는 과정에서 보아두의 압박으로 인한 실축으로 더 위트에게 다시 실점하였다. VFB전 패배의 악몽이 다시 살아나는 코벨의 결정적 실책.
0:2로 끌려간 BVB는 전반 36분 그로스의 패스를 받은 바이노 기튼스의 슈팅이 나왔으나 높이 뜨며 기회를 놓쳤다.
전반 정규 시간이 끝날 무렵에는 브란트의 크로스에 이은 기라시의 헤더가 나오면서 추격골을 터트렸다. 그렇게 전반전은 슈투트가르트전의 패배가 가시지 않는 모습을 보이며 무기력하게 1:2로 뒤처진 채 끝.
후반 3분, 호프만의 패스에 의해 보아두까지 연결되었으나 오프사이드의 위치에 있었기에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후반 9분이 지날 무렵에는 브란트의 패스를 받은 그로스의 슈팅이 있었으나 마쇼비치의 블럭에 막혔다.
후반 14분에는 바이노 기튼스의 전진 드리블이 그로스에게 연결되며 다시 기라시에게 이어졌으나 파슬라크의 태클로 저지되었다. 그러나 페널티 킥이 선언되었고 이를 엠레 잔이 성공시키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친정 팀을 맞이하여 2개의 득점에 관여하였으나 결정적 태클로 페널티 킥을 허용한 파슬라크는 이번 경기의 숨은 신 스틸러.
2:2의 동점으로 향한 후반 중반부터는 BVB가 공세를 벌였다.
후반 28분에는 먼저 교체되었던 뒤랑빌(후반 20분, 바이노 기튼스 아웃)에 이어 벤세바이니(뤼에르손 아웃), 바이어(브란트 아웃), 은메차(그로스 아웃)가 투입되었다.
교체가 진행되었던 시간 얼마 후 아데예미의 드리블 돌파에 이은 패스가 드레베스에게 돌진하던 기라시에게 연결되었고 이를 기라시가 득점에 성공하며 역전하였다.
역전에 성공한 BVB는 이후 안톤의 패스를 받은 아데예미의 패스에 이은 은메차가 외어만의 견제를 이겨내고 슈팅하며 다시 득점에 성공하였다.
결국 BOC에 4:2로 역전에 성공하였던 경기의 흐름이었지만 불안한 공격과 수비의 연결 및 섬세하지 못한 사이드 플레이에 의존해야 했던 경기의 모습이였다.
보훔에 승리한 BVB는 FC 셀틱과의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2차전(H) - 리그 6R 우니온 베를린 원정 - FC 장크트파울리와의 리그 7라운드(H)로 이어지는 이후 일정을 갖는다.
2.6. 6라운드 vs 우니온 베를린 (원정, 2:1 패)
2024-25 분데스리가 6라운드 2024. 10. 05.(토) 22:30(UTC+9) | |||
경기장: 슈타디온 안 데어 알텐 푀르스테라이 (베를린) | |||
주심: 토비아스 라이헬 | |||
관중: 22,000명 | |||
2 : 1 | |||
1. FC 우니온 베를린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26' 케빈 포크트 (PK) 45' 요르버 페르테선 (A. 디오구 레이트) | 62' 율리안 뤼에르손 (A. 율리안 브란트)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케빈 포크트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ST 세루 기라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M 제이미 기튼스 63' 도니얼 말런 63' | CAM 율리안 브란트 | RM 막시밀리안 바이어 | }}} | |||||||||||
LDM 파스칼 그로스 63' 펠릭스 은메차 63' | RDM 엠레 잔 76' 마르셀 자비처 76' | ||||||||||||||
LB 율리안 뤼에르손 62' 86' 라미 벤세바이니 86'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발데마르 안톤 | RB 얀 코투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라미 벤세바이니, 니클라스 쥘레, 알무게라 카바르 | ||||||||||||||
MF | 펠릭스 은메차, 마르셀 자비처, 키엘 베티엔 | ||||||||||||||
FW | 도니얼 말런, 콜 캠벨 | }}} | }}}}}}}}} |
1. FC 우니온 베를린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1 | ||
36% | 점유율 | 64% | |||
13 | 슈팅 | 9 | |||
5 | 유효슈팅 | 5 | |||
271 | 패스 횟수 | 602 | |||
73% | 패스 성공률 | 85% | |||
15 | 파울 | 17 | |||
4/0 | 경고/퇴장 | 4/0 | |||
4 | 오프사이드 | 0 |
캐스터 | 해설 |
김태범 | 남윤성 |
- 경기 전 예상
우니온 베를린은 클럽 기록으로 영입하였던 고젠스를 다시 이탈리아로 임대 보냈으며 VFB에 임대 보내었던 레벨링을 슈투트가르트로 완전 이적시킨 상태. 또한 라이두니가 카타르 리그로 이적하였으며 카우프만이 하이덴하임으로 이적하는 등 기존의 주축 자원이 뒤바뀌고 있는 복잡한 내부사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른 전력 약화에 대한 방비로 정우영과 톰 로테를 각각 VFB에서 임대 및 BVB에서 영입하였으며 2.분데스리가에서 준수한 활약을 보인 라슬로 베네시를 HSV에서 영입하였다. 또한 라피트 빈에서는 센터백과 DM 소화가 가능한 레오폴트 크버펠트를 영입하였으며 지난 시즌 SV 비스바덴의 공격을 이끌었던 이반 프르타인을 영입하며 공수를 강화한 상태.
한편 지난 시즌 홀슈타인 킬에 임대되어 팀의 첫 분데스리가 진출에 공헌한 톰 로테는 이번 시즌 BVB에서 중용이 예상되었으나 우니온 베를린으로 이적하여 상대로 만나게되었다.
BVB는 현재 세루 기라시가 도르트문트 적응기를 끝냈는지 불타오르는 득점력을 보여주고 있기에 그의 득점력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다.
베르더전의 부진과 슈투트가르트전 참패를 딛고 원정 경기에서 승리할 수 있을지 걱정스러운 경기.
- 경기 결과
코벨을 시작으로 뤼에르손-슐로터베크-안톤-쿠토의 4백에 그로스와 엠레 잔이 3선에 자리했다. 2선에는 바이노 기튼스-브란트-바이어의 조합. 원톱에는 기라시가 나섰다. 지난 셀틱과의 경기에서 부상당한 아데예미는 부상이 심각해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번 경기의 명단에서 제외되었으며 바이어가 선발로 나선 것이 차이점.
1.FC 우니온 베를린(이하 FCU)은 3-4-1-2로 나왔다.
뢰노우가 여전히 골문을 지켰고 레이트-보크트-두키가 3백에 섰으며 로테-케디라-켐라인-트리멀의 조합. 공격은 흘러바흐를 가운데로 두고 페르테선과 정우영이 좌우에 포진.
켐라인은 지난 시즌 후반기 STP에 임대되었다가 다시 팀에 복귀하였으며 셰퍼와 하버러, 크버펠트와 주전 경쟁을 펼치고 있는 상태.
경기 시작 후 우니온 특유의 3백과 덜한 중원 압박에 세밀한 공격과 공수 연계로 맞불을 놓았던 BVB는 로테와 페르테선으로 이루어진 우니온의 왼쪽 체인 저지에 어려움을 겪으며 전반 초반의 불안한 흐름을 이어갔다.
전반 7분에는 로테의 스로인에 이어인 공격 상황에서 케디라의 높았던 헤딩을 받은 로테에게 슈팅을 허용하였으나 코벨의 왼쪽으로 빗나갔다.
전반 22분에는 켐라인의 원터치 패스에 이어진 흘러바흐의 침투 상황에서 쿠토가 끌려가나면서 흘러바흐와 슐로터베크의 1:1 상황에서 페널티 킥을 내주었다. 진로 방해까지 이어지진 않았으나 다리를 걸었다는 판정이 내려졌기 때문.
이를 포크트가 성공시키며 우니온에 앞서나갔다.
바이어는 레이트에 기라시는 포크트와 켐라인의 협력 수비에 막히며 BVB는 맥없는 공격을 이어가다 소유권을 넘겨주는 상황을 반복하였다. 전반 33분에는 브란트의 스루 패스를 바이노 기튼스가 드리블로 이어가려 하였으나 어김없이 두키에게 막히며 턴오버를 연출하였다.
전반 종료 시간이 되어갈 무렵에는 안톤의 터치 아웃으로 내어준 코너킥 상황에서 트리멀의 코너킥을 슐로터베크가 클리어링 하려하였으나 멀리가지 못하였으며 세컨드 볼에 이은 기습적인 슈팅을 흘러바흐에게 내어주며 다시 실점하였다. 많은 인원이 모였기에 코벨의 시선도 제약받았던 상황.
후반에도 그로스의 부정확한 패스와 위치 선정, 그에 따른 엠레 잔의 늦은 커버가 나타나며 다시 주도권을 FCU에 내어주는 상황이 반복되었다. 후반 7분에는 페르테선의 패스를 받은 흘러바흐에게 슈팅을 허용하였으나 코벨이 간신히 막아내며 위기를 넘겼다.
후반 16분에는 엠레 잔의 전진패스를 바이노 기튼스가 넘어지며 받는 사이 오버래핑에 나선 뤼에르손에게 브란트가 재빨리 연결하며 기회를 얻었고 뤼에르손이 만회골을 터트리며 추격을 하였다.
곧바로 샤힌 감독은 그로스와 바이노 기튼스를 빼고 은메차와 말런을 투입.
후반 30분이 되어가는 지점에는 브란트의 엠레 잔을 향한 패스가 탈취당하며 대형 위기를 맞이하였다. 동점골을 목표로 전진하였던 높은 수비진이었기 때문. 교체 투입되었던 스타르케의 전진 패스를 흘러바흐가 받아 드리블에 이은 슈팅을 날렸으나 코벨의 옆을 지나 골라인 아웃되었다. 무척 위험했던 순간.
이후 BVB는 엠레 잔을 빼고 자비처를 투입하였으나 별다른 특징 없는 공격을 이어가며 득점에 실패하였으며 후반 51분 기라시가 얻어낸 프리킥 상황에서 브란트의 킥이 뢰노우에게 안기며 마지막 기회를 놓쳤다.
정교하지 못한 공격력에 더해 조금은 낮은 위치이나 단단하였던 우니온의 수비 대형을 파훼하지 못하며 시즌 2번째 패배를 안게되었다.
다음 경기는 A매치 주간을 건너 뛰고 1.분데스리가로의 재승격을 이루어 낸 FC 장크트파울리와의 홈 경기.
2.7. 7라운드 vs 장크트파울리 (홈, 2:1 승)
2024-25 분데스리가 7라운드 2024. 10. 19.(토) 03:3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마티아스 옐렌베크 | |||
관중: 81,365명 | |||
| 2 : 1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FC 장크트파울리 | ||
43' 라미 벤세바이니 (A. 파스칼 그로스) 83' 세루 기라시 (A. 제이미 기튼스) | 78' 에리크 스미스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라미 벤세바이니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ST 세루 기라시 83'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M 마르셀 자비처 | CAM 율리안 브란트 90+5' 키엘 베티엔 90+5' | RM 도니얼 말런 76' 막시밀리안 바이어 76' | }}} | |||||||||||
LDM 파스칼 그로스 46' 제이미 기튼스 46' | RDM 엠레 잔 69' 펠릭스 은메차 69' | ||||||||||||||
LB 라미 벤세바이니 43'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발데마르 안톤 | RB 율리안 뤼에르손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필리포 칼릭스 마네, 알무게라 카바르, 야니크 뤼르스 | ||||||||||||||
MF | 펠릭스 은메차, 키엘 베티엔 | ||||||||||||||
FW | 막시밀리안 바이어, 제이미 기튼스, 콜 캠벨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FC 장크트파울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1 | ||
73% | 점유율 | 27% | |||
21 | 슈팅 | 10 | |||
7 | 유효슈팅 | 3 | |||
765 | 패스 횟수 | 245 | |||
93% | 패스 성공률 | 76% | |||
8 | 파울 | 7 | |||
2/0 | 경고/퇴장 | 1/0 | |||
1 | 오프사이드 | 1 |
- 경기 전 예상
지난 베를린 원정 로스터에 포함되었던 쥘레는 다시 제외되었으며 지난 우니온전 90분을 소화한 얀 코투는 근육 부상으로 이번 명단에서 제외된 상황. 다행히 뤼에르손이 선수단에 합류하여 출전 명단에 큰 변화는 없는 상황.
FC 장크트파울리는 지난 시즌 2.분데스리가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2010/11 시즌 이후 14시즌만에 1.분데스리가로 복귀하였으며 팀을 이끌던 파비안 휘르첼러 감독이 잉글랜드로 이적하였으며 새롭게 알렉산더 블레신감독이 팀을 이끌고 있다.
잉글랜드와 미국으로 떠난 에릭 모레이라와 마르셀 하르텔의 대체 자원으로 RC 랑스에서 모르강 길라보기를 임대 영입하였으며 스콧 뱅크스를 크리스탈 팰리스에서 임대하였다. 두 명 모두 공격 자원.
또한 라이트백인 핀 스티븐스를 브렌트포트 FC 에서 영입하였으며 중앙 미드필더인 로베르트 바그너를 SC 프라이부르크에서 임대 영입하였다. 바그너는 기존 미드필더 자원인 캡틴 어빈과 부칼파,트로이 등과 호흡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원정 경기에서의 불안함을 뒤로 하고 상위권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승리를 거두어야 하는 경기.
- 경기 결과
코투의 부상과 뤼에르손의 부상 경과를 살펴 기존 1군 자원의 라이트백 공백이 발생할 수 있었으나 다행히 뤼에르손은 컨디션이 빠르게 회복되었는지 선발로 출전했다. 벤세바이니-슐로터베크-안톤-뤼에르손이 4백으로 나섰으며 그로스와 엠레 잔이 3선에 나섰다.
2선에는 자비처-브란트-말런이 포진하였다. 원톱은 기라시이며 골리는 코벨.(4-2-3-1)
2010/11 시즌 이후 14시즌만에 1.분데스리가로 복귀한 지난 시즌 2.분데스리가 우승팀 FC 장크트파울리(이하 STP)는 3-4-3으로 나섰다.
바실]이 골문을 지켰고 메츠-스미스-발(바흘)이 3백으로 나섰다.
미드필더는 트로이-바그너-어빈-살리아카스가 출전. 공격진은 갈라보기(LW)-에겐슈타인(CF)-아폴라얀(RW)이 나섰다.
경기 시작 후 주도권은 잡았으나 어설픈 공격을 이어가던 BVB는 전반 15분 그로스의 기라시를 향한 패스가 탈취 당하며 위기를 맞았다.
곧바로 역습에 나선 STP. 길라보기가 넘어지며 어렵게 패스한 공이 어빈에게 연계되었고 이를 넘겨받은 아폴라얀에게 슈팅을 허용하며 대형위기를 맞이하였다. 다행히 벤세바이니가 필사적으로 블럭에 나서면서 위기를 넘겼다.
전반 22분에는 메츠의 터치 아웃으로 만들어 낸 코너킥 상황에서 그로스의 코너킥을 안톤이 받아 그대로 헤더를 시도하였으나 높이 뜨며 기회를 놓쳤다. 2분 후에는 STP 트로이의 연계를 이어받아 스미스의 슈팅이 나왔으나 코벨이 어렵지 않게 잡아내며 위기를 넘겼다.
전반 28분에는 뤼에르손의 반칙으로 내어준 프리킥 상황에 이어 길라보기에게 실점하였으나 비디오 판독 결과 오프사이드가 선언되며 큰 위기를 넘겼다.
전반 38분에는 다시 얻은 코너킥 상황에서 벤세바이니의 헤더가 있었으나 바실의 왼쪽으로 빗나갔다.
무득점의 행진이 진행되던 경기에서 BVB는 전반 42분이 넘어선 시점 선제 득점에 성공하였다. 안톤으로부터 공을 넘겨받은 그로스가 크로스가 벤세바이니의 헤더로 마무리 된 것. 다소 먼 거리의 헤더였기에 득점을 예상하긴 어려웠으나 각도가 좋았던 덕에 득점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렇게 전반전은 1:0으로 STP에 리드한 채 마무리되었다.
후반, 그로스가 아웃되고 바이노 기튼스가 투입되었다. 자연스레 영향력 없는 공격력을 이어가던 자비처가 엠레 잔과 짝을 이루어 3선으로 내려왔다.
후반 12분에는 자비처의 패스를 받은 브란트가 페널티 박스 밖에서 슈팅하였으나 바실에게 막혔다. 6분 후에는 브란트의 스루 패스를 받은 기라시의 슈팅이 나왔으나 다시 바실에게 막혔다.
여전히 70%:30%의 점유율 우위를 보였던 경기의 양상이었으나 추가 득점이 없었던 BVB는 선수 교체를 진행하였다. 후반 22분 은메차가 엠레 잔 대신 투입되었다. 이에 맞서 STP는 길라보기 대신 스콧 뱅크스를 투입하였다.
후반 31분에는 전진 드리블을 시도하던 발을 브란트가 막아서며 경고를 받았다.
1분 후에는 STP의 뱅크스의 왼쪽 라인 돌파에 이은 슈팅을 벤세바이니가 블럭하였으나 뒤에서 돌진하던 스미스가 그대로 중거리 슛을 성공시키며 동점을 만들었다. 예상하기 힘들었던 빠른 슈팅이었기에 코벨이 막아내지 못하였다.
실점한 BVB는 급해졌다. 후반 37분, 후반전 교체되어 경기에 투입한 바이노 기튼스가 트로이를 제치고 크로스를 날렸고 이를 기라시가 헤더로 마무리 지으며 다시 앞서 나갔다.
결국 기라시의 헤더가 마무리 득점이 되면서 BVB는 힘들게 홈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세밀하지 못한 공격력과 엉성한 수비 조직력 및 중원에서의 영향력 없는 활동으로 일관하였기에 비판받기에 충분한 졸전.
2.8. 8라운드 vs 아우크스부르크 (원정, 2:1 패)
2024-25 분데스리가 8라운드 2024. 10. 26.(토) 22:30(UTC+9) | |||
경기장: WWK 아레나 (아우크스부르크) | |||
주심: 토비아스 벨츠 | |||
관중: 36,660명 | |||
2 : 1 | |||
FC 아우크스부르크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25' 알렉시 클로드모리스 (A. 마리우스 볼프) 45' 알렉시 클로드모리스 | 4' 도니얼 말런 (A. 세루 기라시) | ||
- | 90+9' 알무게라 카바르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알렉시 클로드모리스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ST 세루 기라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M 제이미 기튼스 | CAM 율리안 브란트 | RM 도니얼 말런 4' 89' 콜 캠벨 89' | }}} | |||||||||||
LDM 마르셀 자비처 46' 파스칼 그로스 46' | RDM 펠릭스 은메차 63' 막시밀리안 바이어 63' | ||||||||||||||
LB 라미 벤세바이니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발데마르 안톤 46' 엠레 잔 46' | RB 율리안 뤼에르손 68' 알무게라 카바르 68'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필리포 칼릭스 마네, 알무게라 카바르, 야니크 뤼르스 | ||||||||||||||
MF | 파스칼 그로스, 엠레 잔, 키엘 베티엔 | ||||||||||||||
FW | 막시밀리안 바이어, 콜 캠벨 | }}} | }}}}}}}}} |
FC 아우크스부르크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1 | ||
28% | 점유율 | 72% | |||
14 | 슈팅 | 11 | |||
4 | 유효슈팅 | 4 | |||
213 | 패스 횟수 | 721 | |||
72% | 패스 성공률 | 88% | |||
13 | 파울 | 10 | |||
3/0 | 경고/퇴장 | 1/1 | |||
1 | 오프사이드 | 1 |
캐스터 | 해설 |
이인환 | 남윤성 |
- 경기 전 예상
더군다나 며칠전 레알 마드리드 원정에서는 전반에는 2:0으로 앞서고 있음과 동시에 좋은 전술과 경기력으로 레알을 두들겨 패는 이변을 연출할 수 있었으나 후반 용병술 미스로 인해 30분만에 5골을 내주며 5:2로 대역전패를 당하는 대참사를 당해 그야말로 최악의 분위기를 가져온 상태로 떠나는 원정길이라 부담감은 매우 클 것이다.
