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쥐파리 | |
학명 | Streblidae Kolenati, 1863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강 | 곤충강Insecta |
목 | 파리목Diptera |
아목 | 등에아목Brachycera |
상과 | 이파리상과Hippoboscoidea |
과 | |
박쥐파리과 Streblidae |
1. 개요
파리목Diptera 박쥐파리과Streblidae에 속하는 곤충을 통칭하는 말이다.2. 상세
이름에 ‘박쥐’가 들어간 것에서 유추할 수 있듯, 박쥐에 기생하는 흡혈파리이다. 털을 붙잡고 박쥐가 비행할 때 떨어지지 않고 버틸 수 있어야만 하는 생활 특성상, 갈고리 모양의 발톱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털 사이로 이동하기 수월하도록 몸체는 납작한 형태이다. #주된 기생 대상 외의 다른 동물도 간혹 여건에 따라 흡혈하는 다른 흡혈파리와는 달리, 박쥐파리는 오로지 박쥐만, 심지어 흡혈할 박쥐의 종류 등까지 가려가며 기생하는 까다로운 모습을 보인다. # 이 덕분에 박쥐에게 있는 수많은 병균이나 기생충이 박쥐파리를 거쳐서 인간에게 전염될 가능성은 희박하다.많은 박쥐파리가 충생균의 일종인 라불베니아목Laboulbeniales 곰팡이에 감염되어 있는 등 중복기생의 모습을 관찰할 수도 있다고 한다.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발견된 2000만년 전의 박쥐파리 호박 화석에서 말라리아가 검출되면서 당시 신대륙에 말라리아가 이미 널리 퍼져있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도 활용된 적이 있다. #
3. 국내 서식종 목록
전세계에 33속 237종 정도가 있으며, 「2024 국가생물종목록」에 따르면 국내에는 단 1속 1종만이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 박쥐파리속Brachytarsina
- 박쥐파리 Brachytarsina kanoi (Maa, 1967) 국립생물자원관 자료
4. 좁은 의미에서의 박쥐파리
박쥐파리 | |
학명 | Brachytarsina kanoi Maa, 1967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 Arthropoda |
강 | 곤충강 insecta |
목 | 파리목 Diptera |
과 | 박쥐파리과 Streblidae |
속 | 박쥐파리속 Brachytarsina |
종 | 박쥐파리 B. kan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