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13:36:43

바렐코드 드래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바렐(유희왕)
#!if 문서명2 != null
, [[토폴로직]]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코가미 료켄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바렛 · 바렐 · 토폴로직 · 방어막
바렐 에이스 토폴로직 에이스
VRAINS
바렐로드 드래곤
바렐스워드 드래곤
바렐가드 드래곤
바렐로드 F 드래곤
바렐로드 S 드래곤
바렐로드 X 드래곤
OCG
바렐로드 R 드래곤
바렐코드 드래곤
바렐로드 FF 드래곤
VRAINS
토폴로직 폭탄 드래곤
토폴로직 투리스바에나
토폴로직 검블러 드래곤
토폴로직 제로보로스

OCG
토폴로직 블래스터 드래곤
에이스 함정 카드 최종 몬스터
VRAINS
레드 리부트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매직 실린더
왕궁의 칙명
마인드 크러시
OCG
바렐 리부트
OCG
바렐엔드 드래곤
바렐슈라우드 드래곤
}}}}}}}}} ||
바렐코드 드래곤
<nopad> 파일:버스트 오브 데스티니 CM 바렐코드 드래곤.png
닫힌 세계를 이끄는 나의 폭풍! 링크 소환! 나타나라! 링크 3, 「바렐코드 드래곤」!
閉ざされし世界を導く我が暴風!リンク召喚!現れろ!リンク3、「ヴァレルコード・ドラゴン」!

-버스트 오브 데스티니 CM/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리볼버-
폐쇄된 세계를 이끄는 나의 폭풍! 링크 소환! 나와라! 링크 3, 「바렐코드 드래곤」!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리볼버더빙판-

1. 개요2. 설명
2.1. 모티브/설정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링크 몬스터 카드.

2. 설명

유희왕 OCG의 11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팬텀 레이지 블레이징 보텍스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
[[용마방 기사 가이아|
파일:Gaia the Magical Knight of Dragons.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E5E596 용마방 기사 가이아}}}'''
]]
[[아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파일:앜리벨.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8041D9 아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
[[암드 드래곤 썬더 LV10|
파일:암드 드래곤 썬더 LV10.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B73B3F 암드 드래곤 썬더 LV10}}}'''
]]
[[용장합체 드래고닉 호프레이|
파일:용장합체 드래고닉 호프레이.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FDF35A 용장합체 드래고닉 호프레이}}}'''
]]
던 오브 마제스티 버스트 오브 데스티니 배틀 오브 카오스 디멘션 포스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파일:슈팅 세이비어.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56A6CB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
[[바렐코드 드래곤|
파일:바렐코드 드래곤.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F28834 바렐코드 드래곤}}}'''
]]
[[초마도전사-마스터 오브 카오스|
파일:초마도전사 마스터 오브 카오스.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201F4B 초마도전사-마스터 오브 카오스}}}'''
]]
[[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
파일: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F3BB3A 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다크윙 블래스트 포톤 하이퍼노바 사이버스톰 액세스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네오스 윙맨|
파일: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네오스 윙맨.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E6E6FA 엘리멘틀 히어로[br]샤이닝 네오스 윙맨}}}'''
]]
[[블랙 페더 어썰트 드래곤|
파일:블랙 페더 어썰트 드래곤.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000000 블랙 페더 어썰트 드래곤}}}'''
]]
[[CNo.62 네오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
파일:CNo.62 네오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F79C99 CNo.62 네오 갤럭시아이즈[br]프라임 포톤 드래곤}}}'''
]]
[[파이어월 드래곤 싱귤래리티|
파일:파월 싱귤러리티 일러.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EEF2F2 파이어월 드래곤 싱귤래리티}}}'''
]]
}}}}}} ||
← 10기 부스터팩 커버 카드12기 부스터팩 커버 카드 →
11기 홀로그래픽 레어 카드


파일:ヴァレルコード・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바렐코드 드래곤,
일어판명칭=ヴァレルコード・ドラゴン,
영어판명칭=Borrelcode Dragon,
속성=어둠, 레벨=3, link1=, link3=, link8=, 공격력=2500, 종족=드래곤족,
소재=효과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의 이 카드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몬스터 3장을 소재로서 링크 소환한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3=③: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공격력 3000 이상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자신의 엑스트라 덱 / 묘지에서 "토폴로직"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버스트 오브 데스티니의 커버 카드이자 토폴로직을 카드군으로 지정한 카드. 위압감 있는 비주얼과 팩 메인 카드라는 입장 덕분에 바렐엔드를 이은 링크 5 이상의 신규 에이스 몬스터로 점쳐졌으나, 바렐로드 드래곤에 미치지 못하는 링크 3 몬스터로 등장했다.[1]

소환 조건은 효과 몬스터 2장 이상으로 널널한 편이지만, ②의 효과 발동 조건 탓에 제대로 사용하려면 소재 3장이 요구된다.