그래도 지난 챔스 경기에서 선발로 나선 도니얼 말런이 1골 1어시를 기록하며 레알의 수비를 긴장하게 만들었고 세루 기라시 역시 꾸준하게 득점을 기록하는 등 공격진의 경기력은 상당히 좋기 때문에 공격진들의 활약에 큰 기대를 해야할 듯 싶다.
FC 아우크스부르크는 데미로비치를 VFB에 내주었으며 엥헐스를 셀틱 FC로 이적시키며 전력 약화가 우려되었으나 크리스티얀 야키치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 영입하였으며 니코의 형 케벤 슐로터베크를 SC 프라이부르크에서 영입하며 안정적 전력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
또한 주전 골리 핀 다멘의 백업으로 네딜리코 라브로비치를 크로아티아에서 영입하였으며 데미로비치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알렉시 클로드모리스와 사뮈엘 에센데를 포르투갈과 프랑스에서 영입하며 공격력을 강화한 상태. 이 둘은 티츠와 함께 주전 경쟁으 펼칠 예정. 또한 미드필더는 자유계약으로 BVB에서 마리우스 볼프, 노리치 시티 FC에서 드미트리오스 야눌리스를 각각 영입하며 보강한 상황.
지난 VfB 슈투트가르트전 및 1.FC 우니온 베를린전의 암담한 경기 내용을 뒤로하고 다시 떠나는 원정 경기.
- 경기 결과
벤세바이니-슐로터베크-안톤-뤼에르손이 4백으로 나섰으며 미드필더는 자비처와 은메차의 위에 바이노 기튼스와 브란트 및 말런이 선발로 출전하였다. 원톱은 기라시이며 골리는 코벨.(4-2-3-1)
7라운드까지 2승 1무 4패의 전적으로 15위를 기록하고 있는 홈팀 FC 아우크스부르크(이하 FCA)는 3-5-2로 나섰다.
핀 다멘의 부진으로 주전 골리로 올라선 라브로비치가 골문을 지켰고 케벤 슐로터베크(이하 케벤)-하우엘레이우-마치마가 3백으로 나섰다. 마치마는 이번 시즌 AS 모나코에서 완전 이적 옵션이 있는 임대로 독일로 건너왔다.
미드필더는 야뉼리스(LWB)-야키치(LCM)-레즈베차이-오니에카(RCM)-볼프(RWB)가 나섰다. 공격은 클로드모리스와 티츠가 선발로 출전.
BVB는 전반 4분만에 클로드모리스의 백패스를 말런이 탈취하고 브란트에게 연결하며 기회를 얻었다. 다시 브란트에게 공을 건너 받은 말런은 기라시와 2:1패스를 통해 전진드리블에 이은 슈팅으로 마무리지으며 앞서 나갔다.
전반 22분에는 브란트의 패스를 오버래핑에 나선 벤세바이니가 받아 그대로 슈팅하였으나 높이 뜨며 기회를 놓쳤다.
전반 24`, 은메차의 조금은 강했던 패스가 기라시에 맞고 굴절되더니 볼프에게 연결되었고 볼프가 클로드모리스에게 연결하며 큰 위기를 맞이하였다. 드리블에 이은 페인팅으로 안톤을 제친 클로드모리스는 지체 없이 땅볼 슈팅을 시도하였고 득점으로 마무리되었다. 거리가 다소 멀었기에 실점을 예상하긴 힘들었던 슈팅이었으나 예상과 달리 코벨이 막기 어려운 지점으로 향해가며 실점하고 말았다.
실점한 BVB는 전반 28분 슐로터베크의 패스를 받은 바이노 기튼스의 슈팅이 나왔으나 라브로비치의 왼쪽으로 빗나가고 말았다.
전반 37분에는 레즈베차이의 패스를 스틸한 슐로터베크가 자비처에게 연결하였으며 10여 미터의 짧은 드리블에 이은 중거리 슈팅을 날렸으나 라브로비치의 오른쪽으로 빗나갔다.
이어진 전반 40분에는 자비처의 패스를 받은 뤼에르손의 돌파 과정에서 지안눌리스가 경고를 받았으며 이후 프리킥을 시도하였으나 수비 블럭에 막혔다.
약 3분의 추가 시간이 주어졌던 전반전은 1:1로 종료.
후반전 시작과 동시에 자비처와 안톤이 경기에서 빠지고 그로스와 엠레 잔이 투입되었다. 지난 레알 마드리드 CF와의 경기에서도 후반전 급하게 투입된 안톤이었는데 몸 상태가 걱정스러워 보였던 교체 작업.
후반 4분, 야키치의 패스가 레즈베차이에게 연결되더니 레즈베차이의 크로스는 엠레 잔이 1차 저지하였으나 위험한 공간으로 떨어졌으며 이를 클리드모리스가 예리한 각도로 슈팅하며 다시 골망을 갈랐다. 이번 경기 유독 골 결정력이 빛났던 클로드모리스.
BVB는 후반 15분 코너킥 상황에서 공을 탈취 당하며 역습을 맞이하였다. 역전당하며 수비라인을 높였던 BVB였기에 무척 위험한 상황이었으나 벤세바이니가 티츠의 패스를 1차 저지하고 다시 리바운드에 이은 슈팅을 가져간 오니에카의 슈팅은 코벨이 막아내며 위기를 넘겼다.
후반 24분에는 은메차 대신 교체 투입된 바이어를 기점으로 말런의 크로스에 이은 카바르의 패스로 바이노 기튼스의 슈팅이 나왔으나 다시 라브로비치의 발에 막혔다.
시간은 속절없이 흘러 영향력 없는 공격을 이어가던 BVB는 후반 38분 다시 위기를 맞이하였다. 교체 투입된 에센데의 헤더 패스를 받은 카바다이가 페널티 박스 오른쪽에서 슈팅을 시도. 다행히 코벨의 오른쪽으로 빗나가며 추가 실점을 허용하지 않았다.
후반전 44분 바이노 기튼스의 패스를 받은 벤세바이니가 중거리 슈팅을 날렸으나 다시 라브로비치에게 막혔다.
결국 9분이 주어졌던 추가 시간에도 동점을 만들지 못하면서 BVB는 원정 경기에서 다시 패하는 성적을 받아들였다.
여담으로 후반 22분 부상한 뤼에르손 대신 경기에 투입되어 1군 데뷔전을 치른 알무게라 카바르는 투입 3분 후 경고를 받더니 후반 추가 시간 다시 레즈베차이의 유니폼을 붙잡으며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하였다. 안톤이 전반을 소화하고 경기에서 빠졌으며 쥘레 역시 발목 부상이 재발하였기에 수비진에 대한 염려가 더욱 커진 상황.
시즌 8라운드까지 4승 1무 3패의 전적으로 7위를 기록하고 있는 BVB는 다음 경기로 VfL 볼프스부르크와의 포칼 2라운드(A)-RB 라이프치히와의 분데스리가 9라운드(H)-UCL 리그 페이즈 4차전 SK 슈투름 그라츠(H)의 일정을 이어나간다.
2.9. 9라운드 vs 라이프치히 (홈, 2:1 승)
2024-25 분데스리가 9라운드 2024. 11. 03.(일) 02:3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토비아스 슈틸러 | ||
관중: 81,365명 | ||
| 2 : 1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RB 라이프치히 | |
30' 막시밀리안 바이어 (A. 펠릭스 은메차) 65' 세루 기라시 (A. 막시밀리안 바이어) | 27' 베냐민 셰슈코 (A. 로이스 오펜다)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막시밀리안 바이어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3-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LW 제이미 기튼스 79' 도니얼 말런 79' | ST 세루 기라시 65' | RW 막시밀리안 바이어 30' 90+4' 콜 캠벨 90+4' | ||||||||||||
LCM 율리안 브란트 | CM 펠릭스 은메차 | RCM 마르셀 자비처 67' 아이만 아즈힐 67' | |||||||||||||
LB 라미 벤세바이니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엠레 잔 | RB 파스칼 그로스 | ||||||||||||
GK 알렉산더 마이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마르셀 로트카 | ||||||||||||
DF | 필리포 칼릭스 마네, 니클라스 예센, 야니크 뤼르스 | ||||||||||||||
MF | 조르디 파울리나, 로드니 엘롱고욤보, 아이만 아즈힐 | ||||||||||||||
FW | 도니얼 말런, 콜 캠벨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RB 라이프치히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1 | ||
56% | 점유율 | 44% | |||
20 | 슈팅 | 7 | |||
7 | 유효슈팅 | 3 | |||
517 | 패스 횟수 | 406 | |||
82% | 패스 성공률 | 79% | |||
11 | 파울 | 12 | |||
3/0 | 경고/퇴장 | 4/0 | |||
2 | 오프사이드 | 2 |
캐스터 | 해설 |
박봉서 | 김환 |
- 경기 전 예상
이러한 분위기에서 RB 라이프치히라는 초강적을 홈으로 불러들인다. RB 라이프치히는 현재 6승 2무를 기록하며 FC 바이에른 뮌헨과 같은 승점에 골 득실차에 뒤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리그 8경기를 치르는 동안 단 3실점만을 기록한 수비력이 돋보이는 편.
라이프치히는 벨기에에서 누사를 오펜다와 세슈코에 이은 공격 옵션으로 영입하였으며 서브 골리로 판더보르트를 영입한 상황. 또한 센터백 자원인 헤이르트라위다를 영입하였다.
여기에 기존의 미드필더 자원인 아이다라와 바움가르트너에 더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서 주전으로 도약하지 못한 베르미렌를 임대 영입하는 등 공수의 안정을 가져온 모습.
라이프치히는 기존 자원인 사비 시몬스와 레프트백 다비트 라움이 부상으로 인해 이번 경기 나서지 못할 가능성이 높지만 로이스 오펜다 - 베냐민 세슈코 투톱이 매우 건재하며 특히 도르트문트가 현재 수비진이 니코 슐로터베크와 라미 벤세바이니를 제외하면 전부 부상이나 퇴장 징계로 이탈했기 때문에 4백 구성부터 난관인 도르트문트가 이겨내기에는 매우 불리한 상황이다.
도니얼 말런과 세루 기라시 그리고 제이미 기튼스까지 이 3명의 공격수들이 최근 폼이 매우 올라온 만큼 이들이 라이프치히의 강력한 수비진 어느 정도까지 공략할 수 있느냐가 도르트문트의 연패 탈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 경기 결과
우선 코벨 대신 알렉산더 마이어가 골리로 나섰으며 4백은 벤세바이-슐로터베크-엠레 잔-그로스가 출전하였으며 은메차(CDM)를 뒤로 두고 바이노 기튼스-브란트-자비처-바이어가 2선에 나섰다. 원톱은 기라시.(4-1-4-1)
안톤과 뤼에른손, 코투 및 쥘레가 빠진 자리에 미드필더로 분류되는 그로스와 엠레 잔이 들어섰으며 로트카가 코벨의 부상 여파로 다시 로스터에 등록된 것이 차이점. 이에 따라 벤치에는 도니얼 말런과 마르셀 로트카를 제외한 나머지 멤버가 전부 2군이나 유스팀 소속이라는 말도 안되는 상황이 펼쳐졌다.
도르트문트 원정에 나선 RB 라이프치히(이하 RBL)는 4-4-2로 나섰다.
골리 굴라치를 시작으로 헤이르트라위다-오르반-클로스터만-헨리치가 나섰다. 미드필더에는 누사-베르미렌-아이다라-바움가르트너가 출전. 2톱에는 세슈코와 오펜다가 나섰다.
BVB는 전반 9분 벤세바이니의 패스를 받은 바이노 기튼스의 돌파에 이은 크로스를 바이어가 헤더로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굴라치의 왼쪽으로 지나가며 기회를 놓쳤다. 무척 아쉬웠던 기회.
이어 전반 18분, RBL 아이다라의 패스를 받은 오펜다의 돌파 과정에서 바이어가 경고를 받았다. 경기 초반 20분의 흐름은 라이프치히의 우세.
전반 21분에는 다시 엠레 잔의 파울로 프리킥을 내주었으나 블럭으로 막아내었다. 1분 후에는 바이어의 패스를 받은 브란트의 중거리 슈팅이 있었으나 굴라치에게 막혔다.
전반 26분, 아이다라를 시작으로 헨리치를 거친 RBL의 패스가 페널티 박스내로 향하면서 BVB는 위기를 맞이하였다. 오펜다가 헨리치의 길었던 패스를 따라가서 백힐로 세슈코에게 연결하고 세슈코가 어려운 각도에서 슈팅에 성공하며 실점하였다.
BVB는 곧이어 반격에 나서 코너킥 상황에서 그로스의 킥을 은메차가 머리로 떨구고 바이어가 골문 앞에서 집중력을 발휘하며 득점에 성공하였다. 바이어는 BVB에서의 리그 데뷔 득점이며 은메차의 어시스트로 기록.(전반 29분)
전반 33분에는 바움가르트너를 뒤에서 잡으며 드리블을 방해한 벤세바이니가 경고를 받았으며 전반 35`, RBL 헨리치의 반칙으로 얻어낸 그로스의 프리킥이 벤세바이니에게 향했으나 굴라치의 오른쪽으로 빗나가며 기회를 놓쳤다.
전반 40분에는 슐로터베크의 클리어링이 다시 기라시의 헤딩을 거쳐 BVB 진영으로 돌아왔는데 브란트와 은메차가 서로 미루는 사이 오펜다에게까지 연결되며 위기를 맞이하였다. 다시 백힐로 세슈코에게 연결하였던 오펜다였는데 세슈코의 슈팅은 높이 뜨며 위기를 넘겼다.
전반 44분 얻어낸 코너킥 상황에서 엠레 잔의 중거리 슈팅이 나왔으나 높이뜨며 기회를 놓쳤다. 전반전은 공방 끝에 1:1로 마무리.
후반 3분에는 브란트의 크로스를 받은 슐로터베크의 헤더가 나왔으나 굴라치에 막혔다. 이어 후반 11분에는 중원 혼전 상황에서 벤세바이니가 어렵게 바이노 기튼스에게 연결하였으나 이미 오프사이드의 위치였기에 RBL에게 공격권이 넘어갔다.
후반 13분에는 그로스의 코너킥이 아이다라와 오르반에 맞고 나온 후 슐로터베크가 넘어지며 슈팅하였으나 굴라치의 선방에 막혔다.
2분 후에는 브란트의 패스를 받은 바이노 기튼스이 슈팅이 있었으나 다시 굴라치에게 막혔다.
후반 18분에는 브란트의 패스가 오르반에 맞고 밖으로 나가려는 공을 바이어가 크로스하였으며 이를 기라시가 헤더로 마무리하며 역전에 성공하였다. 벤세바이니가 훌룡하게 더미의 역할을 해주었기 때문에 오르반과 클로스터만의 견제를 이겨낼 수 있었던 장면.
역전에 성공하였으나 여전히 경기의 내용은 팽팽하였으며 후반 20분에는 헨리치의 장거리 패스를 받은 오펜다가 벤세바이니의 견제를 이겨내고 슈팅하였으나 높이 떴다.
후반 21`, 자비처가 통증을 느꼈기 때문에 대신 아즈힐이 투입되었다. 가용한 대체 자원이 마땅치 않은 현재의 BVB.
RBL는 엘마스와 켐플을 아이다라와 바움가르트너 대신 투입하였으며(후반 18`,) 후반 24분에는 세슈코 대신 포울센까지 투입하였다.
후반 25분에는 교체 투입된 RBL 캄플과 엘마스가 2:1패스에 의해 브란트와 벤세바이니가 방비하던 레프트 라인을 와해시키고 다시 크로스에 이은 슈팅을 가져갔으나 엠레 잔이 머리로 겨우 걷아내며 위기를 넘겼다. 순식간에 무너졌던 수비진.
1분 후에는 벤세바이니의 패스를 받은 브란트가 페널티 박스내 발리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다시 굴라치의 선방에 막혔다.
후반 28분에는 누사의 패스를 끊어낸 은메차와 브란트가 2:1패스에 이은 돌파로 RBL 진영으로 돌진하며 기회를 얻었으나 바이어의 빗나간 슈팅으로 마무리되며 기회를 놓쳤다.
후반 43분에는 교체 투입된 비치아부의 전진 패스가 포울센을 거쳐 전방의 오펜다에게 연결되며 결정적 위기를 맞았으나 슐로터베크의 견제의 영향인지 오펜다의 슈팅은 마이어의 오른쪽으로 지나치며 아웃되었다. 후반전 가장 위험했던 장면.
결국 BVB는 먼저 실점하였으나 곧 동점을 만들어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으며 결국 역전까지 성공하며 RB 라이프치히에 승리를 거두었다.
3연패를 끊어내고 동시에 귀중한 승점 3점을 추가하였기에 값졌던 승리.
이번 경기에서는 뜻밖에도 이번 시즌 내내 비판만 받아온 선수들의 활약이 돋보였는데 현재까지 이번 시즌 도르트문트 최악의 영입으로 평가받던 바이어는 동점골을 기록하며 드디어 도르트문트 데뷔골을 기록했고 후반전에는 세루 기라시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하며 1골 1어시를 기록해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또한 주장으로서의 실력과 리더십에 크게 의문을 받은 엠레 잔 역시 센터백으로 나서며 수비와 빌드업에서 상당히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며 RBL의 강력한 공격진을 막아주었다. 펠릭스 은메차 역시 6번롤이라는 익숙하지 않은 역할을 소화했는데 상당히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다만, 이 경기에서도 자비처, 벤세바이니, 기튼스 등 많은 자원들이 부상을 달고 출전했다는 사실이 누리 샤힌의 경기 종료 후 인터뷰에서 밝혀졌기에 다음 일정을 앞두고 추가적인 부상 이탈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아직 남아있다.
