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7:02:21

배기수(교수)



파일:아주대학교 시그니처 화이트(가로형).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교 정보
연혁 상징 시설 출신 인물
학부 학사제도 대학원 특징
교원 성과 수업 홍보대사
재학생 정보
행사(축제) 식당(매점) 교통 주변 환경
총학생회 총동문회 동아리
운동부
축구부
||<-5><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0A5CA8>
의료원
||
아주대학교병원 아주대학교요양병원 아주대학교 평택병원(2030년 예정) 아주대학교 파주병원(2030년 예정)
}}}}}}}}} ||

아주대학병원 교수
배기수
Bae Ki Su
파일:배기수 교수.jpg
<colbgcolor=#0c419a><colcolor=#fff> 출생 1957년 ([age(1957-08-12)]세)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직업 교수 , 전문의
소속 아주대학교병원(교수), 아주대학교(교수)
경력 제 61대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회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bac><colcolor=#ffffff> 학력 KDI 국제정책대학원 투자유치 경영학 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 박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 석사
연세대학교 의학 학사
약력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연세대병원 소아신장 연구강사
옥포대우병원 진료부장 겸 소아과장
미국 오레곤대학 신장학 연수
경기도의료원장 역임
아주대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교수
}}}}}}}}}

1. 개요2. 상세3. 경력4. 논문5. 저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사이자 교수, 아주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의사

2. 상세

배기수 교수는 1983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전문의, 연세의대 소아과학 연구강사, 대우병원 진료부장 겸 소아과장을 거쳐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오레곤 의과학대학에서 신장질환과 관련한 임상약리학을 연수하였다.

전문 진료분야는 신장 및 요로질환이며, 난치성 신장질환에서 면역억제제의 안전사용, 요로기형으로 인한 신장손상의 예방, 야뇨증의 원인분석에 따른 효과적 치료 등에 대하여 심도 있는 진료와 연구를 하고 있다. 대외적으로 경기도의료원장,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 회장, 대한소아과학회 교육위원, 대한소아신장학회 회장, 대한소아배뇨장애야뇨증학회 회장 등을 지냈고, 식품의약품안정청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의위원으로 의료발전을 통한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배기수 교수는 병원 바깥에서 벌어지는 건강과 관련한 문제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하여 다양한 ‘건강위협 요인’을 발굴한 뒤 그 해법을 개발하고 교육하는 시도가 그 근간이다. 1983년 무의촌 근무시절부터 ‘머릿니 감염 조사 및 치료’, ‘복지시설 수용자의 건강 문제와 대책’, ‘공중보건의사 업무 개발 및 지원’ 등의 다양한 사업을 벌여오고 있는데, ‘베이비 사우나 증후군’이라는 제하에 산후조리 중 열사병으로 사망하는 신생아의 원인병리가 ‘잘못된 삼칠일 산후조리법’에 있음을 밝히고 이를 홍보함으로써 국내 신생아 사망과 유병을 크게 줄인 바 있다. 또한, 국민 의료지식 향상을 위하여, 수원시 소재 고등학생 대상 ‘심폐소생술 보급’, 시민 건강강좌, 공공의료인 교육, 개원 의사 보수교육, 복지시설 관리자 교육 등의 사업에 매진하고 있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대받는 아동’의 조기발견과 효과적 치유를 위하여 아주대학병원 내에 ‘학대아동보호팀’을 구성하여 아동학대예방센터, 대한의사협회, 경기도청, 경기도경찰청 등의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이루어내고 있다. 또한 아동학대사례판정 위원회에 각계각층 인사의 자문과정을 도입함으로써 ‘해결이 힘든 학대사례’의 해결방안을 마련함은 물론 ‘아동학대예방 지역협력체’를 통한 유기적 협조체계를 제시함으로써 ‘아동학대 예방사업의 한국적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3. 경력

  • 1983 ~ 1994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전문의, 의학박사
  • 1983 ~ 1986 공중보건의사 협의회 총무, 부회장, 회장
  • 1990 ~ 199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강사
  • 1992 ~ 1994 옥포 대우병원 진료부장 겸 소아과장
  • 1996 ~ 1998 Oregon Health Sciences University 연수(신장학/임상약리학)
  • 2004 ~ 2005 아주대학교의료원 기획조정실장보
  • 2010 ~ 2015 경기도의료원장
  • 2019 ~ 2020 대한소아신장학회 회장
  • 2021 ~ 현재 대한 소아청소년과학회 회장
  • 1994 ~ 현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교수

4. 논문

  • 소아 만성 신부전증의 전국적인 조사연구. 대한소아신장학회지. 4(2):92-100. 2000
  • 1세 미만의 일측성 신우요관이행부폐색 환아에서의 초음파와 이뇨성 신주사와의 상관 관계. 대한비뇨기과학회지. 42(9):889-893. 2001
  • 신생아 이송에서의 저체온증. 대한응급학회지. 10(4);650-685. 1999
  • Diphyllobothrium latum infection after eating domestic salmon flesh. The Korean J of Parasitology. 39(4):319-321. 2001
  • 산전 진단된 수신증의 임상경과. 대한소아신장회지. 6(2):178-187. 2002
  • 야뇨증(진료실에서 알아야 할 사항). 대한의사협회지. 45: 289-296. 2002
  • 머릿니 감염의 진단과 치료 소아과 46(6): 523-527. 2003
  • 선천성 방광요관역류 환아의 형제자매에서 방광요관역류와 신반흔의 유병률. 대한소아신장학회지. 7(2):181-188. 2003
  • 신질환 환아에서 Cyclosporine A의 약동학 특성 및 치료효과. 소아과 47(2):193-203. 2004
  • 소아 요로감염의 임상지침: 대한소아과학회지 47(2). suool.4 S785-792. 2005
  • 소아 신증후군 임상지침: 대한소아과학회지 47(2). suool.4 S867-876. 2005
  • 소아의 급성 신부전: 대한소아과학회지 47(2). suool.4 S912-918.2005
  • 어린이의 일차성 단일 증상성 야뇨증에서 Imipramine과 Desmopressin 복합 약물치료의 효과 및 안전성: 대한소아신장학회지. 8(2):129-137
  • 소아 급성 세균성 신엽염의 임상상 및 예후: 대한소아신장학회지. 8(2):229-238.2005
  • Assesment of Bone Strength Using a New Quantitative Ultrasound Device in Chidren with Renal Diseases (신질환 환아에서 초음파 골량측정법을 이용한 골상태 평가)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9(1):21-30. 2005

5. 저서

  • 1. 신장학(공저): 연쇄상구균 감염후 급성 사구체신염
/ 연세대학교 신장질환연구소 편(1판). 의학문화사(서울), 1999.
  • 2. 공중보건의 직무교육 교재(공저): 지역사회에서 공중보건의의 역할
/ 한국인구사회보건연구원. 1999.
  • 3. 소아과학(공저): 신질환의 임상적 및 검사적 평가
/ 안효섭 편(8판). 대한교과서(주). 2004.
  • 4. 진단학(공역서): 영아에서 청소년기까지의 소아 신체검진(제17장)
/ 진단학 (BATES' Guide to Physical Examination and History Taking, 8th ed.).
군자출판사. 2004.
  • 5. 임상약리학(공저): 신기능 장애 환자에서의 약물요법
/ 임상약리학(2판).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