①의 효과는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에 있을 경우 효과로 파괴되지 않는 효과. 추가 링크 몬스터를 요구하므로 링크 3 몬스터임에도 전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준비가 많이 필요하다. 효과 내성을 얻지 못하면 ②의 효과로 자기 자신도 파괴되므로 반 필수적으로 내성을 유지해야 한다. 바렛 덱에서 쓴다고 하면 효과 파괴 내성을 가진 바렐엔드 드래곤이나 바렐가드 드래곤이 적합하다.

②의 기동 효과는 몬스터 3장으로 링크 소환된 상태에서 전투할 경우, 블랙홀을 시전하는데, 피아를 가리지 않는 광역 효과에, 링크 몬스터를 포함하는 다른 바렐들과 달리 대상을 지정하지 않기에 효과 자체는 바렐보다는 토폴로직에 가깝다. 대신 상대의 공격에 대해서도 발동하므로 효과 파괴 내성이 없는 몬스터라면 전투로는 이 카드를 이기기 어렵다. 그걸 트리거로 바렛 몬스터 특유의 효과를 유발시켜, 엔드 페이즈에 바렛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당히 강력한 전체 제거 효과지만, 블랙홀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몬스터도 휘말려버리기에 자기 자신도 파괴될 수 있고, 설령 ①의 효과로 얻은 파괴 내성으로 자신은 버틸 수 있을지 몰라도, 위에 언급한 카드들 같은 경우가 아니면, 이 카드와 링크한 링크 몬스터도 파괴되므로 이 카드의 내성이 깨져버리니 주의. 거기다 바렛 덱 몬스터의 ②의 효과로 바렛의 파괴시 특수 소환 효과를 발동시켜줄 수 있다는 점 외에는 그다지 연계점을 찾기도 어렵다.

③의 효과는 묘지의 자신을 제외하고 공격력 3000 이상의 어둠 속성 몬스터를 제외한 후 토폴로직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물론 상대의 몬스터도 가능하긴 하지만, 상대가 조건에 맞는 몬스터를 내지 않는 경우엔 사실상 무의미해지긴 한다. 자신이 직접 공격력 3000 이상을 소환할 정도면 그냥 토폴로직을 소환하는 편이 훨씬 낫기 때문. 하지만 거꾸로 보면 공격력 조건만 만족하면 상대의 강력한 어둠 속성 몬스터를 제거하면서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도 있다는 소리니 나쁘지는 않은 효과다. 다만 토폴로직을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경우, 정규 소환이 아니기에 토폴로직 제로보로스의 제외 효과는 발동할 수 있어도 귀환 효과가 특수 소환으로 취급되기에 한 번 제외되면 돌아올 수 없으니 유의할 것.

특정 조건 하에서 몬스터 존을 비우는 것이 가능하지만, 액세스코드 토커 등 더욱 쉬운 조건으로 제거할 수 있는 카드가 많으며 바렛 내에서 토폴로직과의 연계가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 바렛의 발사 효과도 사용할 수 없는 등 어느 구축에서도 사용할 이유가 전혀 없는 카드. 범용성이 낮아도 테마 내에서 활약할 여지가 있었던 다른 커버 카드에 비교해봐도 굉장히 입지가 좁다. 바렛 유저가 아니어도 유저들에겐 11기 최악의 커버 카드로 평가받는다.

물론 단독의 사용법은 허술하지만 이후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에서 발매된 아르테미트 슬레이가 이 카드를 손쉽게 떨굴 수 있으면서 제거도 실행할 수 있기에, 발동 코스트로 사용하면서 추가적으로 몬스터를 제외하는 효과로는 존재 의미가 생기게 되었고, 이후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지원받은 바렛 로더의 묘지 효과를 이용하면, 필드의 몬스터의 속성을 어둠으로 변경할 수 있어서, 테마 자체적으로 상대 몬스터 1장을 보내버리고 토폴로직을 꺼낼 수 있게 되었고, 신규 토폴로직도 나오면서 바렛 내에서도 존재 의미가 생겼다.

방송에서 공개된 공격명은 "종천의 바렐 인크립트", 효과명은 "래스터라이즈 바렛".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바렐코드 드래곤 소환 연출.gif
유희왕 마스터 듀얼 바렐코드 드래곤 소환 연출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 22년 6월 10일 셀렉션 팩으로 추가되었으며 소환 연출도 함께 나왔다.

