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23:54:52

무스타파 메를리카크루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c0000, #ff0000 20%, #ff0000 80%, #cc0000);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알바니아 임시정부|
임시정부
]]
초대 임시
이스마일 체말리 페이지 알리조티
[[알바니아 공국|
공국
]]
제2대 제3대 (제2대) 제4대
투르한 퍼르메티 에사드 톱타니 투르한 퍼르메티 술레이만 델비나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일리아스 브리오니 판델리 에반젤리 차짐 코출리 하산 프리슈티나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이도멘 코스투리 자페르 위피 아흐메트 조구 셰프체트 버를라치
(제5대) 제13대 (제11대)
일리아스 브리오니 판 놀리 아흐메트 조구
[[알바니아 제1공화국|
제1공화국
]]
(제11대)
아흐메트 조구
[[알바니아 왕국|
왕국
]]
제14대 (제6대) 제15대 (제14대)
코스타치 코타 판델리 에반젤리 메흐디 프라셔리 코스타치 코타
[[이탈리아령 알바니아|
이탈리아령
]]
(제12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셰프체트 버를라치 무스타파 메를리카크루야 에크렘 리보호바 말리치 부샤티
(제17대)
에크렘 리보호바
[[알바니아 왕국(1943~1944)|
독일령
]]
제19대 제20대 제21대
레제프 미트로비차 피치리 디네 이브라힘 비착치우
[[알바니아 민주정부|
민주정부
]]
제22대
엔베르 호자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제2·3공화국
]]
(제22대) 제23대 제24대
엔베르 호자 메흐메트 셰후 아딜 차르차니
[[알바니아|
제4공화국
]]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파토스 나노 윌리 부피 빌손 아흐메티 알렉산더르 멕시
제29대 (제25대) 제30대 제31대
바시킴 피노 파토스 나노 판델리 마이코 일리르 메타
(제30대) (제25대) 제32대 제33대
판델리 마이코 파토스 나노 살리 베리샤 에디 라마 }}}}}}}}}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알바니아 제16대 총리
무스타파 메를리카크루야
Mustafa Merlika-Kruja
파일:무스타파메를리카-크루야.jpg
출생 1887년 3월 15일
오스만 제국 악차히시르 빌라예트 (現 알바니아 크루여)
사망 1958년 12월 27일 (향년 71세)
미국 뉴욕 나이아가라폴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알바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알바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앙카라 대학교 (정치학 / 졸업)
직업 정치인
소속 알바니아 파시스트당
재임기간 제16대 총리
1941년 12월 4일 ~ 1943년 1월 19일
서명
파일:무스타파 메를리카크루야 서명.svg
1. 개요2. 생애
2.1. 정치 생활 이전2.2. 정치계 입문 후
2.2.1. 망명 생활

1. 개요

제 16대 알바니아 총리이자 이탈리아령 알바니아에서 총리를 역임했었다.

2. 생애

2.1. 정치 생활 이전

그의 가족은 '벡타시'라 불리는 이슬람 수니파 신비주의 조직이었다. 그리고 그의 아버지는 알바니아 제 4대 총리였던 에사드 파샤 톱타니가 소유한 땅의 관리자였다. 그리고 그는 이오아니나에서 공부를 했고 앙카라 대학교 정치학부에 진학하여 1910년에 졸업을 했다.

2.2. 정치계 입문 후

오스만의 수도에서 학생이었을 때 술탄 압둘 하미드 2세의 독재에 맞서 "혁명동맹"에 가입했다. 청년 튀르크 혁명이후 지역학교에서 알바니아인 지원사업을 펼쳤고 "아심 케난"이란 가명을 사용하여 자유주의 언론에 "통합진보 위원회"에 대한 글을 썼다. 그는 '카이마캄'[1]이 되는 것 보다 교육분야의 경력을 선호하였고, 1910년, 이스탄불 공교육부 행정부의 비서로 임명되었고, 1년 후에는 알바니아의 '엘바산'주의 공교육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이후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의 자원병으로 참전한 이후 알바니아 독립 운동에 참여했다. 1912년 11월 28일에 블로러 의회에 참여했다.[2] 1913년에 그는 교육부에 입사했고, 1914년에는 공교육부의 고문이 되었다.

1918년, 그는 두러스 회의에 참여하여 알바니아가 독립국이 되는 것 보다 이탈리아의 보호령이 되는 것을 지지했고, 우편·전신부 장관으로 선출되었다. [3]

1921년, 그는 알바니아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는데, 그곳에서 진보적인 성향을 띄며 공개적으로 아흐메트 조구의 지지자들을 반대했고, 나중에 아흐메트 조구에 의해 공식적으로 금지되는 코소보 국가방위위원회[4]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도 했다. 1922년에는 자페르 이피 정부에 대한 쿠데타에 가담하였고 이로인해 잠시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도피해야했다. 그는 수용소에 수감되었지만 개인적인 이유로 을 방문해야한다고 요청해 임시 출국 허가를 받았지만 유고슬라비아로 돌아가지 않았고 그는 결국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블랙리스트에 오른다. 1924년에는 판 놀리정부에 의해 지사로 임명되었다.

2.2.1. 망명 생활

1924년, 아흐메트 조구의 정부를 전복시키기 위한 혁명인 6월 혁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그는 알바니아를 떠나 자다르을 거쳐 스위스에 정착했다. 그는 스위스에서 판 놀리가 설립한 코나레(KONARE)[5]에 합류했다. 망명 기간 동안 크루야는 친이탈리아적이고 조구에 대한 저명한 반대파 중 한명이었고, "바시키미 콤베타르"(Bashkimi Kombëtar, "국민연합") 조직과 다른 알바니아 망명 인사들과도 관계를 유지했다.
[1] 오늘날의 주지사 같은 계급[2] 그의 이름이 독립법 서명자 명단에 있다.[3] 알바니아의 저명한 정치인이었던 세이피 블리마시의 회고에 따르면 그는 루슈네 회의에 반대하는 사람 중 하나였다고 한다.[4] 코소보 해방과 대알바니아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로, 1919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의 알바니아인 반군을 이끌고 코소보, 마케도니아, 산자크에서 카차크 운동을 벌였지만 패배했고 조구에 의해 해산된다.[5] Komiteti Nacional Revolucionar (국가혁명위원회), 조구의 정부를 전복시키려고 시도했던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