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마인크래프트 인터넷 방송인 서버는 다수의 인터넷 방송인들이 모여 같이 마인크래프트 멀티플레이를 하기 위해 만들어진 서버를 일컫는다.2019년 잼잼마을을 시작으로 2023년 로나월드와 악어의 놀이터 등으로 흥행하여 국내 마인크래프트의 인기를 다시금 증명했다. 해외에서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상당수 찾아볼 수 있다. 해당 서버들은 모두 스트리밍을 하는 사람만이 해당 마인크래프트 서버에서 활동할 수 있으며, 초대권을 통해서만 참여가 가능하거나 도네이션 연동 시스템을 갖고 있는 등 국내 인터넷 방송인 서버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2. 역사
* 크게 흥행에 성공한 국내[1] 마인크래프트 서버 위주로 서술합니다.
* 흥행 성공 예시: 최고 동시 시청자 수 10만 명 이상 등.
* 최고점을 찍은 시청자 수만 서술합니다.
* 기록상 동시 시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최고 동시 시청자 수'와, 동시 시청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2] '최고 시청자 수'를 구분해 서술합니다.
* 동시 시청자 수 기록이 남아있을 경우, '최고 동시 시청자 수'를 우선시하여 서술합니다.
* 동시 시청자 수 기록이 남아있지 않을 경우, '최고 시청자 수'로 대체해 서술합니다.
* 흥행 관련 근거 자료를 각주에 기재합니다.
* 흥행 근거 자료 예시: 시청자 수 캡쳐 사진, 관련 기사, 사설 시청자 수 집계 사이트의 자료 첨부 등.
* 수치에 관한 서술만 남아있고 근거 자료가 첨부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근거필요] 각주를 기재합니다.
* 해당 서버에서 최초, 최다, 최대로 기록한 요소가 있을 경우 경우 볼드체로 표기합니다.
* 흥행 성공 예시: 최고 동시 시청자 수 10만 명 이상 등.
* 최고점을 찍은 시청자 수만 서술합니다.
* 기록상 동시 시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최고 동시 시청자 수'와, 동시 시청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2] '최고 시청자 수'를 구분해 서술합니다.
* 동시 시청자 수 기록이 남아있을 경우, '최고 동시 시청자 수'를 우선시하여 서술합니다.
* 동시 시청자 수 기록이 남아있지 않을 경우, '최고 시청자 수'로 대체해 서술합니다.
* 흥행 관련 근거 자료를 각주에 기재합니다.
* 흥행 근거 자료 예시: 시청자 수 캡쳐 사진, 관련 기사, 사설 시청자 수 집계 사이트의 자료 첨부 등.
* 수치에 관한 서술만 남아있고 근거 자료가 첨부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근거필요] 각주를 기재합니다.
* 해당 서버에서 최초, 최다, 최대로 기록한 요소가 있을 경우 경우 볼드체로 표기합니다.
2.1. 2019년 ~ 2020년
기존 양띵이나 악어는 10대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방송인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2019년쯤에는 마인크래프트 방송인들과 팬도 같이 나이를 먹으면서 연령층이 대부분 10대에서 20대로 성인이 되어 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성인층의 취향'을 따르게 된 마인크래프트 콘텐츠들은 2018년 정도부터 다양한 플러그인과 모드를 활용한 고퀄리티의 콘텐츠들을 선보이고 있었다. 심지어 일일 콘텐츠에만 쓰일 전용 BGM이나 시스템을 제작하는 등 사실상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하나의 '게임'을 제작하는 데에 이르렀다.양띵TV에서 이런 높은 퀄리티와 다양한 콘텐츠들을 시도할 수 있는 마인크래프트에 매력을 느꼈으면 하는 마음에 2017년 5월에 '트위치 마크쇼'를 개최하여 간단한 마인크래프트 초보 강의와 생존 서바이벌 대전을 진행했다. # 이후, '요양원'이라는 일부 스트리머들이 참여하는 합방 콘텐츠가 진행되었고, 노캠 스트리머들이 '모티모티'라는 사설 서버를 만들어 콘텐츠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특히 스트리머 얍얍은 이미 정기적으로 마인크래프트로 하는 여러 콘텐츠를 방송했었다.