2.10. 10라운드 vs 마인츠 (원정, 3:1 패)
2024-25 분데스리가 10라운드 2024. 11. 09.(토) 23:30(UTC+9) | |||
경기장: 메바 아레나 (마인츠) | |||
주심: 플로리안 바트슈튀브너 | |||
관중: 33,000명 | |||
| 3 : 1 | ||
1. FSV 마인츠 05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36' 이재성 (A. 앙토니 카시) 45+3' 요나탄 부르카르트 (A. 대니 다코스타) 54' 파울 네벨 (A. 필리프 음베네) | 40' 세루 기라시 (PK) | ||
<rowcolor=#000> - | 27' 엠레 잔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파울 네벨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3-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LW 제이미 기튼스 59' 얀 코투 59' | ST 세루 기라시 40' | RW 막시밀리안 바이어 59' 도니얼 말런 59' | ||||||||||||
LCM 율리안 브란트 74' 콜 캠벨 74' | CM 펠릭스 은메차 59' 야니크 뤼르스 59' | RCM 마르셀 자비처 | |||||||||||||
LB 율리안 뤼에르손 74' 알무게라 카바르 74'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엠레 잔 | RB 파스칼 그로스 | ||||||||||||
GK 알렉산더 마이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마르셀 로트카 | ||||||||||||
DF | 얀 코투, 필리포 칼릭스 마네, 알무게라 카바르, 야니크 뤼르스 | ||||||||||||||
MF | 조르디 파울리나, 아이만 아즈힐 | ||||||||||||||
FW | 도니얼 말런, 콜 캠벨 | }}} | }}}}}}}}} |
1. FSV 마인츠 05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1 | ||
50% | 점유율 | 50% | |||
13 | 슈팅 | 3 | |||
8 | 유효슈팅 | 2 | |||
462 | 패스 횟수 | 438 | |||
84% | 패스 성공률 | 83% | |||
17 | 파울 | 5 | |||
2/0 | 경고/퇴장 | 1/1 | |||
3 | 오프사이드 | 0 |
캐스터 | 해설 |
박봉서 | 남윤성 |
- 경기 전 예상
현재의 부상 자원은 뤼에르손(안쪽 허벅지,adductor strain), 안톤(허벅지 및 무릎) , 쥘레(발목)가 빠져있는 수비진이 아데예미(종아리)와 뒤랑빌(햄스트링)이 부상 중인 공격진보다 공백이 더 큰 상황인데 이에 더해 지난 RB 라이프치히전에서 라미 벤세바이니가 리그 5번째 경고를 받아 경고 누적으로 이번 마인츠 원정에 나설 수 없기 때문에 율리안 뤼에르손이 복귀하지 않는다면 지난 우니온 원정에서 경고 누적 퇴장을 당하며 최악의 데뷔전을 치렀던 알무게라 카바르가 선발 레프트백으로 나서서 풀타임을 소화해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마인츠는 슈타흐에 이어 다시 팀의 중원 자원 그루다를 브라이튼 & 알비온에 내주었으며 공격 자원 아조로크를 스타드 브레스투아 29에 임대 보낸 상태.
그러나 수준급 센터백으로 평가받는 모리츠 옌츠를 WOB에서 임대해 왔으며 KAA 헨트에서 홍현석을 영입하며 공백을 메웠다. 또한 아조로크의 부재는 팀의 유망주 요나탄 부르카르트가 메우고 있으며 부르카르트는 리그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유망주인 가브리엘 비도비치를 임대 영입하며 공격 루트의 다각화를 노리고 있으며 가시마 앤틀러스의 선수였던 사노 카이슈를 영입하며 중원에 힘을 더했다.
마인츠는 라이치(또는 카시)-옌츠-코어(또는 한체올센)의 3백으로 경기를 펼칠 가능성이 높으며 중원은 음웨네와 카시를 윙백으로 두고 중앙에는 아미리와 사노가 출전할 가능성이 높은 편. 공격진은 부르카르트를 원톱으로 두고 네벨 또는 이재성 및 지프 등이 나설 것으로 보인다.
리그 기준으로 홈 경기 전승을 달리고 있으나 원정 경기 1무 3패의 성적으로 경질 가능성이 대두되고 비판이 커지고 있는 누리 샤힌 감독이 빠듯한 경기 일정에서 어떠한 모습을 내세울지 걱정이 되는 경기.
- 경기 결과
마이어가 지난 챔피언스 리그 5차전에 이어 다시 골문을 지켰고 뤼에르손-슐로터베크-엠레 잔-그로스가 4백으로 나섰다. 미드필더는 브란트-은메차-자비처의 조합. 공격은 기라시를 가운데로 두고 바이노 기튼스(LW)와 바이어(RW)가 나섰다.
얀 코투가 다시 로스터에 복귀하였으나 다시 그로스가 라이트백으로 나섰으며 미드필더진은 큰 변화가 없는 상황.
1.FSV 마인츠 05(이하 M05)는 3-4-2-1로 나섰다.
골리 첸트너를 시작으로 코어-벨-다코스타가 3백으로 나섰고 음웨네(LWB)-아마리-사노-카시(RWB)가 3선으로 나섰다. 2선에는 이재성과 네벨이 나섰으며 원톱은 부르카르트가 선발로 나섰다.
MO5는 경기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나섰다. 전반 초반 10분까지 점유율은 43%:57%로 마인츠의 우세. 마인츠는 전반 17분 아미리의 스루패스에 이은 부르카르트의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마이어의 오른쪽으로 빗나갔다.
전반 25`, 벨의 장거리 로빙 패스를 부르카르트와 경합하더 엠레 잔이 뒤에서 돌진하던 이재성에게 양발 태클을 가하면서 퇴장당하였다. 고의성은 짙지 않았으나 양발로 무모하게 태클하였기에 그로스와 은메차의 항의는 받아 들여지지 않고 원심이 유지되었다.
전반 중반부터는 M05의 우세 속에 경기가 지속되었다. 이어 슐로터베크가 경고를 받았으며 이어진 상황에서 아미리의 크로스에 이은 이재성의 헤더를 마이어가 막아내며 BVB는 위기를 넘겼다.(전반 28`)
엠레 잔의 퇴장으로 수적 열세에 놓인 샤힌 감독은 4-4-1로 포메이션을 변경하였다. 브란트와 자비처를 가운데로 두고 은메차가 센터백에 가까운 포제션을 가져갔다.
전반 29분에는 아미리의 컷백을 받은 카시가 오버래핑에 나섰으나 오프사이드가 선언되며 위기를 넘겼다.
전반 35분, 아사노의 패스를 받은 음웨네의 크로스를 은메차가 1차 저지하였으나 이어진 카시의 바운딩 크로스를 받은 이재성에게 실점하였다.
실점한 BVB는 전반 38분 자비처의 패스를 받은 기라시가 페널티 박스 내에서 이재성의 발에 걸려 넘어지며 페널티 킥을 얻어내었다. 이를 기라시가 직접 성공시키며 1:1의 균형을 맞추었다.
전반 42분에는 아미리의 크로스를 받은 이재성의 헤더가 나왔으나 높이 뜨며 위기를 넘겼다.
전반 47분, 다코스타의 오버래핑에 이은 돌파에 슐로터베크가 와해되고 이어진 크로스를 부르카르트가 득점으로 마무리하며 다시 BVB는 실점하였다. 은메차와 그로스의 백업이 늦었으며 부르카르트의 순간 쇄도에 수비진이 붕괴되었던 장면.
그렇게 전반전은 1:2로 종료. 엠레 잔의 퇴장 이전에도 불안하던 경기의 흐름은 완연한 마인츠의 공세로 지속되었던 전반의 흐름이었다.
후반 9분에는 사노의 롱패스를 받은 음웨네의 패스를 받은 네벨에게 다시 실점하며 패색이 짙어졌다. 경기의 주도권은 M05에 내주었으며 수비에 급급했던 모습.
후반 13분에는 뤼르스와 말런 및 코투를 은메차와 바이어 및 바이노 기튼스로 교체하였다. 이에 BVB는 뤼에르손-슐로터베크-뤼르스-코투의 4백과 말런-브란트-그로스-자버처로 이어진 미드필더진으로 개편되었다.
후반 17`, MO5 아미리의 크로스를 받은 이재성의 헤더가 나왔으나 마이어가 막아내며 다시 위기를 넘겼다.
후반 37분, 네벨의 반칙으로 얻어낸 그로스의 프리킥 상황에서 슐로터베크가 슈팅하였으나 골대를 벗어났다. 후반 43분에는 아미라의 패스를 받은 부르카르트의 슈팅이 있었으나 마이어의 가운데로 오며 막아냈다.
결국 이후 소강 상태가 되며 경기는 1:3의 완패로 끝났으며 다시 원정 경기에서 최악의 모습을 보이고 말았다. 엠레 잔의 퇴장 이전에도 힘들었던 경기는 퇴장 발생 이후 보기 어려울 정도의 졸전으로 이어졌다.
다시 원정 경기 참패를 기록한 BVB는 다음 일정으로 SC 프라이부르크와의 리그 11차전-GNK 디나모 자그레브와의 챔피언스 리그 5차전-FC 바이에른 뮌헨과의 리그 12차전을 이어나간다.
2.11. 11라운드 vs 프라이부르크 (홈, 4:0 승)
2024-25 분데스리가 11라운드 2024. 11. 23.(토) 23:3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펠릭스 브리히 | ||
관중: 81,365명 | ||
| 4 : 0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SC 프라이부르크 | |
7' 막시밀리안 바이어 (A. 라미 벤세바이니) 40' 펠릭스 은메차 (A. 제이미 기튼스) 66' 율리안 브란트 77' 제이미 기튼스 (A. 라미 벤세바이니) | - | |
<rowcolor=#000> - | 90+3' 주니오르 아다무 | |
- | 63' 파트리크 오스터하게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펠릭스 은메차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3-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LW 제이미 기튼스 77' 78' 쥘리앵 뒤랑빌 78' | ST 막시밀리안 바이어 7' | RW 도니얼 말런 | ||||||||||||
LCM 율리안 브란트 66' 78' 조반니 레이나 78' | CM 펠릭스 은메차 40' | RCM 마르셀 자비처 68' 파스칼 그로스 68' | |||||||||||||
LB 라미 벤세바이니 78' 얀 코투 78'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발데마르 안톤 | RB 율리안 뤼에르손 82' 야니크 뤼르스 82'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얀 코투, 알무게라 카바르, 야니크 뤼르스 | ||||||||||||||
MF | 조반니 레이나, 파스칼 그로스, 조르디 파울리나 | ||||||||||||||
FW | 쥘리앵 뒤랑빌, 콜 캠벨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SC 프라이부르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0 | ||
59% | 점유율 | 41% | |||
20 | 슈팅 | 7 | |||
8 | 유효슈팅 | 3 | |||
634 | 패스 횟수 | 437 | |||
91% | 패스 성공률 | 85% | |||
11 | 파울 | 4 | |||
1/0 | 경고/퇴장 | 0/2 | |||
0 | 오프사이드 | 0 |
캐스터 | 해설 |
이인환 | 남윤성 |
- 경기 전 예상
특히 센터백들의 복귀는 아직 더딘 상황인데 센터백 쥘레와 안톤의 부상으로 센터백으로 투입되었던 주장 엠레 잔까지 지난 마인츠전 다이렉트 퇴장의 징계로 인해 나설 수가 없는 상황이다.
현지에서도 팬들의 누리 샤힌에 대한 경질 압박 역시 매우 강한 분위기인데 아직 경질과 관련해서는 딱히 전해지는게 없는 만큼 샤힌이 당분간은 계속해서 감독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샤힌 스스로가 전술적인 발전을 이뤄냄과 동시에 부상과 퇴장이라는 선수 이탈을 극복해낼 필요가 있어보인다.
수비진의 경우 엠레 잔까지 출전이 불가능한 만큼 새로운 선수의 출전이 유력한데 2군이나 유스에서 콜업할 경우 올시즌 4순위 센터백 자원으로 계속 콜업 중인 필리포 칼릭스 마네 혹은 지난 마인츠전에서 데뷔한 야니크 뤼르스가 선발로 나서거나 율리안 뤼에르손, 얀 코투 2명의 풀백이 모두 지난 라운드에서 복귀한 만큼 이 둘이 좌우 풀백을 맡음과 동시에 대표팀에서 센터백 경험이 많고 피지컬에서 우세한 라미 벤세바이니를 센터백으로 기용할 가능성도 충분하다.
한편, 공격진에서도 세루 기라시가 경기 직전 감염병 증세로 인해 훈련을 불참함에 따라 선발 출전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기라시가 못나온다면 최근 기라시 의존도가 매우 높은 도르트문트에게 큰 타격이 될 전망이다.
슈트라이히 감독이 지난 시즌을 끝으로 지휘봉을 내려놓은 SC 프라이부르크는 유겐트를 지도하던 율리안 슈스터를 1군 감독으로 승진시켰으며 지난 시즌 하이덴하임의 핵심 자원이였던 에렌 딩치와 볼프스부르크에서 막시밀리안 필립을 영입하는 등 전력보강을 마치며 이번 시즌에도 상위권을 전력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
한편 BVB 유스 출신인 파트리크 오스터하게는 지난 2021/22 시즌 VfL 보훔으로 이적한 상태였는데 이번 시즌 €4.80m의 금액으로 프라이부르크로 영입되었다. 아무래도 보훔에서의 활약상에 돋보였던 모양. 또한 SC 파더보른에서는 서브 골리로 야니크 후트를 영입하여 골문을 보강하였다.
1.FSV 마인츠 05와의 경기에서 완패당하며 리그 7위까지 떨어진 BVB가 반등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을지 걱정이 되는 경기.
- 경기 결과
10라운드 마인츠에서 패하며 심각해 가는 팀의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주력 자원이 전부 투입되었다.
마인츠전 퇴장 당하며 결장이 확정된 엠레 잔 이외 아프리카 네이션스리그 예선 탄자니아와의 경기 이후 호흡기 편도선 감염 증세로 결장하는 기라시를 제외하고 주력 자원이 전부 출전.
골문을 지킨 코벨을 시작으로 벤세바이니-슐로터베크-안톤-뤼에르손이 4백을 이루었으며 은메차와 브란트(LCM),자비처(RCM)가 미드필더로 출전하였다. 공격은 바이노 기튼스(LW)와 바이어(RW)의 사이에 말런이 나섰다.
5승 2무 3패의 전적으로 리그 5위를 달리고 있는 SC 프라이부르크(이하 SCF)는 4-2-3-1로 나섰다.
아투볼로를 시작으로 귄터-린하르트-긴터-퀴블러가 4백으로 출전하였고 3선에는 회플러와 에겐슈타인의 조합. 2선에는 그리포-오스터하게-도안이 나섰으며 원톱은 횔러.
그레고리치가 타박상이 있었기에 2선으로 주로 나섰던 횔러가 원톱으로 이동하였으며 에렌 딩치 대신 오스터하게가 출전한 것이 차이점.
전반전 시작과 동시에 대등하게 맞섰던 양 팀은 전반 5분까지 중원에서의 공방을 주고 받았다. 수비시에는 오스터하게와 회플러가 깊숙히 내려와 4-5-1의 대형을 갖춘 프라이부르크는 도안의 드리블링에 이은 역습과 횔러의 타켓플레이에 집중한 편.
전반 6분, 브란트와 자비처, 벤세바이니로 이루어진 3각 패스가 아투볼로의 정면을 향해 돌진하던 바이어에게 연결되며 기회를 얻었다. 무척 어려운 뒷발로의 트래핑을 바이어가 성공시키며 단독 기회에 이은 마무리로 선제 득점에 성공하였다. 바이어의 트래핑이 절대 지분을 차지했던 득점 장면.
첫 득점을 올린 BVB는 전반 22분 도안과 에겐슈타인의 2:1패스에 벤세바이니가 파훼되면서 큰 위기를 맞이하였다. 도안의 드리블에 이은 패스가 그리포에게 이어지면 결정적 위기를 맞이하였으나 코벨이 펀칭하였으며 이어진 횔러의 리바운드에 이은 슈팅은 골대 상단에 맞고 나왔다. 도안에게 필요 이상으로 끌려나가면서 위기를 자초했던 안톤과 슐로터베크의 집중력 부재가 이러한 위험한 상황을 자초하였다.
공방을 주고 받던 양 팀의 대결은 전반 39분 바이노 기튼스의 패스를 받은 은메차의 중거리 슈팅이 나오면서 BVB에게 기울기 시작하였다. 다소 느린 궤적이었으나 은메차의 득점으로 마무리. 그렇게 전반을 2:0으로 앞선 채 마쳤다.
후반, 회플러의 기동력 저하와 은메차의 경합 우위를 바탕으로 BVB는 60%:40%의 점유율 우세로 경기를 유리하게 풀어갔다. 후반 11분에는 말런의 돌파와 바이어와의 패스가 뒤에서 달려들던 자비처에게 이어졌으나 다소 정직한 슈팅으로 아투볼로에게 막혔다.
후반 17분에는 긴터의 오스터하게를 향한 패스를 자비처가 탈취하며 기회를 얻었다. 드리블에 이은 패스를 준비하던 자비처에게 오스터하게가 허벅지를 걸며 경고를 받았으며 이미 경고(후반 12`)가 있었던 오스터하게가 두 번째 경고로 누적, 퇴장당하며 결정적 승기를 잡았다.
이어진 상황에서는 브란트가 프리킥으로 리그 첫 득점을 올리며 BVB는 3:0의 리드를 만들었다.(후반 20`)
이어 후반 30분이 넘어가는 시점에는 크로스의 궤적을 양 팀 모두 따라가지 못하면서 세컨드 볼을 차지한 벤세바이니가 바이노 기튼스에게 연결하면서 다시 기회를 얻었다. 이를 받은 바이노 기튼스의 득점이 나오면서 4:0으로 달아났다.
결국 BVB는 얀 코투와 레이나까지 투입하는 여유있는 상황에 돌입하였으며 SCF에 4:0으로 승리를 거두며 5위를 탈환하였다.
리그 원정 경기에서의 극악 부진때문에 위기를 맞이한 누리 샤힌 감독에게는 한숨을 돌리는 경기가 되었으나 SC 프라이부르크의 경기력이 좋지 못했으며 A매치 휴식기 이후 첫 경기이기 때문에 경기력은 더욱 지켜봐야 할 일.
2.12. 12라운드 vs 바이에른 뮌헨 (홈, 1:1 무)
2024-25 분데스리가 12라운드 2024. 12. 1.(일) 02:3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스벤 야블론스키 | ||
관중: 81,365명 | ||
| 1 : 1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FC 바이에른 뮌헨 | |
27' 제이미 기튼스 (A. 니코 슐로터베크) | 85' 자말 무시알라 (A. 마이클 올리세)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자말 무시알라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ST 세루 기라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M 제이미 기튼스 27' 74' 도니얼 말런 74' | CAM 마르셀 자비처 90' 조반니 레이나 90' | RM 막시밀리안 바이어 | }}} | |||||||||||
LDM 파스칼 그로스 | RDM 펠릭스 은메차 | ||||||||||||||
LB 라미 벤세바이니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발데마르 안톤 18' 니클라스 쥘레 18' | RB 율리안 뤼에르손 74' 얀 코투 74'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얀 코투, 니클라스 쥘레, 알무게라 카바르 | ||||||||||||||
MF | 조반니 레이나, 아이만 아즈힐 | ||||||||||||||
FW | 쥘리앵 뒤랑빌, 도니얼 말런, 콜 캠벨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FC 바이에른 뮌헨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1 | ||
37% | 점유율 | 63% | |||
7 | 슈팅 | 14 | |||
2 | 유효슈팅 | 6 | |||
321 | 패스 횟수 | 637 | |||
76% | 패스 성공률 | 88% | |||
11 | 파울 | 7 | |||
2/0 | 경고/퇴장 | 2/0 | |||
1 | 오프사이드 | 4 |
캐스터 | 해설 |
김용남 | 임형철 |
- 경기 전 예상
이번 경기는 겨울 휴식기 이전 이번 시즌 리그 성적의 가늠쇠의 역할을 할 바이에른 뮌헨과의 홈 경기이다.
기라시와 안톤 및 뤼에르손이 돌아왔으나 아데예미가 복귀하지 못하고 있기에 바이노 기튼스와 말런 혹은 바이어의 출전이 예상되는 공격진.
또한 그로스와 은메차로 이루어진 3선 자원은 출전 문제가 없으나 지난 GNK 디나모 자그레브 원정에서 브란트가 전반전 막바지 통증을 호소하며 교체되었기에 이번 경기 결장이 유력시 되는 상황. 이에 따라 바이어의 CAM 투입 또는 자비처의 윗선 이동도 점쳐지는 팀의 사정을 가지고 있다.
분데스리가 1위를 달리고 있는 바이에른 뮌헨은 크리스탈 팰리스에서 마이클 올리세를 영입하며 공격력을 보강하였으며 오랫동안 공들였던 주앙 팔리냐를 풀럼 FC에서 영입하며 3선 자원에 대한 고민을 덜어낸 상태지만 뮌헨 역시 2명의 수비형 미드필더 자원인 알렉산다르 파블로비치와 팔리냐가 모두 부상으로 나오지 못하는 상황이라 양팀 모두 중원의 공백을 이겨내야 하는 경기이다.
