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22:01:31

무리함수

초등함수
Elementary Func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67843> 대수함수 다항함수 (상수 · 1차 · 2차 · 3차 · 4차 · 추론 · 공식 ( 길이 · 넓이 ) · 소수생성) · 유리함수 · 무리함수
초월함수 지수함수( 확률밀도함수 · 허수지수함수 ) · 로그함수 ( 복소로그함수 ) · 삼각함수 · 역삼각함수 · 쌍곡선 함수 · 역쌍곡선 함수 }}}}}}}}}

1. 정의2. 그래프
2.1. 대칭이동2.2. 해석적 확장
3. 역함수4. 무한에 대한 극한값5. 도함수6. 역도함수
6.1. 특수한 적분법
6.1.1. 일차식의 거듭제곱근이 포함된 경우6.1.2. 유리식의 거듭제곱근이 포함된 경우6.1.3. 삼각치환법6.1.4. 이차식의 제곱근이 포함된 경우6.1.5. 타원 적분
7. 정적분8. 기타9. 관련 문서

1. 정의

/ irrational function

교육과정 전용 용어로, 이 문서에서는 [math(f(x)=\sqrt{ax+b}+c)] 꼴의 함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무리함수에는 근호가 포함되어 있고, 실수 범위에서 근호 안에는 음수가 올 수 없기 때문에(음수까지 포함하는 경우는 후술.) [math(f(x)=\sqrt{ax+b}+c)] (단, [math(a>0)])에 대하여 정의역은

[math( \displaystyle \left\{\biggl. x \biggr|x \geq -\frac{b}{a},\,x \in \mathbb{R} \right \} )]

를 만족시켜야 하고, 치역은

[math( \displaystyle \{ f(x)|f(x) \geq c,\,f(x) \in \mathbb{R} \} )]

이 된다. 특히 [math(b=c=0)]일 때, 함수의 꼴은 [math(f(x)=\sqrt{ax})]가 되고,
  • 정의역은 [math( \displaystyle \{ x|x \geq 0,\,x \in \mathbb{R} \} )]이다.
  • 치역은 [math( \displaystyle \{ f(x)|f(x) \geq 0,\,f(x) \in \mathbb{R} \} )]이다.

그러나 [math(f(x)=\sqrt{x^2 + x+1})]이나 [math(f(x)=\sqrt{{(x+3)}/{(2x-7)}})]과 같은 함수도 무리함수다.

2. 그래프

무리함수 [math(y=\pm \sqrt{ax+b}+c)]의 그래프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 무리함수의 역함수이차함수이므로 포물선의 일부이다.
  • 그래프의 시작점은 [math(\left( -\dfrac{b}{a},\,c \right))]이다.
  • [math(|a|)]값이 작을수록 그래프는 직선 [math(y=c)]에 가까워진다.

모든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평행이동을 통하여 [math(y=\pm \sqrt{\pm ax})] 형태로 바꿀 수 있으므로 이 함수들의 그래프만 따져보면 된다. 다음은 무리함수 [math(y=\pm \sqrt{\pm ax}\;(a>0))]의 그래프이다.

파일:나무_무리함수_그래프_11.png

무리함수 [math(y=\pm \sqrt{ax+b}+c)]의 그래프는 [math(y=\pm \sqrt{ax})]를 평행이동하면 된다. 예시로 [math(y=\sqrt{-2x-4}+3)]은 [math(y=\sqrt{2x})]를 [math(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한 후 [math(x)]축 방향으로 [math(-2)]만큼, [math(y)]축 방향으로 [math(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파일:나무_무리함수_그래프_예시.png

2.1. 대칭이동

무리함수 [math(f(x)=\sqrt{ax+b}+c)] (단, [math(a>0)])는

[math( \displaystyle f(x)=\sqrt{a\left(x+\frac{b}{a} \right)}+c )]