2019년 6월에 다주는 간단한 상점 시스템과 치장 시스템을 넣고 추후 스트리머 서버의 근간이 될 초대권 시스템이라는 획기적인 시스템을 도입한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연다고 밝히며 국내에서도[4] 본격적인 인터넷 방송인 서버가 시작된다. '스타팅 멤버'와 '초대 멤버'라는 개념, 초대권이 갈수록 비싸진다는 설정 등이 국내에서는 이때 최초로 정립되었다.
- 2019년 6월 12일 ~ 23일 - 잼잼마을
다주가 기획하고 양띵TV에서 주최한 트위치에서 진행되었던 스트리머 서버. 국내 트위치에 마인크래프트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서버이며, 당시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상위에 오르고 트위치 핫클립을 장악하는 등 엄청난 화제성을 불러왔었다. 오늘날 국내에서 보편화된 마인크래프트 스트리머 서버의 시스템과 틀을 최초로 정립한 서버이다.[5] 마지막 날에 최고 시청자 수 15만 명[6][7]을 기록했으며, 당시 스트리머 14명만이 방송을 킨 것을 생각한다면 방송당 평균 12,000명의 시청자를 기록했을 정도로 화제성이 엄청났다. 2023년 악어의 놀이터 전까지 이 기록을 능가하는 서버란 없었을 정도.
양띵이 서버에 '초대권 시스템'과 '치장 시스템'을 넣는 것을 제안하여 스트리머/BJ 서버 최초로 도입되었다. 스트리머가 스트리머를 초대한다는 '초대권'이라는 발상이 지금이야 너무 신박하고 좋은 시스템이지만, 당시에는 우려가 많았다. 양띵이 훗날 방송에서 밝히기에는 양띵크루 대부분이 반대했음에도 양띵이 크루들과 싸워 지켜낸 것이라고. 결국 이 시스템은 훗날 다른 서버에 영향을 미쳐 '마인크래프트 인터넷 방송인 서버'의 기본이 되는 시스템으로 자리잡았다.
- 2020년 4월 6일 ~ 15일 - 뉴띵마을
잼잼마을의 성공 이후 양띵TV에서 주최한 마인크래프트 서버이다. 총 93명의 방송인이 참여하는 등 대규모 서버로 진행되었으며 최초로 계절 시스템, 법정 시스템 및 개별 UI가 적용되었으며, 전용 BGM이 존재하였다. 최고 시청자 수도 10만 명[8]을 넘겼다.
2.2. 2023년
- 2022년 12월 2일 ~ 2023년 5월 9일 - 로나월드
로나로나땅이 주최한 BJ 서버. 스타크래프트, 롤, 피파, 배그의 연속이었던 아프리카TV에 마인크래프트 콘텐츠가 신선하게 받아들여지면서[9] 아프리카 TV에서는 무려 7년 만에[10] 부활에 성공했다. 엄청 특별한 시스템은 없었음에도 흥행에 성공한 것이 아프리카TV 판 잼잼마을이라 할 수 있으나, 1~2주의 진행 기간인 트위치와 달리 무려 6개월(!)을 운영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1] 한편 마카오톡에서 건축물 펀딩 사상 최고액을 갱신하기 전까지 펀딩 최고액이었던 건축물[12]이 존재했던 서버다. 최고 시청자수는 약 15만 명[근거필요]을 달성하였다.
