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29176e>  대한제국 평리원 재판장·대심원장  |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9176e, #29176e 20%, #29176e 80%, #29176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c0c0c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nopad> 고등재판소장 (1895~1899) | ||||||||||
|   초대 서광범  |   제2대 장석주  |   제3대 조병직  |   제4대 이범진  |   제5대 한규설  | ||||||
|   제6대 조병식  |   제7대 권재형  |   제8대 조병직  |   제9대 신기선  |   제10대 이만교  | ||||||
|   제11대 한규설  |   제12대 윤웅렬  |   제13대 이도재  |   제14대 유기환  | |||||||
| <nopad> 평리원 재판장 (1899~1907) | ||||||||||
|   초대 이성렬  |   제2대 홍종우  |   제3대 백성기  |   제4대 이용택  |   제5대 조윤승  | ||||||
|   제6대 홍종우  |   제7대 김영준  |   제8대 구영조  |   제9대 김정근  |   제10대 구영조  | ||||||
|   제11대 이근택  |   제12대 한인호  |   제13대 이용익  |   제14대 정기택  |   제15대 이남희  | ||||||
|   제16대 이재극  |   제17대 이지용  |   제18대 신태휴  |   제19대 이지용  |   제20대 김석규  | ||||||
|   제21대 윤덕영  |   제22대 민병한  |   제23대 민경식  |   제24대 고영희  |   제25대 이명상  | ||||||
|   제26대 이한영  |   제27대 엄주익  |   제28대 이윤용  |   제29대 조민희  |    제30대 홍종억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 <nopad> 대심원장 (1907~1910) | ||||||||||
|   초대 와타나베 아키라  | ||||||||||
| }}}}}}}}}}}} | ||||||||||
|   대한제국군의 장성급 장교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29176e> 대장 大將  | |
|   육군 陸軍  | - | |
|   해군 海軍  | - | |
|  부장 副將  | ||
|   육군 陸軍  | 권중석 | 권중현 | 민병석 | 민영기 | 민영철 | 민영환 | 민영휘 | 민형식 | 박제순 | 신기선 | 심상훈 | 안경수 | 유기환 | 윤웅렬 | 윤택영 | 이강 | 이근택 | 이근호 | 이도재 | 이병무 | 이봉의 | 이용익 | 이용태 | 이윤용 | 이재면 | 이재순 | 이재완 | 이종건 | 이지용 | 조동윤 | 조희연 | 한규설 | |
|   해군 海軍  | - | |
|  참장 參將  | ||
|   육군 陸軍  | 구영조 | 권태익 | 김승규 | 김영준 | 김영진 | 김정근 | 백성기 | 민상호 | 민영찬 | 신태휴 | 양성환 | 엄주익 | 엄준원 | 오보영 | 원우상 | 윤영렬 | 이기홍 | 이남희 | 이재각 | 이준용 | 이학균 | 이한영 | 이희두 | 장화식 | 정기택 | 조성근 | 주석면 | 한진창 | 현영운 | 홍순찬 | |
|   해군 海軍  | - | |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 † : 사후 추서  | ||
|   ※ 둘러보기 |    | ||
| }}}}}}}}} | ||
| <colbgcolor=#29176e><colcolor=#fff> 대한제국 육군법원장 백성기 白性基  | |
| 출생 | 1860년 6월 15일 | 
| 사망 | 1929년 (향년 69세) | 
| 본관 | 수원 백씨 | 
| 자 | 효천(孝天) | 
| 호 | 소송(小松) | 
| 군사 경력 | |
| 임관 | 무과급제 (1882년) | 
| 복무 | 조선군 | 
| 1882년 ~ 1897년 | |
| 대한제국군 | |
| 1897년 ~ 1907년 | |
| 최종 계급 | 참장 | 
| 주요 보직 | 군부협판 육군법원장 원수부 검사국 총장 군부 군무국장  | 
1. 개요
구한말의 군인, 관료.대한제국군에서 오늘날의 소장에 해당하는 참장을 지냈다. 민영환과 함께 을사조약을 막으려 했지만 실패하고 수원으로 낙향해 여생을 보냈다. 1929년에 세상을 떠났다.
일본 통감부에서 평가한 내용은 이렇다.
31. 白性基
일찍이 州郡의 수령이었다. 李根澤과 관계를 맺고 형제가 되자 관직에 잠시도 떨어지지 않았다. 잠시 재판장에 임명되었고 癸卯年에는 寧邊觀察使가 되었으며 李容泰·權重奭 등과 일을 함께 하여 경무사에 임명된 적도 있다. 기회를 포착하는 데 민첩하여 처신에 능숙하다.
출처: 일본 통감부 문서 韓國 官人의 경력 일반
일찍이 州郡의 수령이었다. 李根澤과 관계를 맺고 형제가 되자 관직에 잠시도 떨어지지 않았다. 잠시 재판장에 임명되었고 癸卯年에는 寧邊觀察使가 되었으며 李容泰·權重奭 등과 일을 함께 하여 경무사에 임명된 적도 있다. 기회를 포착하는 데 민첩하여 처신에 능숙하다.
출처: 일본 통감부 문서 韓國 官人의 경력 일반
2. 경력
부친은 한성부판윤을 지낸 백남익(白南益)이었다.백성기는 1882년에 남항선전관(南行宣傳官)으로 입직하였다. 같은 해 무과에 급제하였고, 개화파 무관으로 중추원의관 등을 지냈다.
- 1882-03-16 선전관
 - 1883-12-14 중추부 경력
 - 1885-05-19 철산 부사
 - 1885-10-24 선전관 가설
 - 1886-08-17 선천 부사 겸 선천진수군병마절제사 청북수군방어사
 - 1888-09-07 내금위장
 - 1892-11-18 친군총어영 천총
 - 1893-01-19 훈련원 도정
 - 1893-06-29 경상 좌병사
 - 1894-01-09 친군총어영 병방
 - 1894-09-11 안주 목사
 - 1894-09-16 동지중추원사
 - 1895-09-11 성천 군수
 - 1895-09-21 군부협판[1]
 - 1898-06-06 중추원 일등의관
 - 1899-06-16 평리원 검사
 - 1900-07-21 군법교정 부총재[2]
 - 1900-09-19 육군법원장
 - 1901-12-06 육군 법률급치죄규정개간감인위원장
 - 1902-02-20 중추원 의관
 - 1902-02-22 징계 사면 후 육군 참장 재임용
 - 1902-02-28 육군법원장 재임용
 - 1902-09-07 원수부(대한제국) 임시서리 기록국총장
 - 1903-07-02 원수부 군무국 총장
 - 1903-07-18 원수부 검사국 총장
 - 1903-10-22 평안북도 관찰사 겸 평안북도재판소 판사
 - 1903-12-31 충청북도 관찰사 겸 충청북도재판사 판사
 - 1904-09-27 교육부 참모장
 - 1904-11-23 경무사 겸임
 - 1905-03-01 군부 교육국장
 - 1905-06-17 군부 군무국장
 - 1907-09-03 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