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17:13:55

바네사 구스메롤리

프랑스선수권 여자 싱글 챔피언
파일:프랑스빙상연맹 로고.svg파일:프랑스빙상연맹 로고 화이트.png
레티시아 위베르
(1998~1999)
바네사 구스메롤리
(2000~2002)
캔디스 디디에
(2003~2004)

<colbgcolor=#428ce8,#428ce8><colcolor=#ffffff,#ffffff> 바네사 구스메롤리
Vanessa Gusméroli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출생 1978년 9월 19일 ([age(1978-09-19)]세)
안시
종목 피겨 스케이팅
신체 160cm
가족 배우자 마티외 조스트[1], 장녀(2009년생), 차녀
은퇴 2003년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1992-93 시즌2.2. 1993-94 시즌2.3. 1994-95 시즌2.4. 1995-96 시즌2.5. 1996-97 시즌2.6. 1997-98 시즌2.7. 1998-99 시즌2.8. 1999-00 시즌2.9. 2000-01 시즌2.10. 2001-02 시즌2.11. 2003-04 시즌2.12. 은퇴 이후
3. 기술 및 평가4. 커리어5. 여담

1. 개요

프랑스의 前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다.

2. 선수 경력

2.1. 1992-93 시즌

1993 유러피언 유스 올림픽 페스티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2. 1993-94 시즌

트리글라브 트로피 주니어 부문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시니어로도 대회에 참가해 그랑프리 생제르베 10위,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우승, 프랑스선수권 7위를 기록했다.

2.3. 1994-95 시즌

주니어 레벨에서는 1995 유러피언 유스 올림픽 페스티벌 은메달, 1995 주니어 세계선수권 5위를 기록했다. 시니어 레벨에서는 그랑프리 생제르베 동메달, 프랑스선수권 5위를 기록했다.

2.4. 1995-96 시즌

1995 NHK 트로피 6위, 1996 주니어 세계선수권 6위를 기록했다. 1996 유럽선수권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3F+2T 점프를 성공했으나, 프리 경기에서 많은 실수를 내며 8위에 머물렀다. 1996 세계선수권에서도 제 기량을 보여주지 못하고 14위로 마쳤다.

2.5. 1996-97 시즌

챔피언스 시리즈(現 그랑프리 시리즈)에도 참가했는데 1996 슈파카센 컵 동메달, 1996 트로피 랄리크 4위, 1996 스케이트 아메리카 7위, 1997 프랑스선수권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7 유럽선수권 프리 경기에서 각종 실수를 저지르며 6위를 기록했다.

1997 세계선수권 쇼트에서 클린하며 2위, 프리에서는 3F 스텝아웃, 3Lo 더블링, 3F+2T+SEQ 스텝아웃, 3Lo+1T+SEQ 팝을 하긴 했지만 후술할 다른 경쟁자들에 비해 준수한 경기력을 펼쳤고 타라 리핀스키미셸 콴에 이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 동메달은 매우 치열한 메달이었는데, 여러 변수들이 많이 일어났던 대회였기 때문이다. 1995 세계선수권 우승자이자 강력한 메달 후보였던 천루가 프리컷을 당했고, 이리나 슬루츠카야[2]마리아 부티르스카야가 크고 작은 실수들을 하면서 한 끝 차이로 각각 4위 & 5위를 기록했다. 구스메롤리도 프리에서 수행이 깔끔하진 못했으나 러츠를 성공시켰고 쇼트에서 2위였던 점[3], 예선과 본 경기를 다 잘한 선수가 거의 없었기에 동메달을 차지하게 되었다. 구스메롤리가 3위, 레티시아 위베르가 6위를 차지함으로써 올림픽 여자 싱글 출전권을 3장으로 만들었다. 그 덕분에 또 다른 동료 수리야 보날리가 복귀해도 안정적으로 출전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2.6. 1997-98 시즌

1997 트로피 랄리크 동메달, 1997 NHK 트로피 4위, 1997 스케이트 캐나다 7위, 1997 프랑스선수권 동메달, 1998 유럽선수권 11위를 기록했으며, 프랑스선수권의 결과로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 올림픽에서도 메달 후보 중 한 명이었지만 쇼트에서 트리플 러츠+더블 룹 컴비네이션을 단독 더블 러츠로 처리해버렸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토룹을 더블링한 실수를 빼고는 클린 경기를 펼치며 최종 6위를 기록했다. 1998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와 프리 모두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16위에 머물렀다.

2.7. 1998-99 시즌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동메달, 1998 트로피 랄리크 동메달, 1998 NHK 트로피 5위, 1998 프랑스선수권 은메달을 따며 선수권 대회 출전권을 얻었다. 1999 유럽선수권 5위를 기록했으며 1999 세계선수권 프리에서 플립의 실수로 인해 5위를 차지했다.