- 2023년 4월 17일 ~ 5월 8일 - 악어의 놀이터 1
악어크루가 주최한 스트리머 서버. 첫 시작은 이름처럼 가벼운 '놀이터' 컨셉이었으나 대작 게임이 없던 시기 + 이상적인 RPG 환경의 구현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다.[14] 스트리머 서버 최초로 도네이션 연동 및 히든 직업 요소가 적용되었으며, 마지막 콘서트 날에는 최고 시청자 수는 25만 명[15]을 달성하였다. 이는 2024년 열린 악어의 놀이터 시즌2 전까지 최대 시청자 수 기록이다. 어쨌든 이런 흥행으로 이 후 대부분의 서버에서 악놀 시스템이 차용된 서버가 열리고 있다.
- 2023년 6월 21일 ~ 7월 21일 - 소나랜드
유소나가 주최한 BJ 서버[16]. 트위치에서 진행되었던 포포서버의 영향을 받아 픽셀몬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메이저 BJ가 참가하면서 흥행에 성공[근거필요]했다.
- 2023년 7월 8일 ~ 10월 12일 - 로나월드 시즌 2
로나로나땅이 주최한 BJ 서버. 과거 양띵의 레전드 콘텐츠인 '질추와 수드라' 시리즈를 제작한 팀에서 제작하였으며, 최초로 RPG를 주 콘텐츠로 선택한 서버로, 마인크래프트 RPG 서버의 포문을 연 서버이자, 동시에 RPG 서버의 기틀을 마련한 서버다. 기존에는 부차적인 콘텐츠 중 하나였던 RPG 콘텐츠 부분을 대폭 강화하여 RPG 서버의 개념을 정립시켰으며, 이후 나오는 RPG 서버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18] 최고 시청자 수는 약 11만 명[근거필요]을 달성하였다.
- 2023년 11월 25일 ~ 2024년 3월 4일 - 마카오톡
겜마톡이 주최한 플랫폼 통합 인터넷 방송인 서버. 역대 마인크래프트 인터넷 방송인 서버 사상 최다 인원(1013명)이 플레이한 것이 특징이며, 역대 마인크래프트 대형 랜드마크 건축물 펀딩 사상 최고액[20]을 찍은 건물이 있는 서버이다. 최고 시청자 수는 약 11만 명[21]을 달성하였다. 그리고 한국뿐만 아니라 영국, 아일랜드, 독일, 일본 국적의 해외 방송인들도 참가하였다.
2.3. 2024년
- 2024년 2월 12일 ~ 26일 - 띵타이쿤
양띵TV가 주최한 스트리머 서버. 트위치 서비스 종료 및 치지직 오픈 기념으로[22] 기획되었으며, 도파민적 요소를 과감히 배제하고,[23] 도감 아이템 등을 최초로 추가하여 추후 진행될 마크 대규모 콘텐츠 빌드업을 위한 '스트리머들의 마크 실력 향상'에 주력한 서버이다. 서버 운영진의 과도한 업무 피로도 해소를 위해 최초로 서버 점검 및 휴식일을 금요일에 도입하였고, 공식 위키도 최초로 제작하는 등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치지직 출범 후 바로 진행된 콘텐츠임에도 불구하고, 일차가 지날수록 시청자 수를 갱신하다가 마지막 날 최고 동시 시청자 수 17만 명[24]을 달성하면서 치지직 뷰어십을 50% 증가시키며[25] 흥행에 성공했다.
- 2024년 5월 5일 ~ 7월 1일 - 악어의 놀이터 2
악어크루가 주최한 플랫폼 통합 인터넷 방송인 서버. 전 시즌과 달리 모험과 RPG 파트에 보다 무게를 두었다.[26] 콘텐츠 소모 속도를 조절하고 플레이어들과 운영진의 피로 누적을 줄이기 위해 금요일 서버 점검일과 별개로 오전 6시부터 낮 12시까지의 브레이크 타임을 최초로 추가했고, 전보다 풍성해진 모험과 히든 직업 및 풀이 기믹, 스킬/장비/강화와 던전 보스 레이드, 유저 자체 제작 콘텐츠의 활성화[27], 길드 시스템과 길드 콘텐츠[28][29] 등 RPG 요소를 적극 도입했다. 4주차에는 콘서트를 개최하면서 최고 동시 시청자 수 48만 명[30] ~ 43만 명[31] 당일 국내 인터넷 방송 시청자 점유율 62.9%[32]라는 대기록을 달성하였다.
