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항우울제
[clearfix]
1. 개요
Monoamine oxidase inhibitor모노아민 계통의 생화학물질인 세로토닌 등의 분해를 담당하는 효소의 효과를 막는다. 결과적으로 화학물질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우울증의 생화학적 요인을 막아 주는 것.
2. 기전
2.1. 모노아민 산화효소
모노아민 산화효소(MAO)는 세로토닌, 도파민, 아드레날린,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모노아민(monoamine)을 산화하는 효소이다. MAO는 모노아민의 분해에 관여한다. MAO에는 두 가지 아형(MAO-A, MAO-B)이 있다.2.2. 모노아민 이론
모노아민 이론(monoamine theory)은 우울증의 기전을 설명하는 가설로, 중추신경계의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이 우울증의 발생과 연관이 있다는 가설이다. 이에 따르면, 중추신경계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부족은 우울증을 야기한다. 따라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양을 늘리면,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설이다. 모노아민의 신경 전달을 증가시키는 이프로니아지드(iproniazid) 등이 항우울 효과가 있고, 모노아민의 신경 전달을 감소시키는 레세르핀(reserpine) 등이 우울증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은 이 가설을 뒷받침한다.[1]모노아민 이론에 따른 우울증의 치료에는 한 가지 한계가 있는데,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를 상승시키는 약을 복용하더라도 그 효과가 나타날 때 까지 상당한 시간[2]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2.3. MAOI의 기전
연접틈새(synaptic cleft)[3]로 분비된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은 시냅스 전 뉴런으로 재흡수되어 MAO에 의해 분해된다.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는 시냅스 전 뉴런의 MAO를 억제하여, 시냅스 전 뉴런에 모노아민을 농축시키고, 활동전위(action potential)가 있을 때, 더 많은 모노아민이 분비되도록 유도한다.3. 부작용
가장 큰 부작용으로 치즈 효과(Cheese Reaction)라는 증상이 있는데, 소화기관에서 필요한 모노아민산화효소의 효과까지 저해하기 때문에 각종 음식에 들어있는 모노아민 중 하나인 타이라민(Tyramine)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게 되어 나타나는 증상이다. 치즈, 김치나 각종 알콜성 음료 같은 숙성된 음식에는 타이라민이 많이 있는데,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를 먹는 사람은 이러한 음식을 먹을 시 타이라민의 교감신경 항진 효과로 인해 혈압이 미친듯이 오를 수 있다. 그 외에는 수면 방해 효과가 있을 수 있으니 되도록이면 일찍 복용하는 것이 좋다. SSRI가 나온 이후에는 증상이 경한 우울증 환자들에게는 1차 약제로 잘 사용되지 않는다.다른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세로토닌 증후군(serotonin syndrome)이 있다. MAOI를 다른 항우울제(SSRI,SNRI 등)와 함께 복용하는 등의 이유로 세로토닌의 농도가 크게 상승한다면 세로토닌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발작, 빈맥, 고혈압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혼수까지 발생할 수 있다.
4. 종류
4.1. 비선택적 MAO 억제제
아래 약들은 MAO-A, MAO-B에 모두 작용(비선택적)하고, 비가역적(irreversible)으로 MAO를 억제한다.- 이프로니아지드(Iproniazid)
- 페넬진(Phenelzine)
- 트라닐시프로민(Tranylcypromine)
4.2. 선택적 MAO-A 억제제
- 모클로베마이드(Moclobemide)
- 클로르길린(Clorgyline)
4.3. 선택적 MAO-B 억제제
MAO-B 억제제는 파킨슨병의 치료에 사용된다.- 라사길린(Rasagiline)
- 셀레길린(Selegiline)
[1] 항우울 효과가 밝혀지기 전까지, 이프로니아지드의 본래 용도는 항결핵약이었고, 레세르핀은 고혈압약이다.[2] 몇 주에서 몇 달이 소요될 수 있다.[3] 시냅스 전 뉴런과 시냅스 후 뉴런 사이 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