형태로 변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함수의 그래프는 [math(y=\sqrt{ax})]의 그래프를 [math(x)]축 방향으로 [math(-{b}/{a})]만큼, [math(y)]축 방향으로 [math(c)]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그 기본꼴 [math(y=\sqrt{ax})]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다음 세 가지 유형의 함수를 얻을 수 있다.
  • [math(y=\sqrt{-ax})]
    • [math(y=\sqrt{ax})]를 [math(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 정의역은 [math( \displaystyle \{ x|x \leq 0,\,x \in \mathbb{R} \} )]
    • 치역은 [math( \displaystyle \{ y|y \geq 0,\,y \in \mathbb{R} \} )]
  • [math(y=-\sqrt{ax})]
    • [math(y=\sqrt{ax})]를 [math(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 정의역은 [math( \displaystyle \{ x|x \geq 0,\,x \in \mathbb{R} \} )]
    • 치역은 [math( \displaystyle \{ y|y \leq 0,\,y \in \mathbb{R} \} )]
  • [math(y=-\sqrt{-ax})]
    • [math(y=\sqrt{ax})]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
    • 정의역은 [math( \displaystyle \{ x|x \leq 0,\,x \in \mathbb{R} \} )]
    • 치역은 [math( \displaystyle \{ y|y \leq 0,\,y \in \mathbb{R} \} )]

2.2. 해석적 확장

이 문서에선 복소해석학의 관례에 따라 자연로그를 [math(\log)]로 표기합니다.

실수 범위에서는 무리함수 그래프가 온전히 보이지 않으므로, 복소평면으로 정의를 확장해 보자.

제곱근은 지수함수복소로그함수합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1], 아래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math(\begin{aligned} \displaystyle \sqrt{z} &= e^{(\log z) / 2} \\ &= \sum_{n=0}^{\infty} {\{(\log z) / 2\}^n \over n!} \\ &= 1 + \frac{\log z}{2} + \frac{\log^2 z}{8} + \frac{\log^3 z}{48} + \cdots \end{aligned})]

이 식으로 복소평면에서 아래의 그래프를 얻는다:
파일:Complex_sqrt_leaf1.jpg 파일:Complex_sqrt_leaf2.jpg
[math(\sqrt{z} : \mathbb{C} \rightarrow \mathbb{C})]의 그래프
복소평면에서는 [math(Re(z) < 0)], [math(Im(z)=0)]에서 색이 끊긴 듯한 방사형 그래프가 두 장 나오는데[2], 사실 저 끊긴 듯한 부분은 서로를 이어주는 이음매이다. 이를 옆에서 보면 아래와 같은 모양이 된다.[3]

파일:Riemann_surface_sqrt.svg

[math(n)]제곱근의 경우 [math(n)]개로 분할 가능한 곡면이 나타난다.
파일:1280px-Riemann_surface_cube_root.svg 파일:Riemann_surface_4th_root.svg
[math(f(z)=\sqrt[3]{z})] [math(f(z)=\sqrt[4]{z})]

3. 역함수

무리함수 [math(y=\pm \sqrt{ax+b}+c)]의 역함수를 구하기 위해 [math(x)]와 [math(y)]의 자리를 바꾸면

[math( \displaystyle x=\pm\sqrt{ay+b}+c \quad \to \quad \pm\sqrt{ay+b}=x-c )]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math( \displaystyle ay+b=(x-c)^{2} \quad \to \quad y=\frac{1}{a}\{(x-c)^{2}-b\} )]

이차함수가 된다. 단, 역함수의 정의역은 본래 함수의 치역임에 유의한다. 즉, 역함수의 그래프는 대칭축을 기준으로 반으로 잘린 모양이다.

4. 무한에 대한 극한값

모든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무리함수 [math(y=\sqrt{ax} \;(a>0))]의 그래프를 평행이동 혹은 대칭이동하여 만들 수 있다. 따라서 [math(y=\sqrt{ax} \;(a>0))]만 논해도 무방하다.

[math(y=\sqrt{ax} \;(a>0))]의 극한값은

[math( \displaystyle \lim_{x\to \infty}\sqrt{ax}=\infty )]

이고, 이는 변형된 엡실론-델타 논법으로 증명된다. 곧, 임의의 양수 [math(M)]에 대하여

[math( \displaystyle x>K \Rightarrow \sqrt{ax} >M )]

을 만족시키는 양수 [math(K)]가 존재함을 보이면 된다.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sqrt{ax} >M &\to \sqrt{x}>\frac{M}{\sqrt{a}} \\& \to x>\frac{M^{2}}{a} \end{aligned})]

따라서 [math( \displaystyle K = {M^{2}}/{a} )]으로 택하면 충분하고,

[math( \displaystyle \begin{aligned} x>\frac{M^{2}}{a} \Rightarrow \sqrt{ax}>M \end{aligned} )]

이므로 [math(\displaystyle \lim_{x\to \infty}\sqrt{ax}=\infty)]임을 알 수 있다.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math(x)]가 무한히 커지면 [math(\sqrt{ax})]도 무한히 커지므로 [math(\displaystyle\lim_{x\to \infty}\sqrt{ax}=\infty)]'로 알면 충분하다.