- 2024년 7월 15일 ~ 8월 4일 - 웰컴투 멋봉리
멋사와 남봉이 주최한 치지직 스트리머 서버. 모험과 경제에 기반을 둔 힐링 서버로, 전투 콘텐츠를 통해 최종적으로 RPG 요소에 도달하는 방향으로 설계된 기존 서버와는 달리, 경영 콘텐츠를 최종 목표로 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 2024년 9월 5일 ~ 9월 20일 - 마카오톡 1.5
겜마톡이 주최한 플랫폼 통합 인터넷 방송인 서버. 마크 서버 최초로 스트리머 개인이나 방송 플랫폼이 아닌 별도의 스폰서[33]를 유치한 서버이다. 힐링용 서버였던 전 시즌과 달리 전투와 RPG에 보다 무게를 두었고, 약탈이나 길드쟁 등의 PVP 콘텐츠를 적극 도입하면서 첫날 최고 동시 시청자 수 11만 명을 달성했다.
그러나 밸런스 조절 실패, 운영 방기, 잘못된 게임 설계 등 여러 굵직한 문제와 맵 및 API 모드 도용, 촌지 문제 등 많은 논란을 터트리면서 단 3일 만에 시청자 절반이 빠져나가고 입주자들의 탈주가 지속되어 오픈 2주일 만에 종료되는 참사까지 벌어지면서 마크 대형 서버 최악의 실패작으로 남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마카오톡 1.5 문서의 비판 문단과 사건 사고 문서 참고. - 2024년 9월 22일 ~ 10월 10일 - 마카오톡 1.75
마카오톡 1.5의 실패 이후 생활 콘텐츠 등의 라이트한 요소를 전부 빼고 다시 열겠다고 한 리부트 서버. - 2024년 11월 4일 ~ 12월 - 코창서버
3. 특징
공통된 가장 큰 특성은 초대장이다. 이는 잼잼마을에서 처음 시도된 시스템으로, 인터넷 방송인 서버의 아이덴티티로 자리잡고 있으며, 방송인 서버의 가장 큰 특징인 인맥 형성에 주요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특히 평소라면 만나기 힘든 스트리머/BJ끼리도 특정한 곳에 자신의 주거지나 활동지가 있고, 접점이 없던 방송인들끼리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방송인끼리의 새로운 연이 이어지는 등 상당한 파급력을 일으켰다.[34]이전에도 스트리머가 만나는 서버가 여럿 있긴 했지만, 일반적인 합방의 규모를 넘어 여러 콘텐츠를 만들고, 장기적으로 만날 수 있게 하는 데에는 마인크래프트 게임 자체의 확장성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플랫폼별 특기할 만한 점으로는 운영 기간의 차이가 있다. 스트리머 서버의 원조격인 트위치와 치지직 쪽에서 주최한 서버는 서버가 길어야 3주 정도로 짧게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에 대비하여 아프리카TV/SOOP 쪽에서 주최한 서버는 짧아도 보통은 1개월 정도는 가고, 가장 길게는 6개월(!)간 유지될 만큼[35] 긴 호흡으로 운영된다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36]
4. 서버 목록
4.1. 국내 서버
4.1.1. 트위치 서버
- 2019
- 사이버 요양원 시즌 1 (2019. 1. 3. ~ 4. 14.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 사이버 요양원 시즌 2 (2019. 6. 1. ~ 12. 22.)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 잼잼마을 (2019. 6. 12. ~ 6. 23.)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413f; font-size: .8em"
- 포포서버 시즌 1 (2019. 7. 3. ~ 7. 1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182b8; font-size: .8em"
- 2020
- 포포서버 시즌 2 (2020. 1. 5. ~ 1. 12.)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182b8; font-size: .8em"
- 뉴띵마을 (2020. 4. 6. ~ 4. 15.)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413f; font-size: .8em"
- 뉴띵로얄 (2020. 7. 24. ~ 7. 25.)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413f; font-size: .8em"
- 포포서버 시즌 3 (2020. 9. 25. ~ 9. 29.)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c36e; font-size: .8em"
- 2021
- 포포서버 시즌 4 (2021. 2. 23. ~ 3. 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8em"
- 봉봉서버 (2021. 5. 7. ~ 5. 1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8em"
- 봉봉랜드 (2021. 7. 5. ~ 7. 9.)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8em"
- 사이버 요양원 시즌 3 (2021. 12. 1. ~ 2022. 2. 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7b1c; font-size: .8em"
- 픽셀 크리에이터 타운 (2021. 12. 24. ~ 2022. 1. 22.)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78061; font-size: .8em"
- 2022