오락가락한 경기력을 선보이고 있으며 홈에서의 성적은 좋다지만 불안함을 감출 수 없는 경기.
- 경기 결과
코벨을 시작으로 4-2-3-1로 나선 BVB는 벤세바이나-슐로터베크-안톤-뤼에르손이 4백으로 나섰으며 은메차와 그로스가 3선에 나섰다. 2선에는 자비처를 가운데로 두고 바이노 기튼스와 바이어가 나섰다. 원톱은 기라시.
원정에 나선 바이에른 뮌헨(이하 BAY)는 4-2-3-1을 내세웠다.
노이어를 시작으로 데이비스-김민재-우파메카노-라이머가 4백으로 나섰으며 3선에는 고레츠카와 키미히가 배치되었다. 2선에는 텔-무시알라-사네가 선발로 출전하였으며 원톱은 케인.
전반전 시작과 동시에 BAY에 주도권을 내어주며 수비지향적으로 나선 BVB는 위험한 상황을 연출하며 위기를 맞이했다.
전반 6`, 마킹맨 벤세바이니의 간격이 벌어지며 사네에게 강력한 중거리 슈팅을 허용하였다. 열린 각도였기에 코벨이 펀칭. 텔이 쇄도하던 상황이었기에 펀칭의 강도가 약했다면 리바운드를 허용하였을 상황이었다.
전반 16분이 넘어가는 지점에는 케인과의 경합 중 안톤이 통증을 호소하며 곧 쥘레와 긴급 교체되며 다시 불안해졌다. 부상의 완치가 아닌 임시방편으로 팀에 합류한 것이 아닌간 하는 의구심이 자아내는 대목.
경기 후 안톤과 브란트의 회복과 경기 출전에 대한 내용은 키커誌의 보도 참고. https://www.kicker.de/anton-faellt-vorerst-aus-brandt-hofft-auf-rueckkehr-1072426/artikel
초반 20분을 30%의 점유율에 머무르며 강한 압박에 고전하였으며 자비처의 높은 위치와 그로스의 느린 기동력으로 중원에 영향력을 상실하였던 BVB는 전반 26분 슐로터베크의 전진 패스를 바이노 기튼스가 페인팅으로 속이고 마킹맨 라이머와의 속도 경쟁에서 이겨내며 돌파에 이은 슈팅으로 선제 득점에 성공하였다.
전반 31분에는 그로스의 크로스에 이은 자비처의 슈팅이 나왔으나 우파메카노의 블럭에 막히면서 기회를 놓쳤다.
전반 36분에는 케인과 교체되어 경기에 나선 뮐런의 헤더가 나왔으나 코벨의 오른쪽으로 빗나가며 위기를 넘겼다.
소강 상태를 이루었던 전반전의 나머지 시간은 득점 없이 마무리.
후반 3`, 텔의 전진 패스를 페널티 박스의 밖에서 받은 무시알라가 드리블에 이은 패스를 뮐러에게 연결하며 큰 위기를 맞이하였으나 뮐러의 슈팅은 정직하게 코벨에게 향하면서 위기를 넘겼다.
후반 16분이 넘어가는 시점에는 바이어의 전진 패스가 돌진하던 자비처에게 향했으나 땅볼 슈팅에 그치면서 무위로 돌아갔다. 후반전 가장 아쉬웠던 기회.
불안했던 리드 상황에 후반 중반을 향하던 72분에는 뤼에르손과 바이노 기튼스를 빼고 얀 코투와 말런을 투입하였다. 모두 같은 포지션을 대체. 이에 따라 BVB는 벤세바이니-슐로터베크-쥘레-코투의 4백과 말런-그로스-은메차-자비처-바이어의 미드필더진으로 개편되었다.
후반 37분에는 자비처의 반칙으로 내어준 프리킥 상황에서 자네의 프리킥은 은메차가 머리로 막았으나 같은 동작에서 부딪히며 쓰러진 쥘레에 대한 염려에 텔의 2차 크로스에 대한 대처가 늦어지며 무시알라에게 헤더로 동점골을 내어주었다.
1:1의 상황으로 새롭게 전개된 상황에서 후반 43분 무시알라의 크로스에 이은 자네의 슈팅이 나왔으나 코벨이 막아내며 추가 실점을 하지 않았다. 결국 1:1로 경기가 마무리되었으며 양 팀은 승점 1점을 추가하였다.
주중 유럽대항전과 포칼이 번갈아 펼쳐지며 바쁜 일정을 보내지만 이미 포칼 일정을 마무리 지은 BVB는 주말 묀헨글라트바흐 원정에 이은 바르셀로나와의 UCL 리그 페이즈 6차전 - 호펜하임과의 리그 14라운드 - 볼프스부르크 원정을 마지막으로 겨울 휴식기에 돌입한다.
한편 2024/25 시즌 12R까지의 1.분데스리가 판도는 다음과 같다.
선두는 FC 바이에른 뮌헨(9승 3무, 승점 30)이며 2위는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8승 2무 2패, 승점 26), 3위는 바이어 레버쿠젠(6승 5무 1패, 승점 23).
아래 순위에 위치하고 있는 4위 RB 라이프치히(승점 21)부터 10위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승점 17)까지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4위 = RBL (6승 3무 3패 승점 21점), GF 19 - GA 14, GD +5
5위 = BVB (6승 2무 4패 승점 20점), GF 23 - GA 19, GD +4
6위 = SCF (6승 2무 4패 승점 20점), GF 16 - GA 16, GD 0
7위 = M05 (5승 4무 3패 승점 19점), GF 20 - GA 14, GD +6
8위 = WOB (5승 3무 4패 승점 18점), GF 25 - GA 19, GD +6
9위 = VFB (4승 5무 3패 승점 17점), GF 23 - GA 21, GD +2
10위 = BMG (5승 2무 5패 승점 17점), GF 18 - GA 17, GD +1
한편 14시즌만에 1.분데스리가로 복귀한 FC 장크트파울리는 홀슈타인 킬을 잡아내며 시즌 3승째를 올리며 같은 라운드 프랑크푸르트에 패한 하이덴하임을 제치고 15위로 올라섰으며 하이덴하임은 16위. 그 뒤를 홀슈타인 킬과 VfL 보훔이 뒤따르고 있다.5위 = BVB (6승 2무 4패 승점 20점), GF 23 - GA 19, GD +4
6위 = SCF (6승 2무 4패 승점 20점), GF 16 - GA 16, GD 0
7위 = M05 (5승 4무 3패 승점 19점), GF 20 - GA 14, GD +6
8위 = WOB (5승 3무 4패 승점 18점), GF 25 - GA 19, GD +6
9위 = VFB (4승 5무 3패 승점 17점), GF 23 - GA 21, GD +2
10위 = BMG (5승 2무 5패 승점 17점), GF 18 - GA 17, GD +1
15위 = STP (3승 2무 7패 승점 11점), GF 10 - GA 15, GD -5
16위 = FCH (3승 1무 8패 승점 10점), GF 15 - GA 24, GD -9
17위 = KIE (1승 2무 9패 승점 5점), GF 13 - GA 31, GD -18
18위 = BOC (0승 2무 10패 승점 2점), GF 10 - GA 33, GD -23
16위 = FCH (3승 1무 8패 승점 10점), GF 15 - GA 24, GD -9
17위 = KIE (1승 2무 9패 승점 5점), GF 13 - GA 31, GD -18
18위 = BOC (0승 2무 10패 승점 2점), GF 10 - GA 33, GD -23
2.13. 13라운드 vs 묀헨글라트바흐 (원정, 1:1 무)
2024-25 분데스리가 13라운드 2024. 12. 8.(일) 02:30(UTC+9) | ||
경기장: 보루시아 파르크 (묀헨글라트바흐) | ||
주심: 토비아스 슈틸러 | ||
관중: 54,042명 | ||
1 : 1 |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71' 케빈 슈퇴거 (PK) | 65' 제이미 기튼스 (A. 니코 슐로터베크) | |
90+5' 토마시 츠반차라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제이미 기튼스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ST 세루 기라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M 제이미 기튼스 65' | CAM 마르셀 자비처 | RM 막시밀리안 바이어 58' 도니얼 말런 58' | }}} | |||||||||||
LDM 펠릭스 은메차 | RDM 파스칼 그로스 78' 조반니 레이나 78' | ||||||||||||||
LB 라미 벤세바이니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니클라스 쥘레 83' 엠레 잔 83' | RB 율리안 뤼에르손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얀 코투, 알무게라 카바르, 야니크 뤼르스 | ||||||||||||||
MF | 조반니 레이나, 엠레 잔, 아이만 아즈힐 | ||||||||||||||
FW | 쥘리앵 뒤랑빌, 도니얼 말런 | }}} | }}}}}}}}}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1 | ||
41% | 점유율 | 59% | |||
10 | 슈팅 | 15 | |||
5 | 유효슈팅 | 3 | |||
342 | 패스 횟수 | 535 | |||
79% | 패스 성공률 | 87% | |||
16 | 파울 | 11 | |||
1/1 | 경고/퇴장 | 2/0 | |||
3 | 오프사이드 | 1 |
캐스터 | 해설 |
김용남 | 김환 |
- 경기 전 예상
안톤이 다시 부상으로 결장이 확실시되나 브란트는 선수단과 같이 훈련을 재개할 가능성이 높은 편.
이에 맞서는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는 지난 시즌 리그 14위에 그친 성적을 타개하고자 지난 시즌 하이덴하임의 상승세를 이끌었던 클라인딘스트를 완전 영입하였으며 VfL 보훔에서는 케빈 슈퇴거를 영입하며 공격력을 강화한 상태. 또한 중앙 미드필더 자원인 필리프 잔더 역시 홀슈타인 킬에서 영입하며 중원을 보강하였다. AS 로마로 임대간 마누 코네를 대체하기 위한 움직임.
지난 시즌 8승 6무 3패의 성적에 턱없이 못미치는 1무 4패의 원정 경기 성적을 기록하고 있는 BVB가 보루시아 파르크에서 시즌 첫 원정 승리를 가져올 수 있을지 의심스러운 경기.
한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첫 참가하는 FIFA 클럽 월드컵에서 2포트를 배정받았으며 조 추첨 결과 플루미넨시 FC, 울산 HD FC, 마멜로디 선다운스 FC와 함께 F조로 편성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참고. <클럽 월드컵 2025 미국> 조 추첨결과 안내
- 경기 결과
코벨을 시작으로 벤세바이니-슐로터베크-쥘레-뤼에르손이 4백으로 나섰으며 은메차와 그로스에 3선에 자리잡았다. 2선에는 바이노 기튼스-자비처-바이어의 조합. 원톱에는 기라시가 나섰다.
마인츠전 무모한 태클로 출장정지 처분을 받은 엠레 잔이 선수단에 합류하였으나 안톤과 브란트가 로스터에서 제외된 팀의 사정.
지난 BAY전 뤼에르손과 충돌하며 뇌진탕 증세를 보였던 쥘레는 다행히 다시 경기에 나섰다.
캡틴 오믈린의 잦은 부상으로 사실상 주전 골리로 올라선 니클라스를 시작으로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이하 BMG)는 4-2-3-1을 내세웠다.
울리히-엘베디-이타쿠라-스캘리(스컬리)가 4백으로 나섰으며 3선에는 오믈린 대신 주장 완장을 차고 출전하는 빈도가 높은 VC 바이글과 라이츠가 포진하였다. 2선에는 플레아-슈퇴거-오노라의 조합. 원톱에는 클라인딘스트가 출전하였다.
전반 5분, 이번 경기에서 가장 많이 경합한 바이노 기튼스와 스컬리의 경합에서 바이노 기튼스의 돌파에 이은 크로스를 자비처가 받아 슈팅하였으나 니클라스의 오른쪽으로 빗나갔다.
전반 14, 벤세바이니의 터치 아웃으로 내어준 오노라의 코너킥을 받아 라이츠의 슈팅이 나왔으나 기라사의 팔에 맞고 굴절되며 아웃되었다.
슈틸러 주심의 판단을 기다리던 대목. 그러나 기라시의 양팔이 대칭을 이루었으며 능동적인 움직임이 아니라는 판단이 내려지며 다행히 페널티 킥이 선언되지 않았다.
같은 4-2-3-1의 대형으로 나왔으며 서로가 카운터였던 이번 경기에서는 바이글과 자비처, 바이노 기튼스와 스컬리, 바이어와 울리히가 1대 1로 대치하는 상황이 많이 나왔다.
전반 25분에는 벤세바이니의 돌파에 이은 크로스가 기라시의 발에 맞고 굴절되더니 자비처에게 연결되었으나 자비처의 헤더는 높이 뜨고 말았다. 8분 후에는 바이어의 페널티 박스 내 전진 패스를 그로스가 받고 기라시에게 연결하여 어려운 동작에서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스컬리의 발 앞에 떨어지며 기회가 무산되었다.
전반 40분이 지나는 시점에는 슐로터베크가 전진하며 바이노 기튼스에게 연결하고 바이노 기튼스가 중앙에서 슈팅하였으나 니클라스의 선방에 막혔다. 전반은 그렇게 득점 없이 종료.
후반 7`, 쥘레의 터치 아웃으로 내어준 코너킥 상황에서 슈퇴거의 코너킥이 이타쿠라에게 연결되었으나 이타쿠라의 헤더는 코벨의 옆으로 지나갔다. 후반 10분이 넘어갈 무렵에는 바이글과 충돌했던 바이어가 통증을 호소하였기에 말런이 대신 투입되었다.
말런은 투입되어 후반 15분 슐로터베크의 패스를 받아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블럭으로 공의 힘이 떨어지며 니클라스에게 막혔다.
BMG는 후반 17분 플레아의 패스를 받은 오노라의 돌파에 이은 바이글의 슈팅이 나왔으나 거리가 멀었던 관계로 코벨이 막아내었다.
BVB는 후반 20분이 되어갈 무렵 스컬리와 1대1 상황에 놓인 바이노 기튼스가 순간 속력을 높이며 터닝 슈팅을 성공시키며 앞서 나갔다. 골대 상단을 맞고 안쪽으로 들어가며 득점.
그러나 곧바로 공격에 나선 BMG는 오노라의 코너킥 상황에서 플레아의 헤더가 클라인딘스트에게 향하면서 페널티 킥을 얻어내었다. 마킹하던 그로스가 클라인딘스트를 잡아내었다는 판정이 내려졌기 때문. 이를 슈퇴거가 성공시키며 바이노 기튼스의 득점은 무위로 돌아갔다.
후반 35분에는 BMG의 오노라의 코너킥에 이은 하크의 슈팅이 나오면서 결정적 위기를 맞이하였으나 골대를 맞고 나오면서 안도하였다.
후반 41`, 바이노 기튼스의 기라시를 향한 크로스가 나왔으나 니클라스가 빠른 판단으로 펀칭하며 기회가 무산되었다.
후반 7분이 주어졌던 추가 시간에서 후반 52분 교체 투입된 레이나의 크로스에 이은 기라시의 헤더가 골문 밖으로 살짝 빗나가며 마지막 기회를 놓쳤다. 그렇게 1:1로 무승부로 종료.
여담으로 후반 43분 클라인딘스트와 교체 되어 경기에 투입된 츠반차라는 6분 후인 후반 49분 경고를 받은데 이어 1분 후 슐로터베크의 진로를 방해하며 다시 경고를 받아 퇴장당하며 남다른 존재감을 과시하였다.
결국 원정 경기 무승을 타파하고자 하였으나 결국 부족했던 골 결정력으로 무승부의 실망스러운 결과를 안고 돌아가게되었다.
이번 시즌 분데스리가 초중반 판도는 4위에서 10위 언저리까지의 순위는 등수가 의미 없을 정도로 승점 차가 크지 않기에 BVB는 향후 경기 결과에 따라 4위권은 물론 6위 수성도 힘든 처지에 놓였다.
당장 WOB가 마인츠에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5위로 올라섰으며 SCF와는 같은 승점인 상황. 이에 더해 승점 2점 차에 불과한 SVW가 10위에 위치하고 있는 등 비교적 순항하고 있는 챔피언스 리그와는 달리 리그에서의 성적은 무척 위태로운 지경에 놓였다.
다음 경기는 라리가 선두를 달리고 있는 FC 바르셀로나와의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6차전.
2.14. 14라운드 vs TSG 호펜하임 (홈, 1:1 무)
2024-25 분데스리가 14라운드 2024. 12. 16.(월) 01:3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하름 오스머스 | ||
관중: 81,365명 | ||
| 1 : 1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TSG 1899 호펜하임 | |
46' 조반니 레이나 | 90+1' 야콥 브룬 라르센 (A. 하리스 타바코비치)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니코 슐로터베크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ST 세루 기라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M 제이미 기튼스 76' 쥘리앵 뒤랑빌 76' | CAM 조반니 레이나 46' 76' 키엘 베티엔 76' | RM 막시밀리안 바이어 46' 카림 아데예미 46' | }}} | |||||||||||
LDM 펠릭스 은메차 | RDM 파스칼 그로스 61' 마르셀 자비처 61' | ||||||||||||||
LB 라미 벤세바이니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엠레 잔 | RB 얀 코투 85' 야니크 뤼르스 85'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알무게라 카바르, 야니크 뤼르스 | ||||||||||||||
MF | 마르셀 자비처, 키엘 베티엔, 아이만 아즈힐 | ||||||||||||||
FW | 쥘리앵 뒤랑빌, 도니얼 말런, 카림 아데예미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TSG 1899 호펜하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1 | ||
55% | 점유율 | 45% | |||
8 | 슈팅 | 12 | |||
3 | 유효슈팅 | 1 | |||
450 | 패스 횟수 | 385 | |||
84% | 패스 성공률 | 78% | |||
9 | 파울 | 10 | |||
5/0 | 경고/퇴장 | 1/0 | |||
1 | 오프사이드 | 4 |
캐스터 | 해설 |
박봉서 | 김환 |
- 경기 전 예상
패전에 더해 슐로터베크가 경기 막바지 인대 부상을 입으며 이번 경기는 물론 남은 시즌 복귀가 물음표에 놓인 상황. 또한 FCB전 전반전을 마치고 교체된 뤼에르손 역시 선수단 합류가 불투명한 상황으로 알려진 상태.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벤세바이니와 엠레 잔의 센터백 투입과 함께 코투가 라이트백, 카바르의 레프트백 투입 가능성이 있는 상황.
한편 바르셀로나전 로스터 등록을 마친 아데예미는 부상 경과를 지켜보아 경기에 투입될 가능성이 있다.
주중 루마니아 FCSB(스테아우아)와의 유로파 리그 6차전에서 무승부를 기록하며 UEL 16강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호펜하임은 이번 시즌을 앞두고 막시밀리안 바이어를 BVB에 내주었으며 1.FC 우니온 베를린으로 로베르토 스코우가 이적하는 등 전력 유출이 있었다. 특히 헤르타 BSC로 자유 이적한 존 브룩스의 대체자가 시급하였던 상황.
이와 같은 전력 유출을 막고자 공격 자원 아담 흘로제크를 레버쿠젠에서 영입하였으며 SK 슈투름 그라츠에서는 미드필더 알렉산더 프라스를 영입하였다. 또한 US 레체에서는 센터백과 라이트백이 가능한 발랑탱 장드레를 영입하였으며 센터백인 로빈 흐라냐치도 체코 FC 빅토리아 플젠에서 영입하였다. 이에 더해 브라질 출신의 아르투르 차베스를 포르투갈 비제우 FC에서 영입하는 등 수비력 보강을 마무리한 상황.
