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1-11-17 23:22:30

박규훈(독립운동가)

파일:박규훈.pn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본관 순창 박씨[1]
출생 1900년 7월 23일
전라남도 제주군 중면 이도리
(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동)
사망 1975년 8월 20일
서울특별시
상훈 대통령표창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199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2. 생애

박규훈은 1900년 7월 23일 전라남도 제주군 중면 이도리(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동)에서 부친 박이민(朴离旼)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위로 형 박교훈(朴喬壎)이 있었다. 이후 상경하여 경기도 경성부 권농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권농동)에 있는 최봉환(崔鳳煥)의 집을 거쳐 계동(현 종로구 계동)에 살았다.

그는 1919년 경성고등보통학교 2학년 병(丙)반에 재학 중일 때 3.1 운동이 발발하자 탑동공원에서 시위대와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거리로 나아가 헌병대와 경찰의 무차별 총격에도 굴하지 않고 시위를 벌이다 체포되었다. 이후 재판 과정에서 경성고등보통학교 동창생이자 제주도 성내(城內) 대로동(大路洞)[2]에 살던 홍형표(洪亨杓)에게 "2천만의 대표자가 되어 대항하기 위한 일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 이 글을 보거든 찢어버려라"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낸 것이 들통났다. 또한 3월 7일 4촌 형에게 보내려고 쓴 편지에서는 "나는 조선의 자유를 얻기 위해 연일 시위 운동을 하고 학교는 동맹 휴교에 들어갔다"고 했는데, 이 역시 들통났다.

그 뒤 그는 1919년 8월 3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출판법 위반, 보안법 위반 혐의로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회부되었으며,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6개월(미결 구류일수 중 90일 본형에 산입),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고 곧 출옥하였다.

이후 1921년 여름방학을 이용해 한상호(韓相鎬)·송택훈(宋澤薰)·황청하(黃淸河) 등과 함께 귀향하여 강연회 개최 등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다. 경성고등보통학교 졸업 후에는 경성고등공업학교에 진학하였고, 역시 졸업한 뒤에는 일본 고베의 독일인이 경영하는 염료회사(染料會社) 실험실에서 여러 해 근무하다가 귀국하였다.

귀국 후에는 경기도에 있는 송고(松高)주식회사와 수원군에 있는 조선직물회사(朝鮮織物會社) 등지에서 공장장으로 근무하였고, 8.15 광복 후 1946년 조선대화방직주식회사 창동공장에서 공장장으로 근무하면서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창동리(현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거주했다.

1975년 8월 20일 서울특별시에서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2년 박규훈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1] #[2]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