11기 팩 메인 몬스터 중 유일하게 유희왕 듀얼링크스에 제대로 된 소환 영창, 공격명, 효과명이 있다. 11기에서 소환영창을 다루기 시작한 시점은 바로 직전 팩인 던 오브 마제스티부터이기 때문.[2]

어째서인지 커버 카드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바렐 지원 카드가 속속들이 풀린 와중에도 3개월 넘게 팩 커버로 공개된 외형 외에는 아무런 정보가 공개되지 않은 채 꽁꽁 숨겨져 있던 카드였다. 그래서 위압감 넘치는 일러스트와 더불어 자연스럽게 이 카드에 대한 기대치도 높아졌으나, 정작 발매 일주일 전에서야 공개된 효과는 그야말로 허접 그 자체였고, 결국 기대하던 바렛 유저들만 엿을 먹었다.

2.1. 모티브/설정

바렐로드 드래곤의 아종이며, 사이버스를 저주하는 코가미 료켄(리볼버)이 주력으로 사용하는 바렐과 사이버스 세계를 멸망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사이버스족인 토폴로직과의 연결을 위한 카드다. 그래서 토폴로직처럼 소재도 효과 몬스터 2장 이상을 요구한다.

전체적인 외형은 붉은색과 가슴 부분의 총열 모양 등 바렐의 외형은 그대로지만 토폴로직 특유의 위상수학스러운 요소도 가지고 있다. 특히 기존 바렐 몬스터들과 달리 다리가 없고, 어깨는 클라인의 병, 꼬리에는 뫼비우스의 띠의 구조로 되어 있고, 몸 군데군데 녹색 빛을 발산하는 기관으로 보아 정확히는 애니에서 최초로 등장한 토폴로직 몬스터인 폭탄 드래곤가 바렐이 된 것으로 보이다[3]. 필드의 몬스터를 광역으로 치우는 것도 비슷하고, 실제로 3번 효과로 폭탄 드래곤을 불러낼 수 있다.

하지만 팩의 커버 카드이자 바렛의 또다른 에이스임에도 링크 수가 리볼버가 쓴 다른 바렐 몬스터들보다 낮은 3인데 이는 바렐로드가 리볼버의 진짜 에이스였고, 토폴로직은 단지 사이버스를 멸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라는걸 생각하면 의도적으로 낮게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링크 마커는 또다른 토폴로직인 투리스바에나와 같다. 마침 공격력도 같고.

종합적으로 보면 드래곤족인 바렐이 된 폭탄 드래곤이며, 토폴로직 몬스터가 바렐로 변화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이 카드의 등장으로 추후에 바렐이 된 다른 토폴로직 카드의 등장을 기대해볼 수 있다.

카드명은 암호를 뜻하면서 토폴로직 몬스터의 공격명에 들어가는 "코드(コード)". 이는 토폴로직과 연관된 몬스터라는걸 드러냄과 동시에 링크 4 바렐 시리즈의 작명 법칙(ヴァレル○ード)을 지킨다. 또한 이름에 '코드'가 들어있어 후지키 유사쿠코드 토커와의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의견도 많은데, 링크 수랑 링크 마커 방향이 디코드 토커와 같다는 점을 제외하면 큰 연관성은 없다.
수록 시리즈
2021-10-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ODE-KR050 | 버스트 오브 데스티니
2021-07-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ODE-JP050 | バースト・オブ・デスティニー
2021-11-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ODE-EN050 | BURST OF DESTINY

[1] 이때 기대된 링크 5의 토폴로직은 한참 뒤 버스트 프로토콜에서야 토폴로직 블래스터 드래곤이 등장해서 실현되었다.[2] 리볼버는 CM이 등장한 이후에 업데이트된 유일한 캐릭터기도 하다. 유토도 마찬가지로 팬텀 레이지의 CM이 나온 후에 듀얼링크스에 업데이트됐지만 이 쪽은 소환영창을 아직 다루지 않던 시기다. 그리고 나머지 카드들은 전부 듀얼링크스에 이미 있는 캐릭터들과 연관된 카드라 추가 녹음을 해야 한다. 그래서 아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드래고닉 호프 레이(추가 녹음)는 범용 대사+이름만 나온다. 그래도 추가 녹음으로 보이스가 생기는 경우도 있으니 성우 분의 사망으로 녹음이 불가능한 암드 드래곤 썬더 LV10을 제외한 나머지 카드들도 언젠가 가능성은 있다.[3] 다만 폭탄 드래곤은 꼬리 두개가 띠 구조로 합쳐저 있지만 바렐코드는 일러스트 상에서만 그렇게 보일뿐 꼬리는 1개로 분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