그러나 지난 시즌 7위를 기록하며 진출한 유로파 리그에서 1승 3무 2패의 부진한 성적을 보이고 있으며 리그에서도 3승 4무 6패의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는 상태. 결국 이와 같은 성적을 타개하고자 SK 슈투름 그라츠에서 크리스티안 일처 감독을 선임하였으며 SK 그라츠소속으로 지난 11월 초 UCL 리그 페이즈 4차전 BVB를 상대하였던 일처 감독은 약 40여일 만에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를 떠나 리그와 팀을 달리하여 BVB와 상대하는 악연을 이어가게 되었다.
겨울 휴식기를 앞두고 있는 BVB가 브란트와 안톤, 슐로터베크, 쥘레로 이어지는 부상 악몽을 극복하고 전반기 마지막 홈경기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을지 걱정 되는 경기.
- 경기 결과
골리 코벨을 시작으로 라미 벤세바이니-니코 슐로터베크-엠레 잔-얀 코투의 4백으로 수비진을 꾸렸다. 3선에는 은메차와 그로스의 조합. 2선에는 바이노 기튼스-레이나-바이어가 출전하였다. 원톱은 기라시.
공격형 미드필더에 지난 챔피언스 리그 FCB전에 이어서 조반니 레이나가 출전한 것이 특징.
펠레그리노 마타라초의 뒤를 이어 팀을 지휘하고 있는 크리스티안 일처 감독이 이끄는 TSG 1899 호펜하임(이하 TSG)은 4-4-2로 나섰다.
여전히 골문을 지키고 있는 캡틴 바우만을 시작으로 프라스-은소키-차베스-장드레가 4백으로 나섰으며 미드필더에는 크라마리치-사마세쿠-슈타흐-비쇼프가 나섰다. 공격은 흘로제크와 뫼어슈테트가 선발로 나섰다.
기존 주전이였던 카바크와 카데르자베크 및 아크포구마(악포구마)를 대신하여 새롭게 영입된 선수들이 수비진으로 나섰으며 그리스와 스페인으로 오랫동안 임대를 다녀온 사마세쿠가 출전한 것이 특징. 공격으로 나선 뫼어슈테트는 팀의 유겐트 출전으로 이번 시즌 본격적으로 1군 로스터에 등록되어 실력 검증에 나서고 있다.
BVB는 전반 초반부터 강력한 압박으로 나선 TSG에 어려움을 겪었다. 전반 6분에는 엠레 잔이 흘로제크와 크라마리치의 2:1패스에 공간을 내어주며 빈 공간으로 들어선 뫼어슈테트에게 슈팅을 허용하였다. 코벨을 향해 돌려 찼던 슈팅은 각도가 빗나가며 위기를 넘겼다.
전반 21분에는 페널티 박스 밖의 좋은 위치에서 얻은 프리킥 상황에서 그로스의 킥을 슐로터베크가 방향을 돌리며 슈팅하였으나 바우만의 옆으로 빗나갔다.
전반 25분에는 크라마리치의 패스를 받은 슈타흐의 돌파를 저지하는 과정에서 그로스가 경고를 받았다. 전반 30`, 사마세쿠의 로빙 패스가 뫼어슈테트에게 전달되며 위기를 맞이하였으나 먼저 뫼어슈테트의 위치가 오프사이드였다는 판정이 내려지며 위기를 넘겼다.
이어 전반 36분에는 비쇼프의 크로스를 받은 뫼어슈테트에게 헤더를 허용하였으나 코벨이 막아내었다.
전반 37분에는 코너킥 상황에 이은 그로스의 크로스 상황에서 바이어가 페인팅으로 바우만을 속이려 하였으나 바우만이 순간 판단력으로 발로 막아내며 기회를 놓쳤다.
이어 전반 40분에는 TSG 슈타흐의 크로스를 받은 비쇼프가 페널티 박스 왼쪽에서 슈팅하였으나 코벨의 왼쪽으로 빗나갔다.
전반 43분에는 뫼어슈테트와 경합하던 은메차가 경고를 받았다. 다소 억울하였던 은메차의 표정. 전반전은 그렇게 양 팀의 득점 없이 종료.
아데예미가 바이어 대신 투입되며 시작한 후반전에서는 시작부터 좋은 기회를 얻었다.
벤세바이니를 기점으로 바이노 기튼스에게 연결되었는데 바이노 기튼스의 크로스는 TSG 은소키가 클리어링 하였으나 공교롭게 레이나의 앞으로 바운딩되었고 이를 레이나가 득점으로 마무리지었다. 오랜만에 나오는 레이나의 득점.
후반 5분에는 벤세바이니의 패스를 받은 아데예미가 템포 빠른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바우만의 왼쪽으로 지나쳤다. 아쉬웠던 기회.
후반 11분에는 TSG 프라스의 패스를 받은 비쇼프의 슈팅이 나왔으나 코벨이 막아내며 위기를 넘겼다. 이어진 후반 12분에는 레이나의 반칙으로 내어준 프리킥 상황에서 비쇼프의 킥이 흘로제크에게 연계되며 위기를 맞았으나 높이 뜨며 위기를 다시 넘겼다.
후반 16분에는 프라스의 크로스가 흘로제크에게 연결되며 다시 위기를 맞았으나 벤세바이니의 경합 덕분인지 코벨의 위로 살짝 지나치며 위기를 넘겼다.
후반 21분에는 비쇼프의 반칙으로 얻어낸 프리킥 상황에 이어 기라시의 슈팅이 나왔으나 바우만에게 다시 막혔다.
후반 27`, 교체 투입된 TSG 가이어의 돌파를 막으려다 레이나가 경고를 받았으며 3분 후에는 바이노 기튼스도 경고를 받았다.
앞서 동점을 만들기 위해 브룬 라르센(사마세쿠 아웃), 타바코비치(뫼어슈테트 아웃) 및 가이거(비쇼프 아웃)를 투입하였던 TSG였는데 BVB는 이에 맞서 뒤랑빌(바이노 기튼스 아웃)과 베티엔(레이나 아웃)을 투입하였다.
후반 34분에는 기라시의 컷백을 받은 아데예미가 공을 잡았으나 오프사이드가 선언되며 기회를 놓쳤다. 후반 40분에는 코투가 넘어지며 통증을 호소하였기에 뤼르스가 대신 투입되었다. 뤼르스는 지난 10라운드 1.FSV 마인츠전 출전 이후 2번째 분데스리가 출전.
후반 43분에는 벤세바이니의 반칙으로 내어준 프리킥 상황에서 브룬 라르센의 위치가 오프사이드로 선언되며 위기를 넘겼다.
그러나 리드 지키기에 나선 BVB에 맞서 총공세를 펼치던 TSG의 공격이 계속되던 후반 45`, 장드레의 장거리 스로인을 벤세바이니와 경합하던 타바코비치가 머리로 공을 뒤로 보냈고 이어 이를 달려들며 슈팅한 브룬 라르센에게 실점을 허용하고 말았다. 타바코비치의 도움으로 기록.
결국 레이나의 선제 득점을 지키지 못하며 후반 막바지 순간 집중력이 떨어졌던 수비진과 브룬 라르센에 대한 견제를 소홀히 했던 뤼르스의 실책성 플레이로 승점 1점을 추가하는데 그친 BVB는 최근 리그 3경기 연속 1:1 무승부와 함께 3연속 선제골 이후 동점 허용이라는 결말로 이어졌다. 리그 순위도 다시 8위까지 떨어지고 말았던 경기.
리그 3연속 무승부를 거두며 선두에서 멀어지고 있는 BVB는 다음 경기로 겨울 휴식기 이전 마지막 경기로 볼프스부르크 원정에 나선다.
2.15. 15라운드 vs 볼프스부르크 (원정, 1:3 승)
2024-25 분데스리가 15라운드 2024. 12. 23.(월) 01:30(UTC+9) | ||
경기장: 폭스바겐 아레나 (볼프스부르크) | ||
주심: 마티아스 옐렌베크 | ||
관중: 28,917명 | ||
1 : 3 | ||
VfL 볼프스부르크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58' 데니스 바브로 (A. 막시밀리안 아르놀트) | 25' 도니얼 말런 (A. 라미 벤세바이니) 28' 막시밀리안 바이어 (A. 율리안 브란트) 30' 율리안 브란트 (A. 막시밀리안 바이어) | |
- | 62' 파스칼 그로스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율리안 브란트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1-3-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LS 세루 기라시 | RS 막시밀리안 바이어 28' 75' 얀 코투 75'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M 제이미 기튼스 87' 카림 아데예미 87' | CM 율리안 브란트 30' 87' 조반니 레이나 87' | RM 도니얼 말런 25' 64' 발데마르 안톤 64' | }}} | |||||||||||
CDM 펠릭스 은메차 | |||||||||||||||
LB 라미 벤세바이니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엠레 잔 | RB 파스칼 그로스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얀 코투, 발데마르 안톤, 알무게라 카바르 | ||||||||||||||
MF | 조반니 레이나, 아이만 아즈힐 | ||||||||||||||
FW | 쥘리앵 뒤랑빌, 카림 아데예미 | }}} | }}}}}}}}} |
VfL 볼프스부르크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3 | ||
45% | 점유율 | 55% | |||
14 | 슈팅 | 10 | |||
5 | 유효슈팅 | 4 | |||
465 | 패스 횟수 | 488 | |||
81% | 패스 성공률 | 85% | |||
8 | 파울 | 8 | |||
3/0 | 경고/퇴장 | 2/1 | |||
0 | 오프사이드 | 1 |
캐스터 | 해설 |
박봉서 | 임형철 |
- 경기 전 예상
브란트가 주중 훈련에 참가하며 경기에 나설 가능성이 높으며 안톤 역시 로스터에 복귀한 상태. 그러나 뤼에르손과 쥘레는 여전히 경기에 나설 수 없는 상태로 알려졌다. 한편 오랜 부상에서 돌아와 TSG전 후반전에 교체 투입된 아데예미은 이번 경기에 출전이 가능하다고 알려졌다.
지난 시즌 12위에 그치며 유럽대항전 진출이 좌절된 VfL 볼프스부르크는 지난 12라운드 RB 라이프치히를 5:1로 대파하며 중상위권으로 올라섰으며 6승 3무 5패로 10위를 기록하고 있다.
볼프스부르크는 벨기에에서 모하메드 아무라를 완전 이적 조건이 포함된 임대로 영입하여 공격력을 강화하였으며 기존의 요나스 빈 또는 티아구 토마스와 출전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미드필더는 2.분데스리가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며 영입된 벤스 다르더이와 캡틴 아르놀트 및 마예르를 중심으로 꾸릴것으로 보인다. BVB에서 임대된 외즈잔은 WOB에서도 교체 자원으로 출전하고 있는 모습.
한편 라크루아의 크리스탈 팰리스 이적과 엔츠의 1.FSV 마인츠 임대로 무주공산 상태인 WOB의 수비 라인은 덴마크에서 영입된 데니스 바브로와 그리스 PAOK FC에서 영입한 콘스탄티노스 쿨리에라키스를 중심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은 편.
지난 시즌 원정 경기 8승 6무 3패의 성적에 한참 모자라는 2무 4패의 파멸적 성적을 기록하며 14라운드까지 11위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 단 1점차까지 내려앉은 BVB가 2024년 마지막 경기에서 어떠한 모습을 보일지 걱정 되는 경기.
- 경기 결과
브란트가 선수단에 합류하였으나 자비처가 근육통으로 로스터에서 제외되었기에 라인업의 큰 변화는 없었다. 여전히 쥘레와 뤼에르손이 로스터에서 제외.
코벨을 시작으로 벤세바이니-슐로터베크-엠레 잔-그로스가 4백으로 나섰으며 은메차를 뒤로 두고 바이노 기튼스-브란트-말런이 선발로 나섰다. 2톱에는 기라시와 바이어가 나섰다.(4-1-3-2)
오랫동안 골문을 지켜온 카스테일스가 사우디아라비아로 떠났으며 그에 따른 대체자로 카밀 그라바라를 영입한 VfL 볼프스부르크(이하 WOB)는 잉글랜드 사우스햄튼 FC에서 경질된 올드보이 랄프 하센휘틀 감독을 선임하였으며 하센휘틀 감독은 지난 2018년 RBL를 떠난 이후 6년만에 독일로 복귀.
14라운드까지의 경기 결과 6승 3무 5패의 전적으로 BVB를 턱 밑까지 추격하고 있는 WOB는 3-5-2로 나섰다.
골리에 그라바라를 시작으로 쿨리에라키스-바브르-피셔가 3백에 포진하였고 미드필더는 메흘레(LWB)-게르하르트(LCM)-아르놀트(CM)-스반베리(RCM)-바쿠(RWB)의 조합. 공격에는 아무라와 빈이 나섰다.
BVB는 전반 초반부터 좋은 기회를 얻었다. 말런의 크로스가 아르놀트를 지나쳐 브란트에게 연결되었으나 브란트의 슈팅은 높이 뜨고 말았다.(전반 1`) 이어서 그로스의 전진 패스를 받은 말런이 전반 8분 돌파를 시도하여 기라시에게 연결되었으나 그라바라에게 막혔다.
전반 17분에는 브란트와 바이노 기튼스로 부터 연계된 패스가 기라시에게 까지 연결되었으나 커버링을 의식한 기라시의 슈팅이 다시 높게 뜨고 말았다.
계속 WOB의 문을 두드렸던 BVB는 전반 23분 얻은 코너킥에서 벤세바이니의 코너킥이 말런에게 연결되며 선제 득점에 성공하였다. 말런보다 앞서 있던 그로스가 아르놀트를 넘어트렸고 바이어가 스크럼 상황에서 그라바라를 밀착하며 반칙의 염려가 있었으나 다행히 말런의 득점이 인정되었다.
선제 득점에 성공하며 앞서 나간 BVB는 다시 좋은 기회를 얻었다. 전반 27분 벤세바이니의 전진 패스를 쿨리에라키스의 발에 맞고 브란트에게 향했으며 이를 브란트가 다시 바이어에게 연결하며 다시 득점에 성공하였다.
전반 30분을 향해가는 시점에는 엠레 잔의 전진 패스를 받은 말런이 바이어에게 연결하였으며 바이어가 이번에는 브란트에게 연결하며 득점을 도왔다. 브란트의 팀의 세 번째 득점이 나오면서 BVB는 승기를 잡았다. 짧은 시간내에 나온 3득점.
전반 중반까지 수세에 몰렸던 WOB는 전반 33분 아르놀트의 크로스를 받은 스반베리가 헤더를 시도하였으나 코벨의 정면으로 향하면서 코벨이 막아내었다. 다시 전반 43분에는 아르놀트의 크로스를 받은 빈이 헤더를 시도하였으나 코벨과의 거리가 멀었던 관계로 타점이 흩어지며 골라인 아웃되었다. 2분이 주어졌던 전반전은 그렇게 종료.
후반, WOB 하센휘틀 감독은 선수 교체를 단행하였다. 피셔와 스반베리가 제외되고 루카스 은메차(이하 루카스)와 티아구 토마스가 투입.
후반 3분에는 빈의 패스를 바쿠가 받고 곧장 루카스에게 연결하였다. 슐로터베크가 루카스에게 끌려나왔기에 코벨과 1:1상황에 돌입하였으나 다행히 루카스의 슈팅을 코벨이 막아내었다. 대형 실책을 저지른 슐로터베크와 엠레 잔을 바라보는 코벨의 시선은 팀의 상황을 말해주었던 장면.
후반 8분에는 바이어의 슈팅이 굴절되면서 코너킥을 만들어내었으나 클리어링에 막히면서 기회를 놓쳤다.
후반 12분, 은메차의 터치 아웃으로 허용한 코너킥 상황에서 아르놀트의 킥이 바브로에게 정확히 연결되며 헤더 실점을 허용하였다. 마킹맨으로 따라 붙던 벤세바이니와 바이노 기튼스 모두 공중 경합이라도 했어야 하지만 그대로 바라보며 득점을 헌납하였다.
BVB의 실책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아 후반 15분, 엠레 잔이 마킹맨으로 빈이 붙어있었으며 역동작 상태에 있던 은메차에게 패스 하며 다시 위기가 시작되었다. 이를 빈이 커트하고 아무라에게 연결하였으며 다시 루카스에게 연결하며 대형 위기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홀로 남겨진 그로스는 루카스를 뒤늦게 따라가며 다리를 걸며 퇴장을 받고 말았다. 폭력적인 반칙은 아니었지만 코벨과 1:1의 경합 가능성이 높던 장면이기 때문. 경기장의 분위기는 급변하였으며 샤힌 감독은 곧바로 말런을 빼고 안톤을 투입하였다.
이어진 위험한 위치에서의 프리킥은 바브르의 슈팅은 은메차가 걷어내며 위기를 넘겼다.
수적 열세에 놓인 BVB는 후반 23분 브란트의 전진 패스를 받고 경합한 바이노 기튼스가 돌파에 이은 슈팅까지 시도하였으나 그라바라에게 막혔다.
후반 32분에는 수비 지역에서 브란트가 메흘레에게 공을 탈취당하면서 다시 위기를 맞이하였다. 메흘레의 크로스를 받은 토마스가 어려운 각도에서 슈팅하였으나 다행히 코벨이 각도를 좁히며 나오며 막아내며 위기를 넘겼다.
후반전 WOB의 공세는 그치지 않아 후반 38분 바쿠의 패스를 받은 아르놀트가 직접 중거리 슈팅을 날렸으나 코벨이 간신히 쳐내며 다시 위기를 넘겼다.
후반 40분을 넘어가는 시점에는 바이노 기튼스와 브란트를 빼고 아데예미와 레이나를 투입하였으며 끝내 추가 실점을 하지 않고 경기를 마무리 지으며 이번 시즌 리그 첫 원정 승리를 거두었다. 전반전 3:0의 리드를 지키기에 너무 위태로웠던 후반전의 경기 내용.
전반기 첫 원정 승리를 겨울 휴식기 전 마지막 경기에서 수확한 BVB는 리그 6위로 올라섰으며 겨울 휴식기 이후 바이어 레버쿠젠과의 리그 16라운드(H) - 홀슈타인 킬 원정(17R)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의 후반기 첫 경기(18R,A)의 일정을 이어 나간다.
2.16. 16라운드 vs 레버쿠젠 (홈, 2:3 패)
2024-25 분데스리가 16라운드 2025. 1. 11.(토) 04:3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토비아스 슈틸러 | ||
관중: 81,365명 | ||
| 2 : 3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바이어 04 레버쿠젠 | |
12' 제이미 기튼스 79' 세루 기라시 (PK) | 1' 네이선 텔러 (A. 로베르트 안드리히) 8' 파트리크 시크 (A. 피에로 잉카피에) 19' 파트리크 시크 (A. 제레미 프림퐁)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요나탄 타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1-3-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LS 세루 기라시 79' | RS 막시밀리안 바이어 78' 조반니 레이나 78'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M 제이미 기튼스 12' 78' 도니얼 말런 78' | CM 율리안 브란트 | RM 카림 아데예미 63' 쥘리앵 뒤랑빌 63' | }}} | |||||||||||
CDM 펠릭스 은메차 | |||||||||||||||
LB 알무게라 카바르 78' 마르셀 자비처 78' | LCB 야니크 뤼르스 | RCB 율리안 뤼에르손 89' 콜 캠벨 89' | RB 얀 코투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마르셀 로트카 | ||||||||||||
DF | 다비트 렐레 | ||||||||||||||
MF | 조반니 레이나, 마르셀 자비처, 키엘 베티엔, 아이만 아즈힐 | ||||||||||||||
FW | 쥘리앵 뒤랑빌, 도니얼 말런, 콜 캠벨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바이어 04 레버쿠젠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3 | ||
70% | 점유율 | 30% | |||
11 | 슈팅 | 7 | |||
5 | 유효슈팅 | 5 | |||
701 | 패스 횟수 | 300 | |||
90% | 패스 성공률 | 78% | |||
8 | 파울 | 6 | |||
1/0 | 경고/퇴장 | 2/0 | |||
2 | 오프사이드 | 3 |
캐스터 | 해설 |
이인환 | 임형철 |
- 경기 전 예상
지난 시즌 분데스리가 우승팀이며 15라운드까지 9승 5무 1패로 2위를 달리고 있는 바이어 레버쿠젠은 아담 흘로제크가 TSG 호펜하임으로 이적하였으며 오딜롱 코수누를 이탈리아 아탈란타 BC로 내주었으나 공격 자원 마르탱 테리에를 프랑스에서 영입하였으며 스페인에서는 미드필더 알레시 가르시아를 영입하며 이번 시즌에도 탄탄한 전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기존 수비 자원인 타와 잉카피에 및 탑소바의 백업 자원으로 프랑스 스타드 렌 FC에서 주누엘 벨로시앙을 영입한 상황.