2.8. 1999-00 시즌

발 부상으로 인해 그랑프리 시리즈를 스킵하고 코치를 변경했음에도 불구하고 첫 프랑스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2000 유럽선수권에서는 쇼트와 프리[4]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예선에서 저조한 순위를 기록한 탓에 4위를 차지했다. 자국에서 열린 2000 세계선수권에서는 예선에서 부진이 꽤 커 유럽선수권보다 더 낮은 순위로 시작했으나 쇼트와 프리에서는 준수한 경기력을 펼치며 4위를 기록했다.

2.9. 2000-01 시즌

2000 트로피 랄리크 4위, 2000 슈파카센 컵 6위, 프랑스선수권 2연패를 달성했다. 프랑스선수권까지는 프리 스케이팅 음악으로 잔 다르크를 사용했으나 선수권 대회부터는 직전 시즌에 썼던 프리곡인 가을의 전설을 다시 썼다. 2001 유럽선수권2001 세계선수권에서 모두 9위를 기록했는데, 세계선수권에서 함께 출전한 레티시아 위베르가 17위로 부진하며 프랑스의 올림픽 여자 싱글 출전권이 2장으로 줄어들었다.

2.10. 2001-02 시즌

칼 셰퍼 메모리얼 우승, 2001 트로피 랄리크 10위, 2002 프랑스선수권 3연패를 달성하며 올림픽 출전 선수로 선발되었다. 2002 유럽선수권에서 11위를 하며 최종 점검을 마쳤다.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쇼트에서는 클린 경기를 수행했으나 단독 트리플 점프 플립에서 선행 스텝을 붙이지 않아 경쟁자들에 비해 낮은 기술점수를 받았다. 프리에서는 실수가 계속되며 16위로 마지막 올림픽을 마무리 했으며, 이 대회 이후 ISU 공인 국제대회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2.11. 2003-04 시즌

비공인 대회였던 니스 컵[5]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은퇴했다.

2.12. 은퇴 이후

2008년부터 코치를 시작했으며 ISU 공식 심판도 맡고 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에서 테크니컬 스페셜리스트를 맡았다.

3. 기술 및 평가

1990년대 중반 이후 상위권 여자 싱글 선수의 조건 중 하나인 5종 트리플 점프를 모두 구사했다. 특히 러츠 점프는 깊은 아웃 사이드 엣지로 도약해 준수한 스케일로 구사했다. 룹 점프는 시니어 초반에 쇼트에서 단독 점프로 뛸 만큼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당시 어려운 기술로 여겨지던 연결 더블 룹도 쇼트에서부터 구사했다. 그러나 러츠 점프는 로딩(점프를 도약하기 전까지의 준비 과정)이 너무 길었으며 성공률도 낮았다.

다른 종류 트리플 점프들도 주요 국제대회에서 적지 않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줬으며 컨시도 나쁜 편이었다. 이 때문에 1997 세계선수권 동메달리스트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의 커리어는 좋지 못했다. 수리야 보날리의 휴식과 은퇴 이후 꾸준히 세계선수권 10위권에 들면서 프랑스의 올림픽 &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2장 이상으로 유지해왔기에, 프랑스 여자 싱글 구채점제 말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선수 중 한 명이라고 볼 수 있다.

4. 커리어

세계선수권
동메달 1997 로잔여자 싱글

||<-13><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428ce8><table bgcolor=#ffffff,#1f2023><bgcolor=#428ce8> 국제대회:시니어 ||
대회 92–93 93–94 94–95 95–96 96–97 97–98 98–99 99–00 00–01 01–02 02–03 03–04
올림픽 6th 16th
세계선수권 14th 3rd 16th 5th 4th 9th
유럽선수권 8th 6th 11th 5th 4th 9th 11th
GP 스케이트 캐나다 7th
GP 슈파카센 컵 3rd 6th
GP 트로피 랄리크 4th 3rd 3rd 4th 10th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7th
GP NHK 트로피 6th 4th 5th
니스 컵 2nd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2nd
칼 셰퍼 메모리얼 7th 1st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1st 3rd
그랑프리 생제르베 10th 3rd 3rd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 5th 6th
가데나 스프링 트로피 7thJ
블루 스워즈 11thJ 4thJ
트리글라브 트로피 2ndJ
유러피언 유스 올림픽 페스티벌 3rd 2nd
국내대회
프랑스선수권 7th 5th 2nd 3rd 2nd 1st 1st 1st
GP=그랑프리 / 위첨자: J=주니어

5. 여담

  • 6살 때부터 스케이트를 시작했으며, 수상스키 대회도 함께 병행했다. 주니어 유럽선수권에서도 우승했으며, 은퇴한 직후 2003 유럽선수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 프랑스의 전직 아이스 댄스 선수다.[2] 쇼트에서 콤비네이션 점프를 성공시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프리에서 당시 초고난도였던 3Lz+2T과 3S+3Lo 점프를 성공시켰기 때문에 동메달리스트였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3] 콴이 콤비네이션 실수를 하며 쇼트 4위를 한 것도 있었다.[4] 프리 경기가 끝나고 결과에 만족했는지 눈물을 보였다.[5] 이 시기에는 스케이팅 클럽들의 대항전 격인 대회였으며 2006-07 시즌부터 ISU 공인 국제대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