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7 16:04:43

무함마드 자나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3A3A3A 0%, #4C4C4C 20%, #4C4C4C 80%, #3A3A3A); color: #BD8D4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왕
초대
이드리스 1세
혁명평의회 의장
초대
무아마르 카다피
아랍 자마히리야 총인민회의 서기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무아마르 카다피 압둘 아티 알오베이디 무함마드 아자루크 라자브 미프타 알우스타 우마르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압둘 라자크 아사우사 무함마드 자나티 미프타 무하메드 케바 임바레크 샤메크
제9대
모하메드 아부 알카심 알즈와이
과도기
과도국가위원회 > 국민회의
초대 과도국가위원회 위원장 국민회의 의장 권한대행 초대 국민회의 의장 국민회의 의장 권한대행
무스타파 압둘 잘릴 모하메드 알리 살림 모하메드 마가리아프 기우마 아메드 아티가
제2대 국민회의 의장
누리 아부사마인
동서 분열1
국민회의 > 구국정부 > 국민합의정부 국민의회
초대 대통령위원회 의장 국민의회 의장 권한대행 초대 국민의회 의장
파예즈 알사라지 아부 바크르 바이라 아길라 살레 이사
국가통합정부
제2대 대통령위원회 의장
모하메드 알 멘피
1: 2014년 총선 분쟁으로 동쪽의 세속주의 정부와 서쪽의 이슬람주의 정부가 분열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733b, #02993e 20%, #02993e 80%, #03773b)"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무아마르 카다피 압둘 아티 알오베이디 무함마드 아자루크 라자브 미프타 알우스타 우마르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압둘 라자크 아사우사 무함마드 자나티 미프타 무하메드 케바 임바레크 샤메크
<rowcolor=#fff> 제9대
모하메드 아부 알카심 알즈와이 }}}}}}}}}
<colbgcolor=#4c4c4c><colcolor=#bd8d44>
파일:자나티.jpg
본명 무함마드 아자나티
الزناتي إمحمد الزناتي
Muhammad az-Zanati
출생 1937년
이탈리아령 리비아
(現 리비아)
사망 2025년 5월 26일 (향년 88세)
이집트 카이로
재임기간 제6대 총인민회의 서기장
1992년 1월 18일 ~ 2008년 3월 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c4c4c><colcolor=#bd8d44> 종교 이슬람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 개요2. 생애3. 아프리카 연합 발기

1. 개요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의 제6대 총인민회의 서기장.

2. 생애

카다피의 민족인 카타파 족의 한 부류인 하와라 족이며, 그 밖 가족관계에 대해선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확실한 것은 1937년 태어났다는 것, 16년간 리비아의 총인민회의 서기장이었다는 것 뿐이었다. 근황은 철저히 숨겨져 있었으나 2025년 5월 26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3. 아프리카 연합 발기

무아마르 카다피와 사실상 시르테 협정을 채결하였으며, 아프리카 연합 발기에 큰 공을 세웠다. 자나티의 뛰어난 외교 전술 덕택에 리비아는 회의에 전혀 참여하지 않으면서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