겨울 휴식기를 마치고 재개된 첫 훈련에서 안톤과 자비처 및 카바르가 빠진 BVB였지만 자비처는 팀 복귀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쥘레는 여전히 2월 이전에는 복귀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더해 지난 WOB과의 15R에서 퇴장 당한 그로스 역시 이번 레버쿠젠과의 경기에 나설 수 없는 상황. 따라서 전반기에 이어 수비진과 중원을 어떻게 꾸릴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커 보이는 팀 사정을 갖고 있다.
지난 시즌 리그에서 패하지는 않았다지만 현격한 전력 차를 보이며 열세를 보였던 레버쿠젠을 상대로 승리를 거둘 수 있을지 의심되는 경기.
- 경기 결과
드 비어는 BVB에서 통산 217경기에 출전하였으며 BVB를 마지막으로 선수 생활에서 은퇴한 후 후배들을 지도하였으며 바이덴펠러의 스승으로도 유명하다. 경기 시작 전 쥐트리뷰네에 대형 걸개가 걸리며 고인의 마지막길을 함께 했다.
예전에는 1달(4주)에 가까운 겨울 휴식기가 진행되었던 분데스리가였으나 최근에는 약 3주로 휴식기가 짧아졌으며 특히 BVB는 2024년 마지막 분데스리가 경기를 갖고 2025년 처음 경기가 예정되었기에 더욱 휴식기간이 짧았다.
특히 이번 시즌에는 팀의 많은 부상자와 맞물려 이례적으로 다른 유럽 지역으로 이동하여 휴식 및 친선 경기를 갖지 않고 겨울 휴식 기간을 독일에서 보냈다.
수비 라인에서 슐로터베크와 벤세바이니까지 독감 증세와 컨디션 난조로 로스터에 합류하지 못한 BVB는 수비진 구성에 어려움을 겪었다.
코벨을 시작으로 카바르-뤼르스-뤼에르손-코투가 4백으로 나섰으며 미드필더는 은메차를 뒤로 두고 바이노 기튼스-브란트-아데예미가 나섰으며 공격은 지난 WOB전과 마찬가지로 바이어와 기라시가 나섰다.(4-1-3-2)
센터백이 전부 경기에 나설 수 없기에 뤼에르손이 처음으로 센터백으로 선발 출전(RCB)하였으며 아직 불안한 수비력을 보이는 뤼르스와 짝을 이룬 것이 특징이며 이번 경기 결장한 벤세바이니를 대신하여 레프트백으로 나선 카바르가 눈에 띤다.
지난 FC 바이에른 뮌헨에 이어 리그 2위를 달리고 있는 지난 시즌 우승팀 바이어 04 레버쿠젠(이하 LEV)은 4-4-2로 나섰다.
캡틴 흐라데츠키가 여전히 골문을 지키는 가운데 잉카피에-탑소바-타-무키엘레가 4백을 이루었으며 미드필더에는 그리말도-안드리히-자카-프림퐁이 나섰더. 공격은 텔러와 시크의 조합.
경기 시작하자마자 BVB는 불안한 수비력을 보이며 바로 실점하고 말았다. 전반전 겨우 20초가 지나가는 시점 코투의 클리어링이 탑소바에게 끊기더니 안드리히의 머리를 거쳐 곧바로 텔러에게 연결되었다. 그리고 빠른 템포로 슈팅을 시도한 텔러에게 실점하고 말았다. 불과 경기 시작 후 30초만에 나온 실점.
전반 7분에는 탑소바를 시작으로 시작된 LEV의 후방 빌드업이 오버래핑에 나선 잉카피에로 연결되며 다시 위기를 맞았다. 대인 방어 대신 어설픈 지역방어를 형성하던 수비진은 잉카피에의 크로스에 이은 시크의 돌진에 그대로 와해되며 다시 실점하고 말았다.
전반 11분에는 코투의 크로스가 안드리히의 발끝에 걸리면서 기회를 무산되는 듯 하였으나 바이노 기튼스에게 향하면서 행운이 섞인 득점을 기록하였다. 그렇게 전반 10여분만에 세 골이 나오며 경기장은 어수선해졌다.
그러나 전반 18분 중앙과 왼쪽을 넘나들며 활동하던 그리말도를 시작으로 프림퐁에게 연결되고 다시 간결한 크로스에 이은 시크의 돌진으로 다시 실점을 하고 말았다. 전문 센터백이 아니라지만 집중력을 보이지 못했던 뤼에르손의 책임이 큰 실점.
3:1로 앞서 나가면서 여유를 찾은 사비 감독은 LEV의 전략적 후퇴를 진행하였다. 이에 경기는 BVB의 어설픈 점유율 축구로 이어졌다. 중앙 미드필더 자리에 안드리히와 자카를 배치한 LEV는 탑소바와 타의 강력한 수비력으로 방어에 나섰으며 BVB의 공격을 차단한 이후에는 3-4-3으로의 빠른 전환을 통해 다시 BVB의 골문을 위협하였다.
전반 27분에는 뤼에르손의 전전 패스를 받은 은메차가 페널티 박스 밖에서 슈팅하였으나 흐라데츠키의 왼쪽으로 벗어났다.
1분 후에는 바이어의 패스를 받은 기라시의 슈팅이 있었으나 흐라데츠키의 정면으로 향하면서 기회를 놓쳤다.
전반 40분이 넘어거는 시점에는 기라시의 패스를 받은 브란트가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타의 블럭에 다시 막혔다. 이를 다시 받은 아데예미가 슈팅하였으나 이번에는 흐라데츠키에게 막혔다.
전반 46분이 넘어서는 시점에는 바이노 기튼스가 내어준 코너킥 상황에서 바이어가 시크를 넘어트리며 페널티 킥이 염려되었으나 다행히 그대로 경기가 진행되며 위기를 넘겼다. 그렇게 전반전은 종료되었으며 항의를 지속하던 시크는 경고를 받았다.
후반 8분에는 코투의 패스를 받은 바이어가 브란트에게 연결하고 달려들던 아데예미가 슈팅하였으나 공에 힘이 실리지 못하면서 다시 흐라데츠키에게 막혔다.
후반 15`, 브란트가 안드리히와 텔러의 협력수비로 공을 탈취 당하고 LEV의 역습 상황에서 프림퐁의 크로스에 이은 시크의 슈팅이 나왔으나 코벨이 어렵게 막아냈다. 이미 쉽사리 두 골을 실점한 상황이기에 시크에게 해트트릭을 내어주지 않은 것에 안도해야 하는 처지.
이어 이번 경기에서 부진한 활약을 보인 아데예미 대신 뒤랑빌이 투입되었다.(후반 16분)
후반 24분에는 뤼르스의 전진 패스를 받은 바이어의 슈팅이 있었으나 흐라데츠키의 오른쪽으로 빗나갔다.
후반 29분에는 중원의 혼전 상황에서 공을 잡은 은메차가 장거리 로빙패스를 시도하며 기회를 얻었다. 뒤랑빌이 돌파를 시도하였으나 탑소바와 잉카피에에 저지되며 기회가 무산되는 듯 하였으나 비디오 판독결과 탑소바의 손이 뒤랑빌의 얼굴을 가격하였다는 판정이 내려지며 페널티 킥을 얻어내었다. 이를 기라시가 성공하며 2:3으로 추격.
2:3으로 추격하며 실마리를 얻게된 누리 샤힌 감독은 자비처와 레이나 및 말런을 카바르,바이어 및 바이노 기튼스 대신 투입하였다.
그러나 탑소바와 타를 중심으로 다시 4-5-1로 단단히 수비 대형을 갖춘 LEV의 골문은 더이상 열리지 않았으며 추가 시간 5분까지 주어졌으나 별다른 공격을 펼치지 못하고 경기가 종료되었다. 2:3 레버쿠젠의 승리.
수비진이 붕괴되었기에 출발부터 불안하였던 BVB는 전반 20분이 되기전 3실점을 기록하였며 의도적으로 점유율을 내어주며 선수비 후역습을 선택한 레버쿠젠에 변변치 않던 공격력으로 대항하였다. 중원에서의 부족한 조직력을 선보이며 수 많은 탈취를 당하였으며 공격 작업에도 섬세하지 못했기에 패배는 당연한 결과.
겨울 휴식기 이후 첫 경기에서 패배한 BVB는 다음 일정으로 홀슈타인 킬과의 분데스리가 첫 맞대결에 이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의 후반기 첫 경기 그리고 이탈리아 볼로냐 FC와의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7차전으로 이어지는 원정 3연전을 갖는다.
짧게 마무리된 겨울 휴식기와 많은 부상자로 수비진 구성에 여전한 어려움이 예상되는 가운데 누리 샤힌 감독은 본격적 어려움에 놓이게 되었다.
2.17. 17라운드 vs 킬 (원정, 4:2 패)
2024-25 분데스리가 17라운드 2025. 1. 15.(수) 02:30(UTC+9) | |||
경기장: 홀슈타인 슈타디온 (킬) | |||
주심: 마르틴 페테르센 | |||
관중: 15,034명 | |||
4 : 2 | |||
홀슈타인 킬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27' 마치노 슈토 (A. 알렉산데르 베르하르드손) 32' 필 하레스 (A. 라센 로젠봄) 45+4' 알렉산데르 베르하르드손 (A. 필 하레스) 90+8' 얀피테 아르프 | 71' 조반니 레이나 (A. 발데마르 안톤) 77' 제이미 기튼스 | ||
<rowcolor=#000> 86' 루이스 홀트비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알렉산데르 베른하르드손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1-4-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ST 세루 기라시 | ||||||||||||||
LM 제이미 기튼스 77' | LCM 율리안 브란트 | RCM 마르셀 자비처 59' 조반니 레이나 71' 59' | RM 쥘리앵 뒤랑빌 59' 얀 코투 59' | ||||||||||||
CDM 펠릭스 은메차 | |||||||||||||||
LB 라미 벤세바이니 46' 막시밀리안 바이어 46'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엠레 잔 | RB 율리안 뤼에르손 46' 발데마르 안톤 46'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얀 코투, 발데마르 안톤, 알무게라 카바르, 야니크 뤼르스 | ||||||||||||||
MF | 조반니 레이나, 키엘 베티엔 | ||||||||||||||
FW | 막시밀리안 바이어, 콜 캠벨 | }}} | }}}}}}}}} |
홀슈타인 킬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2 | ||
30% | 점유율 | 70% | |||
11 | 슈팅 | 16 | |||
7 | 유효슈팅 | 4 | |||
208 | 패스 횟수 | 637 | |||
65% | 패스 성공률 | 89% | |||
13 | 파울 | 11 | |||
2/1 | 경고/퇴장 | 2/0 | |||
0 | 오프사이드 | 2 |
캐스터 | 해설 |
김태범 | 김민구 |
- 경기 전 예상
1900년 창단된 홀슈타인 킬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에 위치한 킬을 연고로 하는 클럽이며 분데스리가 맞대결은 처음이나 DFB-포칼에서는 2번[4] 상대한 전적이 있다.
홀슈타인 킬은 막스 게슈빌-마르코 이베지치-마르빈 슐츠 또는 티모 베커 등이 수비진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되며 미드필더에는 캡틴 루이스 홀트비를 중심으로 망누스 크누센 및 아르민 기고비치의 출전이 유력한 상황. 좌우 미드필더로는 핀 포라트와 라세 로젠봄등이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공격은 팀의 주포 필 하레스와 마치노 슈토의 선발 가능성이 높은 편. 골문은 티몬 바이너가 지킬 것으로 보인다.
BVB는 슐로터베크의 복귀 여부가 확정되지 않았으며 벤세바이니는 팀 훈련에 복귀한 상태.
이에 벤세바이니의 센터백 투입과 함께 뤼르스 또는 은메차의 센터백 투입 가능성이 있으며 그로스는 2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기에 이번 경기에도 출전할 수 없다. 따라서 뤼에르손이 왼쪽으로 이동, 코투와 좌우 풀백으로 투입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아무래도 카바르의 경기력이 너무 좋지 않았기 때문.
전반기 마지막 경기에서 어떠한 경기력을 보일지 걱정이 되는 경기.
- 경기 결과
지난 경기 독감 증세로 결장한 슐로터베크가 돌아와 엠레 잔과 센터백을 이루었고 벤세바이니와 뤼에르손이 풀백으로 나섰다. 이에 따라 지난 LEV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였던 뤼르스와 카바르는 다시 벤치로 돌아갔다.
미드필더는 은메차를 뒤로 두고 바이노 기튼스-브란트-자비처-뒤랑빌이 선발로 나섰다. 원톱은 기라시이며 골리는 코벨.
험난한 분데스리가 데뷔 시즌을 보내고 있는 홀슈타인 킬(이하 KSV)은 3-4-2-1로 나섰다.
바이너가 골문을 지켰고 3백은 코멘다-제츠-베커가 나섰으며 미드필더에는 포라트-크누센-렘베르크-로젠붐이 선발로 출전하였으며 공격은 마치노와 베르하르드손의 위로 하레스가 원톱으로 나섰다.
전반 초반부터 홀슈타인 슈타디온에 하얀 홍염이 터지면서 경기가 중단되었다. 이후 재개된 전반 3분에는 KSV의 클리어링을 받아낸 바이노 기튼스가 터닝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바이너의 오른쪽으로 빗나갔다.
전반 10분에는 은메차를 기점으로 브란트의 패스를 받은 기라시의 슈팅이 나왔으나 바이너에게 막혔다. 이어진 코너킥 상황은 베커가 브란트의 코너킥을 클리어링하며 기회가 무산되었다. 이어 전반 17분에는 뤼에르손의 전진 패스를 받은 뒤랑빌이 슈팅하였으나 바이너와는 거리가 멀었던 관계로 바이노가 어렵지 않게 막아내었다.
전반 26분, KSV의 클리어링이 BVB의 진영으로 넘어오며 얻은 스로인 상황에서 벤세바이니의 스로인이 브란트에게 연결되며 위기가 찾아왔다. 브란트와 경합하던 베르하르드손이 돌진하며 브란트의 공을 탈취하고 그대로 역습에 나섰다. 이는 결국 하레스를 거쳐 마치노의 선제 득점으로 연결되었으며 점유율 75%를 앞세우던 BVB는 역습 한번에 무너져내렸다. 브란트의 집중력 부재가 이러한 크나큰 나비 효과를 가져왔다.
약 3분 후 전반 30분을 넘어선 시점에는 베르하르드손의 크로스가 브란트에 맞고 다시 베르하르드손에게 연결되더니 이어 크누센을 거처 로젠붐에게 연결되고 다시 로젠붐의 간결한 크로스에 이은 하레스의 헤더가 나오면서 다시 실점하였다. 슐로터베크와 엠레 잔까지 조금은 높았던 위치였으며 뒤늦게 커버에 나선 엠레 잔이 하레스의 돌진을 막지 못하며 0:2의 상황을 초래하였다.
전반 중반 2번의 득점으로 기세를 회복한 KSV는 전반 35`, 마치노의 패스를 받은 포라트가 중거리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코벨의 앞에 원바운드되며 위기를 넘겼다.
은메차를 중심으로 경기를 풀어가려하였으나 렘베르크와 크누센의 집중 마크에 고전하였으며 여전히 자비처와 브란트의 턴오버가 나오면서 점유율은 우위에 있었으나 공격 작업은 원활히 돌아가지 않았던 전반전.
전반 40분을 넘어가는 시점에는 뒤랑빌이 공을 탈취 당하고 뒤늦게 수비에 나서다 마치노의 유니폼을 잡아당기며 경고를 받기도 하였다. 총체적 난맥상.
홍염으로 추가 시간 4분이 주어졌던 전반 48분에는 포라트의 전진 패스가 크누센에게 연결되더니 다시 하레스를 거쳐 베르하르드손에게 연결되며 다시 실점하고 말았다. 역습 상황에서 많은 인원이 한 지점에 몰렸으며 홀로 남겨진 엠레 잔과 슐로터베크는 망연자실히 실점하는 순간을 바라봐야 했다. 그렇게 전반전은 어설픈 공격을 보인 댓가로 KSV의 카운터에 무너져 내리며 종료.
후반, 뤼에르손과 벤세바이니가 안톤과 바이어로 교체되었다. 후반전 역시 전반전 시작과 마찬가지로 홍염으로 경기가 중단되었으며 약 4분 후 경기가 속개되었다.
후반 13분, 로젠붐의 클리어링을 브란트가 달려들면 탈취하고 기라시에게 연결하며 기회를 얻었다. 그러나 기라시의 슈팅은 각도가 좁았던 탓에 옆 그물로 향하고 말았다. 그리고 이번 경기 브란트와 더불어 부진한 활약을 보인 자비처와 뒤랑빌이 레이나와 코투로 교체되었다.
후반 17분에는 KSV 크누센의 빈칙으로 얻어낸 프리킥 상황에서 브란트의 프리킥이 나왔으나 제츠가 걷어내면서 다시 기회를 놓쳤다.
후반 25`, 렘베르크의 클리어링을 뒤에 있던 안톤의 위험한 자세로 트래핑하고 어렵사리 레이나에게 연결하고 이를 레이나가 중거리 슈팅에 성공하며 뒤늦은 만회골을 터트렸다.
후반 31분에는 베커의 클리어링을 슐로터베크가 몸을 날려 살려내고 다시 바이어를 거쳐 바이노 기튼스에게 연결하였다. 그리고 바이노 기튼스가 어려운 각도에서 득점에 성공하며 2:3으로 추격하였다. 로젠붐의 몸에 닿았으나 그대로 바이노 기튼스의 득점으로 인정.
후반 40분에는 교체 투입된 KSV 캡틴 홀트비가 은메차를 향해 양발 태클을 가하며 퇴장당하며 BVB는 다시 기회를 얻었다.
후반 42`, 안토의 패스를 받은 레이나의 크로스가 공격에 나선 슐로터베크의 머리에 닿았으나 바이너의 앞에 원바운드되며 힘을 잃으며 바이너에게 막혔다. 이어 후반 46분에는 바이노 기튼스의 패스를 받은 안톤이 페널티 박스 밖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빗나가며 위기를 놓쳤다.
홍염으로 6분의 추가 시간이 주어졌던 후반 52분에는 제츠의 터치 아웃으로 만들어낸 코너킥 상황에서 코벨까지 골문을 비우며 공격에 나섰다. 그러나 경합 상황에서 원바운드된 공은 교체 투입된 아르프에게 떨어졌고 이를 아르프가 쇄도에 이은 슈팅으로 마무리 지으며 다시 실점하고 말았다. 그렇게 경기는 종료.