5. 도함수

무리함수 [math(f(x)=\sqrt[n]{x})]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math( \displaystyle f'(x)=\frac{\sqrt[n]{x}}{nx} )]


이 도함수는 [math(x=0)]에서의 미분계수를 정의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6. 역도함수

무리함수 [math(f(x)=\sqrt[n]{x})]의 역도함수는

[math( \displaystyle \int f(x)\, {\rm d}x=\frac{nx\sqrt[n]{x}}{n+1}+\textsf{const.} )]

이다. [math(\textsf{const.})]는 적분 상수이며 [math(C)]로도 쓴다.

6.1. 특수한 적분법

6.1.1. 일차식의 거듭제곱근이 포함된 경우

피적분함수가 [math(\sqrt[n]{ax+b})] (단, [math(a)], [math(b)]는 상수)를 포함할 때는 [math( \displaystyle \sqrt[n]{ax+b}=t )]로 치환하면 피적분함수가 [math(t)]에 대한 유리식이 되어 적분할 수 있다.

6.1.2. 유리식의 거듭제곱근이 포함된 경우

피적분함수가 [math( \displaystyle \sqrt[n]{(ax+b)/(cx+d)} )] (단, [math(a\sim d)]는 상수)를 포함할 때는 [math( \displaystyle \sqrt[n]{(ax+b)/(cx+d)}=t )]로 치환하면 피적분함수가 [math(t)]에 대한 유리식이 되어 적분할 수 있다.

6.1.3. 삼각치환법

피적분함수가 [math(\sqrt{a^2-x^2})], [math(\sqrt{a^2+x^2})] (단, [math(a)]는 상수) 형태일 때 변수를 삼각함수로 치환하여 적분하는 방법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삼각치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4. 이차식의 제곱근이 포함된 경우

피적분함수가 [math(\sqrt{ax^2+bx+c} )] (단, [math(a)], [math(b)], [math(c \neq 0)])를 포함할 때, [math(a)]의 부호에 따라 다르게 적분한다.[4]

[1] [math(\boldsymbol{a>0})]

[math(\sqrt{ax^2+bx+c}=t-\sqrt{a}x)]

로 치환하여 피적분함수를 [math(t)]에 대한 유리식으로 바꾸어 적분한다.

[2] [math(\boldsymbol{a<0})]
이차식 [math(ax^2+bx+c)]를 [math(a(x-\alpha)(x-\beta))]로 인수분해하여

[math( \sqrt{\dfrac{x-\alpha}{\beta-x}}=t )]

로 치환한 뒤

[math( x=\dfrac{\alpha+\beta t^2}{t^2+1} \quad \to \quad {\rm d}x=\dfrac{2t(\beta-\alpha)}{(1+t^2)^2}\,{\rm d}t )]

이고,

[math( \sqrt{ax^2+bx+c}=\dfrac{\sqrt{-a} |\alpha-\beta| }{1+t^2} )]

임을 이용하여 적분한다.

6.1.5. 타원 적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타원 적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무리함수의 적분으로 정의되는 특수함수이다.

7. 정적분

  • [math(\displaystyle \int^1_{-1} \frac{{\rm d}t}{\sqrt{1-t^2}} = 2\int_0^1 \frac{{\rm d}t}{\sqrt{1-t^2}} = \pi)][5]

8. 기타

  • 무리함수는 도함수를 구하는 것이 비교적 쉬우나 역도함수는 여러 적분법을 써야 간신히 구해지는 경우가 많다.
  • 무리함수의 무한합으로 병리적 함수를 만들 수 있다. #

9. 관련 문서


[1] 모든 초등함수의 공통적인 특징이다.[2] 즉, 다가 함수다.[3] 이처럼 복소평면에서 하나의 함수가 둘 이상의 함수 그래프를 그릴 때, 이를 하나의 곡면으로 매끄럽게 이어붙인 것을 리만 곡면(Riemannsche Fläche)이라고 한다.[4] 단, 드물지만 완전제곱식이 튀어나와서 사실상 일차함수인데 무리함수로 위장하여 낚는 경우도 있다.[5] [math(\pi)]는 원주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