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19:35:31

몽펠리에 에로 럭비

몽펠리에 에로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TOP 14 로고.png2025-26 TOP 14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라싱 92 로고.png
파일:리옹 OU 로고.png
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
파일:석시옹 팔루아즈 2021.png
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
파일:스타드 프랑세 파리 로고.png
파일:아비롱 바요네 로고.png
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
파일:카스트레 올랭피크 로고.png
파일:ASM 클레르몽 로고.png
파일:RC 툴로네 로고.png
파일:US 몽탈바내즈 로고.png
파일:USA 페르피냥 로고.png
프로 D2 참가 구단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림 럭비파일:프랑스 국기.svg TOP 14파일:URC.png URC }}}}}}}}}}}}
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
몽펠리에 에로 럭비
Montpellier Hérault Rugby
정식 명칭 몽펠리에 에로 뤽비 (Montpellier Hérault Rugby)
별칭 Les Cistes
창단 1986년
소속 리그 TOP 14
연고지 옥시타니, 에로, 몽펠리에
홈 구장 GGL 스타디움 (GGL Stadium, 15,697명 수용 가능)
단장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헤드 알트라드 (Mohed Altrad)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조앙 코뒤요 (Joan Caudullo)
주장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렉상드르 베코녜 (Alexandre Bécognée)
웹사이트 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TOP 14
(1회)
2021-22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
(0회)
-
EPCR 챌린지 컵
(2회)
2015-16, 2020-21
† 유러피언 실드
(1회)
2003-04[1]
프로 D2
(1회)
2002-03
클럽 기록
최다 출장 파일:프랑스 국기.svg 퓔장스 우에드라오고 (Fulgence Ouedraogo) - 340회 (2005~2022)
최다 득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누아 파요그 (Benoît Paillaugue) - 1,368점 (2009~2022)
최다 트라이 파일:피지 국기.svg 티모시 낭우사 (Timoci Nagusa) - 92회 (2010~2020)

1. 개요2. 상세3. 선수단4. 역대 시즌
4.1. 1995 ~ 2000년4.2. 2000년 ~ 현재

1. 개요

몽펠리에 연고의 프로 럭비 유니언 구단. 1부 리그인 TOP 14에 참가하고 있다.

2. 상세

TOP 14/2021-22 시즌 우승팀이다. 그런데 2020-21 시즌엔 10위, 2022-23 시즌엔 11위, 그리고 2023-24 시즌엔 13위로 반짝 우승 이후 부진하고 있다.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2022-23 시즌 16강 엑서터 치프스와의 경기가 굉장히 치열했다. 엑서터가 26:23으로 앞선 채 80분을 넘겼다. 파올로 가르비시가 마지막 공격 기회에서 얻은 45m 페널티 킥을 성공하여 26:26으로 동점, 연장전으로 넘어갔다.
20분의 연장전 12분째에 엑서터의 장거리 페널티 킥이 실패하고, 14분째 몽펠리에가 마침내 트라이를 성공하며 26:33이 되었다. 남은 5분만 버티면 8강에 진출하는 상황. 이번엔 20분이 모두 지나고 마지막 공격에서 엑서터가 7점을 올려 동점이 되었다.
하마터면 승부차기를 갈 뻔 했으나, 트라이 수에서 엑서터가 5:4로 앞섰기 때문에 승리는 엑서터의 것이 되었다. 승부차기를 갔으면 매우 볼만 했을듯.[2]


이전엔 몽펠리에 럭비 클럽이었으나 2008년 몽펠리에 에로 럭비로 개칭했다.