원활하지 못하였던 공격 작업에 더해 브란트와 자비처를 중심으로 수많이 발생하였던 턴오버 및 그에 따른 역습 허용과 붕괴된 수비진으로 인한 실점이라는 요즘 많이 볼 수 있었던 패턴이 이어졌으며 결국 홀슈타인 킬에게 시즌 3승째를 선사하고 말았다.
결국 KSV와의 원정 경기 참패로 전반기를 마감한 BVB는 전반기 원정 경기 성적 1승 2무 5패(10득점, 18실점)를 기록하였으며 익일 펼쳐진 17R에서 승점을 추가한 SV 베르더 브레멘에게 9위 자리를 내어주고 10위까지 추락하였다. 합산 성적은 7승 4무 6패로 승점 25점에 불과하며 32득점 29실점으로 GD +3.
킬 원정에서 패배한 BVB는 다음 경기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 18라운드 원정 경기를 가지며 이후 경기 역시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7차전 볼로냐 FC와의 이탈리아 원정 경기.
한편 전반기를 마감한 2024/25 시즌 분데스리가 전반기 성적 및 판도는 다음과 같다.
선두는 FC 바이에른 뮌헨이 달리고 있는 가운데 바이어 04 레버쿠젠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가 추격하는 양상.
1위 = BAY (13승 3무 1패 승점 42), GF 53 - GA 13, GD +40
2위 = LEV (11승 5무 1패 승점 38), GF 41 - GA 23, GD +18
3위 = SGE (10승 3무 4패 승점 33), GF 40 - GA 24, GD +16
4위는 RB 라이프치히가 차지하고 있으며 VfB 슈투르가르트와 1.FSV 마인츠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이어 VfL 볼프스부르크와 SC 프라이부르크의 순서로 순위가 이어지며 11위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까지는 승점차가 크지 않은 상황.2위 = LEV (11승 5무 1패 승점 38), GF 41 - GA 23, GD +18
3위 = SGE (10승 3무 4패 승점 33), GF 40 - GA 24, GD +16
4위 = RBL (9승 3무 5패 승점 30), GF 29 - GA 24, GD +5
5위 = VFB (8승 5무 4패 승점 29), GF 32 - GA 26, GD +6
6위 = M05 (8승 4무 5패 승점 28), GF 30 - GA 21, GD +9
7위 = WOB (8승 3무 6패 승점 27), GF 38 - GA 29, GD +9
8위 = SCF (8승 3무 6패 승점 27), GF 25 - GA 30, GD -5
9위 = SVW (7승 5무 5패 승점 26), GF 31 - GA 32, GD -1
10위 = BVB (7승 4무 6패 승점 25), GF 32 - GA 29, GD +3
11위 = BMG (7승 3무 7패 승점 24), GF 26 - GA 26, GD 0
중하위권에는 FC 아우크스부르크부터 이번 시즌 최악의 부진을 거듭하고 있는 VfL 보훔까지 이어지며 승격 팀 FC 장크트파울리는 14위, 홀슈타인 킬은 17위에 있다. 지난 시즌 8위에 오르며 유럽대항전에 진출한 1.FC 하이덴하임은 15위로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겨울 휴식기에 사령탑을 슈테판 바움가르트로 교체한 1.FC 우니온 베를린은 13위에 위치하고 있다. 5위 = VFB (8승 5무 4패 승점 29), GF 32 - GA 26, GD +6
6위 = M05 (8승 4무 5패 승점 28), GF 30 - GA 21, GD +9
7위 = WOB (8승 3무 6패 승점 27), GF 38 - GA 29, GD +9
8위 = SCF (8승 3무 6패 승점 27), GF 25 - GA 30, GD -5
9위 = SVW (7승 5무 5패 승점 26), GF 31 - GA 32, GD -1
10위 = BVB (7승 4무 6패 승점 25), GF 32 - GA 29, GD +3
11위 = BMG (7승 3무 7패 승점 24), GF 26 - GA 26, GD 0
12위 = FCA (5승 4무 8패 승점 19), GF 19 - GA 33, GD -14
13위 = FCU (4승 5무 8패 승점 17), GF 14 - GA 23, GD -9
14위 = STP (4승 2무 11패 승점 14), GF 12 - GA 21, GD -9
15위 = HDH (4승 2무 11패 승점 14), GF 23 - GA 36, GD -13
16위 = TSG (3승 5무 9패 승점 14), GF 20 - GA 34, GD -14
17위 = KSV (3승 2무 12패 승점 11), GF 25 - GA 43, GD -18
18위 = BOC (2승 3무 12패 승점 9), GF 14 - GA 37, GD -23
13위 = FCU (4승 5무 8패 승점 17), GF 14 - GA 23, GD -9
14위 = STP (4승 2무 11패 승점 14), GF 12 - GA 21, GD -9
15위 = HDH (4승 2무 11패 승점 14), GF 23 - GA 36, GD -13
16위 = TSG (3승 5무 9패 승점 14), GF 20 - GA 34, GD -14
17위 = KSV (3승 2무 12패 승점 11), GF 25 - GA 43, GD -18
18위 = BOC (2승 3무 12패 승점 9), GF 14 - GA 37, GD -23
3. 후반기
3.1. 18라운드 vs 프랑크푸르트 (원정, 2:0 패)
2024-25 분데스리가 18라운드 2025. 1. 18.(토) 04:30(UTC+9) | |||
경기장: 도이체 방크 파르크 (프랑크푸르트) | |||
주심: 다니엘 슐라거 | |||
관중: 58,000명 | |||
2 : 0 |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18' 위고 에키티케 (A. 라스무스 크리스텐센) 90+2' 오스카르 호일룬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마리오 괴체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1-4-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ST 세루 기라시 | ||||||||||||||
LM 제이미 기튼스 | LCM 펠릭스 은메차 72' 막시밀리안 바이어 72' | RCM 파스칼 그로스 | RM 율리안 브란트 71' 카림 아데예미 71' | ||||||||||||
CDM 엠레 잔 | |||||||||||||||
LB 라미 벤세바이니 46' 얀 코투 46'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발데마르 안톤 | RB 율리안 뤼에르손 87' 조반니 레이나 87'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얀 코투, 알무게라 카바르 | ||||||||||||||
MF | 조반니 레이나, 마르셀 자비처 | ||||||||||||||
FW | 막시밀리안 바이어, 쥘리앵 뒤랑빌, 카림 아데예미, 콜 캠벨 | }}} | }}}}}}}}}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0 | ||
37% | 점유율 | 63% | |||
13 | 슈팅 | 13 | |||
5 | 유효슈팅 | 3 | |||
344 | 패스 횟수 | 703 | |||
77% | 패스 성공률 | 89% | |||
7 | 파울 | 5 | |||
0/0 | 경고/퇴장 | 2/0 | |||
1 | 오프사이드 | 0 |
캐스터 | 해설 |
박봉서 | 김환 |
- 경기 전 예상
지난 홀슈타인 킬과의 경기에서 슐로터베크와 안톤이 돌아왔으며 2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받은 그로스 및 KSV전 결장한 아데예미는 훈련에 복귀하였으나 여전히 부상자가 존재하며 뤼에르손은 훈련에 참가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분데스리가 전반기를 3위로 마감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는 유로파 리그 리그 페이즈에서 4승 1무 1패로 순항 중이며 테아테-코흐-투타로 이어지는 견고한 3백을 바탕으로 안정적 경기 운영을 보이고 있다.
또한 빠른 기동력과 마무리 능력을 선보이며 이번 시즌 좋은 활약을 보이고 있는 마르무시와 에키티케의 조합도 위력을 높이고 있는 상황. 미드필더로는 샤이비와 라르손 및 스키리를 중심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 한편 전반기 프랑크푸르트의 공격을 책임졌던 마르무시는 최근 맨체스터 시티 FC로의 이적이 가까워지며 결장의 가능성이 있다.
전반기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중위권으로 추락한 BVB가 원정 경기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을지 의심스러운 경기.
- 경기 결과
KSV와의 경기 전후 도니얼 말런이 겨울 이적 시장에서 잉글랜드로 이적하였기에 공격력에 대한 고민이 늘어난 팀의 상황.
지난 2021/22 시즌부터 합류한 말런은 BVB에서 132경기[6]에 출전하였으며 통산 39골, 20어시스트[7]의 기록을 남기고 아스톤 빌라 FC로 이적하였다.
프랑크푸르트 원정에 나선 BVB는 4-1-4-1을 내세웠다. 코벨을 시작으로 벤세바이니-슐로터베크-안톤-뤼에르손이 4백으로 나섰으며 엠레 잔(CDM)을 뒤로 두고 바이노 기튼스-은메차-그로스-브란트가 2선에 나섰다. 원톱은 기라시.
전반기를 10승 3무 4패, 3위로 마감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이하 SGE)는 3-4-2-1로 나섰다.
트랍을 시작으로 테아테-코흐-콜린스가 3백으로 나섰으며 3선에는 브라운-라르손-스키리-크리스텐센이 출전하였다. 공격은 크나우프와 괴체의 위로 에키티케가 자리잡았다.
잉글랜드 이적설이 돌고 있는 마르무시가 라인업에서 제외되었으며 투타 대신 콜린스가 선발로 나선 것이 라인업의 변동 상황.
전반 8`, 안톤의 전진 패스를 받은 뤼에르손이 기라시에게 연결하였으나 크리스텐센과 경합하던 기라시의 헤더는 트랍의 오른쪽을 지나 골대에 맞고 나오고 말았다. 무척 아쉬웠던 순간.
이어 전반 17분에는 크리스텐센과 에키티케의 2:1패스에 왼쪽 라인이 무너지며 크리스텐센의 돌파에 이은 에키티케의 마무리로 실점하고 말았다. 슐로터베크가 필요 이상 전진하였으며 백업에 나선 벤세바이니와 안톤까지 에키티케와 브라운의 쇄도를 막지 못해 벌이진 일.
실점한 BVB는 전반 21분 브란트의 패스가 스키리에게 탈취당하며 다시 위기를 맞았다. 이어 괴체의 전진 드리블을 이어받은 크나우프가 안톤과 벤세바이니를 따돌리고 터닝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다행히 골대를 맞고 튀어나왔다. 실점하였다면 경기 향방이 SGE에 크게 기우는 상황이었기에 안도의 한숨을 쓸어내렸다. 전반 28분에는 스키리의 전진 패스를 받은 에키티케가 BVB의 오른쪽 라인을 파고들며 슈팅하였으나 코벨이 막아내며 다시 위기를 넘겼다.
전반 중후반을 넘어서는 전략적 후퇴를 진행한 SGE였기에 BVB는 점유율 우위를 보이며 공격에 나섰다.
그러나 바이노 기튼스와 벤세바이니를 축으로 하는 왼쪽 체인 공격을 주된 공격 루트로 진행한 BVB는 바이노 기튼스의 맨투맨 마커로 나선 콜린스에 저지당하면서 공격 작업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바이노 기튼스에게 공이 공급되는 사이 여러 명에 둘러 쌓이고 이를 타개하는 데 어려움을 겪던 상황. 은메차 역시 스키리와 라르손의 협력 수비에 포위되며 중원에서의 활약을 보이지 못하였다. 그로스도 카르스텐센과 괴체에 봉쇄된 경기의 양상.
전반 34분에는 은메차의 스루 패스를 받은 안톤이 페널티 박스 밖에서 슈팅하였으나 거리가 멀었던 관계로 트랍에게 막혔다. 이어 전반 44분에는 브라운의 전진 패스를 받은 크나우프가 테아테에게 공을 연결하며 위기를 맞았으나 테아테의 슈팅은 높이 뜨며 위기를 넘겼다.
전반전 초반에 나온 기라시의 헤더를 제외하고 유효한 슈팅이 나오지 못하는 상황에서 전반전이 종료.
후반전에는 벤세바이니 대신 코투가 투입되었다. 이에 뤼에르손이 왼쪽으로 이동하며 바이노 기튼스와 왼쪽 체인을 형성하였고 코투는 오른쪽에서 뤼에르손에 비해 조금 더 높은 위치에 자리 잡았다. 아무래도 뤼에르손 보다는 공격력이 좋기 때문.
후반 3분, 스로인 이후 브란트와 2:1패스를 주고 받던 코투의 돌파에 이은 슈팅이 나왔으나 트랍의 다리 아래로 향하면서 트랍이 막아내었다. 바로 이어진 상황에서는 라르손의 전진 패스를 브라운이 받고 다시 에키티케에게 연결하며 위기를 맞았으나 다소 먼 거리에서 슈팅한 에키티케의 슈팅은 코벨이 막아내었다.
후반 12분에는 스크럼 상황에서 안톤이 공을 지켜내고 그로스에게 연결하며 기회를 얻었다. 이를 다시 받은 바이노 기튼스가 페인트에 이은 슈팅을 하였으나 이미 SGE 코흐와 콜린스가 자리를 잡은 상황이었으며 각도가 열리지 않는 공간이었기에 다시 트랍에게 막혔다.
후반 13분에는 엠레 잔이 괴체에게 공을 탈취당하고 이어 크리스텐센의 크로스가 나오면서 위기를 맞았으나 코벨이 재빨리 각도를 좁히며 나서며 막아냈다. 여전히 점유율은 높았으나 파이널 서드 진입에 어려움을 겪던 BVB는 후반 25분을 넘어서는 시점 공격력을 강화하기 위해 아데예미와 바이어가 브란트와 은메차 대신 투입되었다. 이에 맞서 SGE는 투타와 호일룬을 크리스텐센과 라르손 대신 투입하였다.
후반 30분을 향해가는 시점에는 에키티케의 패스를 막으려던 엠레 잔이 경고를 받았으며 기라시도 1분 후 경고를 받았다.
후반 36분에는 크나우프의 패스를 받은 스키리가 중거리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거리가 멀었기에 코벨이 막아내었다. 이어 후반 37분에는 기라시가 머리로 떨궈낸 사이 아데예미가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테아테의 블럭에 막혔다.
후반 44분에는 코투의 돌파에 이어 공을 받은 아데예미가 슈팅하였으나 트랍의 정면으로 향하면서 막혔다.
경기의 결정적 장면은 후반 46분에 나왔다. 하프 라인에서 경합하던 상황에서 테아테의 헤더를 받은 잔 우준과 호일룬이 엠레 잔과의 경합에서 이기고 바호야에게 연결하면서 수비진이 붕괴되었다. 이를 슐로터베크가 다리를 뻗으며 막아내려 하였으나 호일룬은 재차 돌파를 시도하며 코벨과 1:1의 상황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오프사이드의 위치에 있던 바호야 대신 호일룬이 직접 해결에 나서면서 두 번째 실점을 하였다.
이후 5분의 추가 시간이 주어졌지만 여전히 무기력한 공격력을 보이며 0:2의 패배를 기록하였다.
선발로 출전하였던 브란트가 여전히 많은 턴오버를 기록하였으며 토프묄러 감독의 3백을 파훼하지 못하였던 경기. 은메차와 그로스마저 SGE의 중원에 집중 마크 당하면서 기라시에 공이 공급되긴 어려웠던 경기의 양상이었다. 말런의 이적과 잔부상에 시달리는 아데예미를 대신하며 주전으로 올라선 바이노 기튼스의 템포 조절 능력과 판단력이 개선되기를 바래야 하는 처지에 놓인 BVB.
바이어 레버쿠젠과 홀슈타인 킬에 이어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 무기력하게 패배한 BVB는 2017/18 시즌 10라운드부터 하노버96 - FC 바이에른 뮌헨 - VfB 슈투트가르트로 이어지는 3연패 이후 7년 2개월 여만에 리그 3연속 패배를 기록하였다.
다음 경기는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7차전 볼로냐 FC와의 원정이며 이어 SV 베르더 브레멘과의 리그 19라운드(H),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와의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마지막 경기(H)로 이어진다.
3.2. 19라운드 vs 베르더 브레멘 (홈, 2:2 무)
2024-25 분데스리가 19라운드 2025. 1. 25.(토) 23:3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크리스티안 딩게르트 | ||
관중: 81,365명 | ||
| 2 : 2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SV 베르더 브레멘 | |
28' 세루 기라시 (A. 율리안 브란트) 51' 마르코 프리들 (OG) | 65' 레오나르두 비텡쿠르 (A. 밀로시 벨코비치) 72' 마르빈 두크슈 (A. 옌스 스타게) | |
<rowcolor=#000> 21' 니코 슐로터베크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레오나르두 비텡쿠르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ST 세루 기라시 28'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M 제이미 기튼스 61' 막시밀리안 바이어 61' | CAM 율리안 브란트 77' 발데마르 안톤 77' | RM 카림 아데예미 61' 쥘리앵 뒤랑빌 61' | }}} | |||||||||||
LDM 펠릭스 은메차 12' 마르셀 자비처 12' | RDM 파스칼 그로스 | ||||||||||||||
LB 라미 벤세바이니 | LCB 니코 슐로터베크 | RCB 엠레 잔 | RB 율리안 뤼에르손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얀 코투, 발데마르 안톤 | ||||||||||||||
MF | 조반니 레이나, 마르셀 자비처, 키엘 베티엔 | ||||||||||||||
FW | 막시밀리안 바이어, 쥘리앵 뒤랑빌, 콜 캠벨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SV 베르더 브레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2 | ||
49% | 점유율 | 51% | |||
8 | 슈팅 | 14 | |||
4 | 유효슈팅 | 6 | |||
374 | 패스 횟수 | 450 | |||
79% | 패스 성공률 | 84% | |||
11 | 파울 | 15 | |||
1/1 | 경고/퇴장 | /0 | |||
4 | 오프사이드 | 5 |
- 경기 전 예상
패전 이후 독일로 돌아온 BVB는 U-19 팀을 이끌던 마이크 툴베르에게 임시 지휘를 맡겼다. SV 베르더 브레멘전 임시 감독 <마이크 툴베르> 발표 이에 따라 이번 경기는 툴베르가 팀을 지휘할 예정.
또한 BVB 리저브 팀에서 선수 생활을 마감한 1998년생의 젊은 코치 파트리크 프릿치(Patrick Fritsch)는 BVB의 U-19 팀 보조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 바 있는데 이번 경기에서 임시 감독을 맡은 툴베르를 따라 1군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툴베르의 어시스트 코치로 나서는 파트리크 프릿치
분데스리가 18라운드까지 승점 26점을 획득하며 9위에 올라있는 SV 베르더 브레멘은 전반기 FC 바이에른 뮌헨과 SC 프라이부르크,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및 RB 라이프치히 등 리그 상위권에 올라있는 상대에게 패하였으나 무너지지 않는 경기력을 보이며 중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SVW는 겨울 이적 시장 팀의 골칫거리였던 나비 케이타를 헝가리 페렌츠바로시 TC로 임대 보냈으며 올리비에 드망을 벨기에 로열 앤트워프 FC로 완전 이적 조건이 있는 임대를 보냈으나 맨체스터 시티 FC에서 기회를 받지 못하는 이사 카보레를 임대 영입한 상태.
겨울 휴식기 이후 파멸적 4연패를 기록하며 무너져 가고 있는 팀의 상황을 타개할 수 있을지 걱정이 되는 경기.
- 알려진 내부 갈등과 향후 감독 선임 및 라르스 리켄
오랫동안 단장을 맡아온 미하엘 초어크의 뒤를 이어 팀의 단장 자리에 오른 제바스티안 켈과 지난 시즌 말 기술이사로 선임된 스벤 미슬린타트간의 갈등이 그 단초로 지난 2024년 4월 다시 BVB의 기술이사로 선임된 미슬란타트는 부임 직후 발데마르 안톤과 파스칼 그로스의 영입 작업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선수 영입과 방출에 관련 권한을 넘는 행위를 한 미슬린타트에 제바스티안 켈 단장은 크게 불만을 가진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세루 기라시의 BVB 이적 작업에서 미슬린타트의 인맥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울리 쉬얼레(Uli Schiele)라는 아스날 FC와 VfB 슈투트가르트 시절을 함께했던 미슬린타트측 인사가 기라시의 이적에 결정적 역할을 하면서 제바스티안 켈 단장과 미슬린타트 기술이사 사이의 갈등과 불화는 루어 나흐리히텐(Ruhr Nachrichten)등 지역 유력지를 중심으로 보도되기 시작하였다.
