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22:40:09

말썽꾸러기 화차


파일:토마스와 친구들 영문 로고(2003).svg
철도 차량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객차
애니 클라라벨 헨리에타 급행 열차
스르르 객차 해나 오래된 고물 객차 일반 객차
안안 인롱 오브리 에이든
덱스터 베페
화물차
말썽꾸러기 화차 박스 화차 유조 화차 평판차
스크러피 헥터
차장차
토드 짓궂은 차장차 브래드퍼드 일반 차장차
구조용 크레인
로키 주디 제롬
}}}}}}}}} ||

<colcolor=#fff> 말썽꾸러기 화차
Troublesome Trucks/Freight cars
파일:1000048647.png
<colbgcolor=#000000> 토마스와 친구들에서의 모습[1]
이름 말썽꾸러기 화차
Troublesome trucks/Frieght cars
기반 모델 7-플랭크 화차
성별 남성
차량번호 미번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도어섬
데뷔 철도 시리즈 1권 세 기관차 이야기
창조자 윌버트 오드리
성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벤 스몰, 크리스토퍼 래글랜드, 케리 셰일, 윌리엄 호프, 롭 렉스트로우, 래스머스 하디커 외 다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전태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출신지
소속 소도어섬 노스 웨스턴
거주지 소도어섬의 "채석장 & 항구"
1. 개요2. 특징3. 기종4. 여담5. 장난감

1. 개요

파일:원작_화차.png 파일:모형_화차.png 파일:CGI_화차.png
변천사(과거 ~ 현재)
Trucks are waiting in the Yard;
Tackling them with ease'll
"Show the world what I can do",
Gaily boasts the Diesel.
In and out he creeps about,
Like a big black weasel.
When he pulls the wrong trucks out~
Pop goes the Diesel!
뭐든지 다 하고 다 할줄 안다더니~
엉뚱한 화물차들을 끌어내려다가~[2]
디젤은 기운만 빼고 헛수고만 했대요~
잘난 척하고 뽐내더니 쌤통이다~ 디젤!
시즌 2 12화 "Pop Goes the Diesel" 에피소드 中
토마스와 친구들에서 등장하는 화차들. 일반 화차를 기반으로 하였다.

2. 특징

철도 시리즈, 모형 시리즈, CGI 시리즈에서 개근하며 등장한 희대의 트러블 메이커.[3]

이들을 총칭하는 명칭도 말썽꾸러기 화차(Troublesome Truck)이니 말 다했다.
파일:thomas and the trucks.png
토마스를 언덕에서 밀어 빨리 달리게 하는 모습
화물차라는 특성상 어디서나 언제든 등장하는 캐릭터들로 자신들을 견인하는 증기, 디젤 기관차 상관 없이 짓궂은 장난을 친다. 조롱하며 노래를 부르는건 기본이고[4] 언덕을 오르거나 화물차를 끌려고 하면 억지로 브레이크를 걸어 막고, 내리막길을 내려갈 때는 반대로 "빨리! 빨리! 빨리달려~!"를 외치며 기관차를 밀어 가속도를 붙인다. 결과는 당연히 탈선이나 추돌 등 큰 사고로 이어진다. 특히 제임스와 퍼시가 자주 당했는데, 제임스의 경우 검은색 도색 시절에도 브레이크 파손이 더해서 커브에서 탈선했고 타르 탱크와 충돌하게 만든다거나 퍼시도 화차들의 문제는 아니었지만 이 차량들을 견인하다가 초콜릿 공장 앞에서 제때 정차하지 못해 그대로 추돌하고 초콜릿을 뒤집어쓰는 등(...) 악연이 많다. 반대로 에드워드나 보코 같이 화물차에게도 친절한 기관차들의 말은 잘 듣고 얌전하게 군다.

올리버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화물차들이 복종하는데, 이전에 화물차들이 올리버를 전차대 아래로 떨어뜨리고 그걸 가지고 놀리다가 올리버가 그들의 리더격인 네임드 화차 스크러피(S.C.RUFFY)를 억지로 끌려다 부숴버렸다. 그 이후로 올리버에게 깝쳤다간 자신들도 스크러피와 같은 꼴이 날 거라며 몸을 사렸다.[5] 이 때 화차들의 말은 "올리버 씨야, 조심해! 장난쳤다간 원래 모습을 찾기 힘들게 돼!"(...)

3. 기종

파일:화차 모티브.jpg

영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무개차의 모습이다.

4. 여담

<nopad>
피치를 낮춘 버전[6]
  • 시즌 2부터 7까지 화물차들의 웃음소리는 시즌 1부터 7까지의 작곡가인 주니어 캠벨과 마이크 오 도넬의 목소리에서 피치를 높인 것이며 "Pop Goes the Diesel"과 "Pop Goes Old Ollie" 를 부르는 영상도 마찬가지다. 다만 주니어는 웃음소리와 노래를 모두 녹음했지만, 마이크는 웃음소리만 녹음했다. 참고로 올리버 에피소드에서도 나온다.
  • 화물차들이 시즌 2 12화 "Pop Goes the Diesel" 에피소드와 시즌 4 20화 "Toad Stands By" 에피소드에서 각각 부른 "Pop Goes the Diesel"과 "Pop Goes Old Ollie" 노래는 "Pop Goes the Weasel"의 패러디이다.
  • 한국에서는 성우가 거의 동일하다.
  • 시즌 1에는 회색 얼굴부분 없이 눈과 입만있는 형태였다.

5. 장난감

자세한 것은 말썽꾸러기 화차/장난감 문서를 참고하세요.
[1] 시즌 3의 토비와 줄타기 곡예편이다.[2] 디젤이 끌어내려던 이 화물차들은 정확한 사유가 나오진 않지만 나레이션의 '오랫동안 움직인 적이 없는 낡은 화물차들'이라고 말하는 것을 보면 운행 중지된 차량임은 짐작할 수 있다. 완벽한 삽질.[3] 모든 등장하는 철도차량들을 합하면 협궤철도의 던컨이 가장 심하며, 본선에서도 빌과 벤 등이 있다.[4] 기관차들이 하지 말라고 제지해도 당연히 무시하고 계속 불러댄다. 올리버가 처음올 때도 거의 신고식 수준이었을 정도.[5] 철도 시리즈에선 이 뒤로 스크러피가 폐기 되었었다. 모형 시리즈에선 새로 재생 시켜주었다.[6] 해당 장면은 시즌2 12화 디젤의 헛수고 에피소드에서 나오는 장면이다. 설명대로 애니 본편에서는 피치를 높인 버전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