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81818 0%, #313131 20%, #313131 80%, #181818);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측천황후 |
추존 | |
제성제 · 시조 · 예조 · 엄조 · 숙조 · 열조 · 현조 · 태조 | |
}}}}}}}}} |
<colbgcolor=#313131><colcolor=#fff> 무주 추존 황제 무화 | 武華 | ||
묘호 | 현조(顯祖) | |
시호 | 당 | 안성(安成) |
무주 | 입극문목황제(立極文穆皇帝) | |
작호 | 태원군왕(太原郡王) → 주왕(周王) | |
성씨 | 무(武) | |
휘 | 화(華) | |
부황 | 열조(烈祖) 무검(武儉) | |
출신지 | 병주(并州) 문수현(文水縣) |
[clearfix]
1. 개요
측천무후의 할아버지로 묘호는 현조(顯祖), 시호는 입극문목황제(立極文穆皇帝)이다. 태조(太祖)로 추존된 무사확의 아버지이다.2. 상세
무검(武儉)의 아들로 태어난 무화는 수나라에서 동도승(東都丞)을 지냈고, 577년에 조씨(趙氏)와의 사이에서 무사확이 태어났다.사실 무화 본인의 행적은 상술한 내용이 전부이다. 무화 슬하의 아들들은 무사릉(武士棱), 무사일(武士逸), 무사양(武士讓), 무사확으로 총 4명이며, 무사확의 딸이 바로 측천무후이다. 무화는 측천무후에 의해 684년에 태원군왕으로 추증되었다가, 689년에 주왕(周王)으로 추증되고 안성(安成)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측천무후가 무주혁명을 일으킨 뒤, 무화는 현조(顯祖) 입극문목황제(立極文穆皇帝)로 추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