제바스티안 켈 단장은 지난 2023/24 시즌 종료 후 얀 코투와 막시밀리안 바이어의 영입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두 자원이 이번 시즌 부진한 활약을 보이며 둘 사이는 크게 멀어졌으며 미슬린타트 기술이사는 제바스티안 켈 단장의 자리를 대체하기를 내심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갈등이 발생함에 따라 클럽의 고문役 마티아스 자머와 스포츠 전임 전무 이사 라르스 리켄 및 CEO 겸 인사/재무부문 최고책임자 한스요하임 바츠케 등은 둘 사이의 중재에 나서야 했다.
한편, 지난 시즌 수석 코치를 거쳐 이번 시즌 정식 감독으로 취임하였던 누리 샤힌 감독은 튀르키예의 페르디 카디올루를 강력히 원하였으나 카디올루를 비싸게 파려는 페네르바흐체 SK 였기에 결국 카디올루의 영입은 실패로 돌아갔으며 이후 제바스티안 켈 단장과 조금 서먹한 관계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재정전문가이며 지난 2005년부터 클럽의 최고경영자의 위치에 있는 한스요아힘 바츠케는 이번 시즌 선수의 이적과 협상과 관련 별 다른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이유는 이번 시즌부터 클럽의 스포츠부분 전임 전무(Ehemaliger Geschäftsführer der Sportabteilung)로 임명된 라르스 리켄이 기존 바츠케 CEO의 역할을 대체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수단의 운영과 선수 영입 관련된 문제에서 최고의사결정자로 올라선 라르스 리켄은 전술한 제바스티안 켈 단장과 미슬린타트 기술이사 사이에서 중립을 유지하였으나 둘 사이의 갈등은 깊어졌으며 지난 볼로냐 FC와의 챔피언스 리그 경기에서 패배한 책임을 물어 누리 샤힌 감독을 경질하였다.
한편 누리 샤힌 감독의 후임으로는 FC 바이에른 뮌헨과 VfL 볼프스부르크를 이끌었던 니코 코바치, 아약스 AFC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를 지도하였던 에릭 텐하흐, PSV 에인트호번과 벤피카 SL을 이끌었던 로저 슈미트, 스위스 FC 바젤의 감독을 역임하였으며 1.FC 우니온 베를린의 1.분데스리가 승격과 챔피언스 리그 진출을 이끈 우르스 피셔 등이 물망에 올라있다.
그러나 시즌 중도 합류에 난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에릭 텐하흐이며 니코 코바치는 단기(2024/25 시즌 종료까지)감독 선임에 의향을 밝혔지만 라르스 리켄은 여러 후보를 물색하고 있는 상황.
따라서 이번 SV 베르더 브레멘전에 이어 다음 주중 경기로 펼쳐지는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마지막 경기 이전에는 감독이 결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임시 감독을 맡은 마이크 툴베르가 계속 팀을 지휘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 경기 결과
툴베르가 지휘하는 BVB는 4-2-3-1로 나섰다. 골리 코벨을 시작으로 벤세바이니-슐로터베크-엠레 잔-뤼에르손이 4백으로 나섰으며 3선에는 은메차와 그로스가 자리잡았다. CAM에는 볼로냐전에서 선발 명단에서 제외되었던 브란트가 다시 나섰고 바이노 기튼스와 아데예미가 좌우 공격에 나섰다. 원톱은 기라시.
BVB 바로 윗 순위인 9위를 기록하고 있는 원정 팀 SV 베르더 브레멘(이하 SVW)는 3-5-2로 나섰다.
체터러를 시작으로 융-프리들-벨코비치가 3백으로 선발로 출전하였으며 쾬-슈미트-리넨-스타케-바이저가 미드필더로 나섰다. 2톱은 두크슈와 그륄의 조합.
전반 3`, 바이노 기튼스가 바이저를 제치고 슐로터베크에게 연결하였고 이를 슐로터베크가 슈팅으로 연결지었으나 체터러에게 막혔다.
전반 9분, 중원에서 경합하던 은메차가 그륄과 부딪히고 쓰러지며 경기가 중단되었다. 은메차는 스스로 걸었던 상황이었으나 곧 자비처로 교체되었다.(전반 12분) 무릎 부상 이력이 있는 은메차이기에 부상경과가 걱정스러웠던 장면.
전반 20분이 넘어가는 시점에는 SVW 융의 롱패스를 두크슈가 받아 그륄에게 연결하며 위기가 찾아왔다. 두크슈의 패스 시점 이미 BVB의 높았던 수비진 뒤로 질주를 시작하였던 그륄이었기에 슐로터베크가 뒤늦게 따라가며 저지하려 하였으나 반칙을 범하고 직접 퇴장을 받게되었다. 슐로터베크가 그륄을 따라 잡지못하면 코벨과 1:1의 상황이 나오기 때문. 전반 20분을 갓 넘긴 시점에 나온 큰 위기였다.
슐로터베크의 퇴장으로 뤼에르손이 LB으로 이동하였으며 벤세바이니와 엠레 잔이 센터백으로 경기하였다. 그로스가 RB으로 이동.
수적 열세에 놓였던 BVB였지만 전반 27분, 뤼에르손의 크로스를 브란트가 원바운드로 연결하고 이를 기라시가 헤더로 마무리하며 선제 득점에 성공하였다. 전반 34분에는 아데예미의 반칙으로 내어준 프리킥 상황에서 그륄의 위치가 오프사이드로 선언되며 위기를 넘겼다.
전반 38분에는 아데예미의 패스를 이어받은 브란트가 슈팅에 나섰으나 체터러의 왼쪽으로 빗나갔다. 수적 열세 속에 누적 점유율은 SVW의 위세로 돌아섰던 전반전은 1:0으로 종료.
후반 5분, 스타케의 반칙으로 얻어낸 그로스의 프리킥을 기라시가 땅볼 슈팅으로 마무리 지으며 2:0으로 앞서 나갔다. 그러나 이 득점은 추후 DFB로부터 오심이었다는 판단이 내려졌으며 향후 결과에 따라 이번 경기의 승패가 바뀔 수도 있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라시의 슈팅 상황에서 오프사이드의 위치에 있던 벤세바이니가 기라시의 슈팅을 피하기 위해 점프한 사이 프리들의 발에 맞고 SVW의 자책골로 최초 인정되었던 장면이었지만 DFB로부터 벤세바이니의 동작이 프리들의 시야를 방해하였으며 속임수 동작이라는 판단을 내리며 득점이 인정되지 않아야 했다고 판단한 것. 자세한 내용은 키커의 보도 참고.DFB의 심판 대변인 알렉산더 포이어헤르트(Alexander Feuerherdt)의 오심 인정
2:0으로 앞서 나간 BVB였지만 후반 18분 SVW의 교체 투입된 카보레에게 오른쪽 측면 돌파를 당하더니 슈미트의 크로스를 뤼에르손이 클리어링하였으나 리바운드를 건내 받은 비텡쿠르에게 슈팅을 허용하며 실점하였다.
1:2의 상황으로 경기는 급변하였으며 다시 9분 후인 후반 27분 카보레의 드리블 돌파로 수비진이 와해되고 이를 받은 스타케의 스루 패스가 두크슈에게 연결되며 다시 실점하였다.
경기는 원점으로 돌아갔으며 이미 후반 14분 아데예미와 바이노 기튼스를 빼고 바이어와 뒤랑빌을 투입한 툴베르 감독은 안톤까지 브란트 대신 투입하였다.(후반 31`)
2:2의 동점 상황이 지속되던 후반 44분에는 뒤랑빌이 프리킥을 얻어내었으며 이를 그로스가 직접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체터러의 정면으로 향하면서 펀칭에 막혔고 세컨드 볼 상황에서 안톤이 재차 중거리 슈팅을 시도하였으나 다시 체터러의 펀칭에 막혔다.
결국 5분의 추가 시간이 주어졌으나 BVB는 SVW의 공세를 막으며 힘겹게 무승부를 거두었으며 승점 1점을 추가하였다.
한편, 급하게 선임되었으며 짧은 시간 팀을 수습해야 하는 어려운 임무를 부여 받은 툴베르는 U-19 팀 경기와 같이 트레이닝복 차림으로 선수단을 지도하였으며 경기 내내 선수들을 독려하고 위치 조정에 나서며 작전을 지시하였다.
따라서 다음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와의 경기 역시 툴베르가 팀을 지휘할 예정. 라르스 리켄, 툴베르가 1. FC 하이덴하임전 선수 지휘
3.3. 20라운드 vs 하이덴하임 (원정, 1:2 승 )
2024-25 분데스리가 20라운드 2025. 2. 1.(토) 23:30(UTC+9) | |||
경기장: 포이트 아레나 (하이덴하임) | |||
주심: 프랑크 빌렌보르크 | |||
관중: 15,000명 | |||
: | |||
1. FC 하이덴하임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64' 세루 기라시 (A. 프란스 크레치히) | 33' 세루 기라시 (A. 발데마르 안톤) 63' 막시밀리안 바이어 (A. 라미 벤세바이니)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포메이션 (4-2-3-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ST 세루 기라시 33'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M 제이미 기튼스 87' 조반니 레이나 87' | CAM 율리안 브란트 58' 막시밀리안 바이어 63' 58' | RM 쥘리앵 뒤랑빌 46' 카림 아데예미 46' 87' 얀 코투 87' | }}} | |||||||||||
LDM 파스칼 그로스 71' 살리흐 외즈잔 71' | RDM 마르셀 자비처 | ||||||||||||||
LB 라미 벤세바이니 | LCB 발데마르 안톤 | RCB 엠레 잔 | RB 율리안 뤼에르손 | ||||||||||||
GK 그레고어 코벨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서브 | GK | 알렉산더 마이어 | ||||||||||||
DF | 얀 코투, 필리포 칼릭스 마네, 알무게라 카바르 | ||||||||||||||
MF | 살리흐 외즈잔, 조반니 레이나 | ||||||||||||||
FW | 막시밀리안 바이어, 카림 아데예미, 콜 캠벨 | }}} | }}}}}}}}} |
1. FC 하이덴하임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2 | ||
36% | 점유율 | 64% | |||
11 | 슈팅 | 14 | |||
5 | 유효슈팅 | 5 | |||
334 | 패스 횟수 | 608 | |||
74% | 패스 성공률 | 87% | |||
11 | 파울 | 9 | |||
1/0 | 경고/퇴장 | 4/0 | |||
3 | 오프사이드 | 1 |
- 경기 전 예상
이번 시즌 이적해 와 BVB에서 제몫을 해주고 있는 기라시가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와의 경기에서 멀티 득점에 성공하였으며 은메차 대신 나선 자비처도 무난한 모습을 보였기에 경기력에 대한 보완은 어느 정도 이루어진 모습.
그러나 좀처럼 흥분하는 장면을 볼 수 없었던 바이어가 지난 경기에서 여러 차례 신경전을 펼치며 경고를 받았으며 끝내 전반전 종료 후 교체되었기에 이번 경기에 툴베르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
또한 FC 샤흐타르전, 어이없는 후방 빌드업 과정에서 실책으로 추격 골을 헌납한 코벨을 비롯한 수비진은 여전히 개선이 난망한 상황. 샤흐타르전에서 교체 투입되었던 안톤은 잦은 부상으로 출전과 교체 투입 및 결장을 오가며 오락가락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슐로터베크까지 지난 SVW전 퇴장으로 2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기에 센터백 라인에 대한 깊은 고민을 안기고 있다.
지난 시즌 분데스리가 8위를 기록하며 이번 시즌 컨퍼런스 리그에 진출한 1.FC 하이덴하임은 리그 페이즈 3승 1무 2패의 전적으로 16위를 차지하며 덴마크의 FC 코펜하겐과의 16강 플레이오프를 앞두고 있다.
그러나 지난 시즌부터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4-2-3-1에 대한 파훼가 분데스리가 팀들에게 진행되며 많은 경기에서 패배를 기록하고 있으며 어느덧 강등의 위협에 놓여있는 팀 사정을 가지고 있다.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며 팀의 2025년 첫 승을 안긴 툴베르 감독은 이번 경기를 마지막으로 임시 감독의 지휘봉을 내려놓을 가능성이 높다. 후임 감독으로 니코 코바치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기 때문.
샤흐타르 도네츠크전 승리에 이은 연승 기록할 수 있을지 기대와 걱정이 공존하는 경기.
- 경기 결과
3.4. 21라운드 vs 슈투트가르트 (홈, : )
2024-25 분데스리가 21라운드 2025. 2. 8.(토) 23:3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 ||
관중: , 명 |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VfB 슈투트가르트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VfB 슈투트가르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
% | 점유율 | % | |||
슈팅 | |||||
유효슈팅 | |||||
패스 횟수 | |||||
% | 패스 성공률 | % | |||
파울 | |||||
경고/퇴장 | |||||
오프사이드 |
- 경기 전 예상
- 경기 결과
3.5. 22라운드 vs 보훔 (원정, : )
2024-25 분데스리가 22라운드 2025. 2. 15.(토) 23:30(UTC+9) | ||
경기장: 보노비아 루르슈타디온 (보훔) | ||
주심: | ||
관중: , 명 | ||
: | ||
VfL 보훔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
VfL 보훔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
% | 점유율 | % | |||
슈팅 | |||||
유효슈팅 | |||||
패스 횟수 | |||||
% | 패스 성공률 | % | |||
파울 | |||||
경고/퇴장 | |||||
오프사이드 |
- 경기 전 예상
- 경기 결과
3.6. 23라운드 vs 우니온 베를린 (홈, : )
2024-25 분데스리가 23라운드 2025. 2. 23.(일) 02:3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 ||
관중: , 명 |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 FC 우니온 베를린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 FC 우니온 베를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
% | 점유율 | % | |||
슈팅 | |||||
유효슈팅 | |||||
패스 횟수 | |||||
% | 패스 성공률 | % | |||
파울 | |||||
경고/퇴장 | |||||
오프사이드 |
- 경기 전 예상
- 경기 결과
3.7. 24라운드 vs 장크트파울리 (원정, : )
2024-25 분데스리가 24라운드 2025. 3. 1.(토) 23:30(UTC+9) | |||
경기장: 밀레른토어 슈타디온 (장크트 파울리) | |||
주심: | |||
관중: , 명 | |||
0 : 0 | |||
FC 장크트파울리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
FC 장크트파울리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
% | 점유율 | % | |||
슈팅 | |||||
유효슈팅 | |||||
패스 횟수 | |||||
% | 패스 성공률 | % | |||
파울 | |||||
경고/퇴장 | |||||
오프사이드 |
- 경기 전 예상
- 경기 결과
3.8. 25라운드 vs 아우크스부르크 (홈, : )
2024-25 분데스리가 25라운드 2025. 3. 8.( ) 00:0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 ||
관중: , 명 |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FC 아우크스부르크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FC 아우크스부르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
% | 점유율 | % | |||
슈팅 | |||||
유효슈팅 | |||||
패스 횟수 | |||||
% | 패스 성공률 | % | |||
파울 | |||||
경고/퇴장 | |||||
오프사이드 |
- 경기 전 예상
- 경기 결과
3.9. 26라운드 vs 라이프치히 (원정, : )
2024-25 분데스리가 26라운드 2025. 3. 15.( ) 00:0(UTC+9) | ||
경기장: 레드불 아레나 (라이프치히) | ||
주심: | ||
관중: , 명 | ||
: | ||
RB 라이프치히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
RB 라이프치히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
% | 점유율 | % | |||
슈팅 | |||||
유효슈팅 | |||||
패스 횟수 | |||||
% | 패스 성공률 | % | |||
파울 | |||||
경고/퇴장 | |||||
오프사이드 |
- 경기 전 예상
- 경기 결과
3.10. 27라운드 vs 마인츠 (홈, : )
2024-25 분데스리가 27라운드 2025. 3. 29.( ) 00:00(UTC+9) | ||
경기장: 지그날 이두나 파크 (도르트문트) | ||
주심: | ||
관중: , 명 | ||
|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 FSV 마인츠 05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 FSV 마인츠 05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
% | 점유율 | % | |||
슈팅 | |||||
유효슈팅 | |||||
패스 횟수 | |||||
% | 패스 성공률 | % | |||
파울 | |||||
경고/퇴장 | |||||
오프사이드 |
- 경기 전 예상
- 경기 결과
3.11. 28라운드 vs 프라이부르크 (원정, : )
2024-25 분데스리가 28라운드 2025. 4. 5.( ) 00:00(UTC+9) | ||
경기장: 유로파 파크 슈타디온 (프라이부르크) | ||
주심: | ||
관중: , 명 | ||
: | ||
SC 프라이부르크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
SC 프라이부르크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
% | 점유율 | % | |||
슈팅 | |||||
유효슈팅 | |||||
패스 횟수 | |||||
% | 패스 성공률 | % | |||
파울 | |||||
경고/퇴장 | |||||
오프사이드 |
- 경기 전 예상
- 경기 결과
3.12. 28라운드 vs 바이에른 뮌헨 (원정, : )
2024-25 분데스리가 28라운드 2025. 4. 12.( ) 00:0(UTC+9) | ||
알리안츠 아레나 (뮌헨) | ||
주심: | ||
관중: , 명 | ||
0 : 0 | ||
FC 바이에른 뮌헨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 | -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
FC 바이에른 뮌헨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ffd900> 스코어 | ||||
% | 점유율 | % | |||
슈팅 | |||||
유효슈팅 | |||||
패스 횟수 | |||||
% | 패스 성공률 | % | |||
파울 | |||||
경고/퇴장 | |||||
오프사이드 |
- 경기 전 예상
- 경기 결과
[1]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2] Tordifferenz(=ENG virsion,Cumulative goal difference =누적 골 득실차)[3] 독일 현지 시각 기준인 중부유럽 표준시(CET(Central European Time) 또는 중부유럽 적용 서머타임 시간대 CEST(Central European Summer Time)로 표기하지 아니한다.[4] 2011/12 시즌 8강, 2020/21 시즌 4강[5] 4승 3무 10패, 중간 순위 17위[6] 분데스리가 94경기, DFB-포칼 10경기, 챔피언스 리그 25경기 등[7] 분데스리가 30G-16A, DFB-포칼 2G-3A, 챔피언스 리그 6G-1A 등[8] (ENG version) Addressing the elephants in the room. Problems don’t sit on the sidelines![9] 방 안의 코끼리는 러시아에서 유래된 은유적 표현이며 특정 집단의 사람들(BVB의 의사 결정권자)에게는 문제(저조한 경기력과 클럽 안밖의 문제들 또는 그들간의 다툼)가 명백히 보이지만(큰 덩치를 자랑하는 코끼리가 방 안에 있으니 안보일 리가 없다.)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을 의미한다.[10] Probleme stehen nicht an der Seitenlinie = 문제에 대하여 방관하거나 외면하지 마라.(시즌 시작부터 누적된 저조한 경기력 그에 따른 누리 샤힌 감독의 경질, 제바스티안 켈 단장과 스벤 미슬린타트 기술이사 간의 대립 및 클럽의 컨설턴트 역인 마티아스 자머가 아마존 프라임에 출연, 경기에 대한 평론을 하면서 발생하고 있는 구단 자문역과 TV 평론가라는 상충되는 역할에 대한 비판 등 현재 나타나고 있는 문제의 해결에 나서라는 의미.)[11] 방안의 코끼리라는 은유적 표현의 의미는 위키피디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