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9 18:08:00

맷 기토

파일:맷 지토.jpg
맷 기토
Matt Giteau
본명 매튜 제임스 기토
Matthew James Giteau
생년월일 1982년 9월 29일 ([age(1982-09-29)]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출신지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신체 178cm / 체중 85kg
포지션 센터, 스크럼하프, 플라이하프
클럽 경력 파일:호주 국기.svg 브럼비스 (2001~2006)
파일:호주 국기.svg 웨스턴 포스 (2007~2009)
파일:호주 국기.svg 브럼비스 (2010~2011)
파일:프랑스 국기.svg RC 툴로네 (2011~2017)
파일:일본 국기.svg 산토리 선골리앗 (2017~2020)
파일:미국 국기.svg LA 길티니스 (2021)
파일:미국 국기.svg 샌디에이고 리전 (2024)
국가대표 파일:Wallabies.png 호주 (2002~2016)

1. 개요2. 기록3. 기타

1. 개요

호주럭비 선수.

2021~2022년 LA 길티니스와 계약했으나, 팀의 리그 방출과 본인의 부상으로 2022년은 출전하지 못 했다. 이후 팀과의 계약이 종료되고 2023년 초 은퇴를 선언했으나, 10달 뒤 12월에 샌디에이고 리전과 계약하며 현역 복귀를 했다. 메이저 리그 럭비/2024 시즌 준우승으로 프로 경력을 마무리했다.

2. 기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순위 이름 기록
1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댄 카터 1,598점
2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오웬 패럴 1,271점
3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니 윌킨슨 1,246점
4위 파일:IRFU 로고.png 조니 섹스턴 1,113점
5위 파일:웨일스 국기.svg 닐 젱킨스 1,090점
6위 파일:IRFU 로고.png 로넌 오가라 1,083점
7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플로린 블라이쿠 1,030점
8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디에고 도밍게스 1,010점
9위 파일:웨일스 국기.svg 스티븐 존스 970점
10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앤드루 머튼스 967점
11위 파일:호주 국기.svg 마이클 라이나 911점
12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니콜라스 산체스 902점
13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퍼시 몽고메리 893점
14위 파일:호주 국기.svg 맷 버크 878점
15위 파일:웨일스 국기.svg 리 하프페니 850점
16위 파일:조지아 국기.svg 메랍 크비리카시빌리 840점
17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한드레 폴라드 815점
18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보든 배럿 813점
19위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크리스 패터슨 809점
20위 파일:러시아 국기.svg 유리 쿠시나레프 797점
21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모르네 스테인 742점
22위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개빈 헤이스팅스 736점
23위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그레이그 레이들로 714점
24위 파일:일본 국기.svg 고로마루 아유무 711점
25위 파일:호주 국기.svg 맷 기토 698점
26위 파일:호주 국기.svg 버나드 폴리 673점
27위 파일:피지 국기.svg 니키 리틀 670점
28위 파일:웨일스 국기.svg 댄 비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우고 포르타
656점
30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펠리페 콘테포미 651점
2025년 10월 4일 기준
볼드체 : 현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순위 이름 기록
1위 파일:일본 국기.svg 오하타 다이스케 69회
2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브라이언 하바나 67회
3위 파일:호주 국기.svg 데이비드 캠피시 64회
4위 파일:웨일스 국기.svg 셰인 윌리엄스 60회
5위 파일:일본 국기.svg 오노자와 히로토키 55회
6위 파일:조지아 국기.svg 아카 타부차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로리 언더우드
50회
8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더그 하울렛
파일:웨일스 국기.svg 조지 노스
49회
10위 파일:IRFU 로고.png 브라이언 오드리스콜 46회
11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줄리안 사비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크리스천 컬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조 로코도코
46회
14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보든 배럿 45회
15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제프 윌슨 44회
16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윌 조던 43회
17위 파일:웨일스 국기.svg 가레스 토마스 41회
18위 파일:호주 국기.svg 크리스 래텀 40회
19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벤 스미스
파일:호주 국기.svg 애덤 애슐리쿠퍼
39회
21위 파일:프랑스 국기.svg 다미앙 프노
파일:캐나다 국기.svg DTH 반더머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리코 이오아니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유어스트 판데르베스트헤이젠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르주 블랑코
38회
26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조나 로무
파일:통가 국기.svg 이스라엘 폴라우
37회
28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타나 우망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니 메이
파일:IRFU 로고.png 키스 얼스
36회
31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존 커완 35회
32위 파일:프랑스 국기.svg 뱅상 클레르
파일:호주 국기.svg 드루 미첼
파일:웨일스 국기.svg 유언 에반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밀스 멀리아이나
34회
36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호드리구 마르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마카졸레 마핌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시티베니 시비바투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디에고 오르마에체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커털린 페르쿠
33회
41위 파일:일본 국기.svg 키쿠타니 타카시
파일:프랑스 국기.svg 필리프 생탕드레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자크 푸리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두한 판데르메르버
32회
45위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달시 그레이엄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사르 셈페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코헨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윌 그린우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레미 거스콧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마아 노누
31회
2025년 10월 4일 기준
볼드체 : 현역
}}}}}}}}}}}} ||

3. 기타

2015년, 럭비 오스트레일리아는 그의 이름을 딴 "맷 기토 법"을 도입했는데, 해외 리그에서 뛰는 선수가 호주 국가대표로 선발되기 위한 조건을 명문화한 규정이다. 사실 선수들에게 족쇄를 채우는 규정이 아니라, 반대로 족쇄를 일부 해제하는 규칙이다. 맷 기토 법이 도입되기 전 호주 국대로 선발되기 위해선 오직 슈퍼 럭비의 호주 클럽에서만 뛰어야 했었다. 시기별로 아래와 같이 규정은 완화되어 왔다.
  • 2015년 4월 ~ 2020년 9월 : 국가대표로서 60경기 이상, 슈퍼 럭비에서 일곱 시즌 이상 보낸 선수는 국가대표로 선발 가능. 2015 럭비 월드컵 이전 마이클 체이카 감독의 요청으로 제정되었다. 그 의도는 당시 RC 툴로네에서 뛰던 맷 기토를 대표팀으로 선발하기 위함이었다.
  • 2020년 9월 ~ 2022년 2월 : 위 기준을 충족하지 아니한 선수라도 2명에 한하여 대표팀으로 선발 가능.
  • 2022년 2월 ~ 2025년 8월 : 국가대표 출전 횟수 기준을 30회로, 슈퍼 럭비 소속으로 보낸 시즌을 5년으로 하향. 이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선수를 한 대회에 3명까지 선발할 수 있게 상향.
  • 2025년 8월 : 관련 기준 전격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