3. 선수단

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
몽펠리에 에로 럭비 2025-26 시즌 선수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포지션 유니언 한글 이름[1] 원어 이름 비고
후커
(4)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암 아크랍 Lyam Akrab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리키 리키텔리 Ricky Riccitelli
파일:프랑스 국기.svg 크리스토페 톨로푸아 Christopher Tolofua
파일:호주 국기.svg 조던 율리시 Jordan Uelese
프롭
(7)
파일:조지아 국기.svg 니카 아불라제 ნიკა აბულაძე
Nika Abuladze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티스트 에르도시오 Baptiste Erdocio
파일:프랑스 국기.svg 앙조 포를레타 Enzo Forletta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아메드 아우아 Mohamed Haouas
파일:세네갈 국기.svg 윌프리드 웅파탱 Wilfrid Hounkpatin
파일:조지아 국기.svg 루카 자파리제 ლუკა ჯაფარიძე
Luka Japaridze
파일:프랑스 국기.svg 발랑탱 웰시 Valentin Welsch

(4)
파일:웨일스 국기.svg 애덤 비어드 Adam Beard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스티앙 샬뤼로 Bastien Chalureau
파일:프랑스 국기.svg 타일러 뒤기드 Tyler Duguid
파일:프랑스 국기.svg 플로리앙 베르하게 Florian Verhaeghe
플랭커
(3)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렉상드르 베코녜 Alexandre Bécognée
파일:프랑스 국기.svg 야쿠바 카마라 Yacouba Camara
파일:프랑스 국기.svg 르니 누시 Lenni Nouchi
넘버 8
(3)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알렉산더 마심바카 Alexander Masibaka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르코 톨레뉴 Marco Tauleign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빌리 부니폴라 Billy Vunipola
스크럼
하프

(3)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렉시 베르나데 Alexis Bernadet
파일:프랑스 국기.svg 레오 콜리 Léo Coly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앨리 프라이스 Ali Price
플라이
하프

(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도밍고 미오티 Domingo Miotti
파일:프랑스 국기.svg 위고 뢰 Hugo Reus
파일:프랑스 국기.svg 토마 뱅상 Thomas Vincent
센터
(5)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귀스트 카도 Auguste Cadot
파일:프랑스 국기.svg 토마 다르몽 Thomas Darm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녹스 아냐누 Lennox Anyanwu
파일:IRFU 로고.png 칼 마틴 Jan Serfontein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튀르 뱅상 Arthur Vincent

(4)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엘 무스탱 Maël Moustin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 은간데베 Gabriel N'Gandebe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마도시 탐브웨 Madosh Tambwe
파일:프랑스 국기.svg 도노방 타오피페누아 Donovan Taofifénua
풀백
(2)
파일:호주 국기.svg 톰 뱅크스 Tom Banks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튜어트 호그 Stuart Hogg
코치진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조앙 코뒤요(Joan Caudullo)
경기장
홈구장: GGL 스타디움 (15,697석)
[1] 볼드체는 국가대표 출전 경험이 있는 인원
}}}}}}}}}}}}

4. 역대 시즌

4.1. 1995 ~ 2000년

럭비 유니언이 프로화되고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이 시행되기 시작한 1995년부터 컵 대회가 폐지된 2000년까지의 성적이다.
||<tablebordercolor=#002d59><tablebgcolor=#fff,#2d2f34><rowbgcolor=#002d59><rowcolor=#fff> 시즌 || 리그 || 순위 || 포스트시즌 || || 결과 || 유러피언컵 || 결과 ||

4.2. 2000년 ~ 현재

||<tablebordercolor=#002d59><tablebgcolor=#fff,#2d2f34><rowbgcolor=#002d59><rowcolor=#fff> 시즌 || 리그 || 순위 || 포스트시즌 || 유러피언컵 || 결과 ||* : 챔피언스 컵 탈락 이후 챌린지 컵에 진출한 경우
[1] 챌린지 컵 1라운드 탈락자들이 모이는 곳이었다. 2002년 시행된 후, 챌린지 컵이 조별리그 체제를 갖춘 2004년 세 시즌만에 폐지.[2] 럭비 승부차기에선 프롭들까지 나와서 차는 진풍경이 연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