- 포포서버 시즌 5 (2022. 2. 8. ~ 2. 15.)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8em"
- 배추월드 (2022. 3. 30. ~ 4. 1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182b8; font-size: .8em"
- 불꽃마을 (2022. 11. 23. ~ 11. 29.)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413f; font-size: .8em"
- 2023
- 악어의 놀이터 (2023. 4. 17. ~ 5. 8.)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8em"
- 포포서버 시즌 6 (2023. 8. 25. ~ 9. 2.)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8em"
4.1.2. 치지직 서버
- 2024
- 띵타이쿤 (2024. 2. 12. ~ 2. 26.)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413f; font-size: .8em"
- 웰컴투 멋봉리 (2024. 7. 15. ~ 8. 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8em"
- 포켓빌 (2024. 8. 7. ~ 9. 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8em"
- 쵸록마을 (2024. 8. 24. ~ 9. 8.)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0E0D0; font-size: .8em"
- 픽셀가라! 빵빵몬 (2024. 9. 6. ~ 9. 27.)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0000; font-size: .8em"
4.1.3. 아프리카TV / SOOP 서버
- 2022
- 웰컴토듀힛골 (2022. 1. 18. ~ 2022.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acd32; font-size: .8em"
- 로나월드:서수길 (2022. 12. 2. ~ 2023. 5. 9.)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2F4; font-size: .8em"
- 2023
- 퐁퐁랜드 (2023. 1. 7. ~ 5. 3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400; font-size: .8em"
- 로나월드 시즌 2 (2023. 7. 8. ~ 10. 12.)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2F4; font-size: .8em"
- 유플릭스 (2023. 8. 5. ~ 11. 2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400; font-size: .8em"
- 2024
- 포켓꾸 (2024. 3. 8. ~ 4. 5.)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07a; font-size: .8em"
- 클로배 서버 (2024. 7. 23. ~ 8. 2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31F1F; font-size: .8em"
- 틈새서버 (2024. 8. 15. ~ 8. 29.)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22B; font-size: .8em"
- 마병대 시즌 1 (2024. 8. 20. ~ 2024. 8. 2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 해초마을 (2024. 9. 15. ~ 2024. 10. 8)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F8E0; font-size: .8em"
- '''코창서버 (2024. 11. 4. ~ 2024. 12.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31c8c; font-size: .8em"
- 2025
- 마병대 시즌 2 (2025. 1. ?? ~ 미정)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4.1.4. 플랫폼 통합 서버
- 2023
- 소나랜드 (2023. 6. 21. ~ 7. 2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400; font-size: .8em"
- 마카오톡 (2023. 11. 25. ~ 2024. 3. 4.)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a2007; font-size: .8em"
- 2024
- 악어의 놀이터 2 (2024. 5. 5. ~ 7. 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801d; font-size: .8em"
- 페스티벌 (2024. 3. 15. ~ 4. 3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24ade; font-size: .8em"
- 뿝뿌서버 시즌 2 (2024. 7. 13. ~ 7. 27.)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E4A55; font-size: .8em"
- 마카오톡 1.5 (2024. 9. 5. ~ 9. 2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a2007; font-size: .8em"
- 마카오톡 1.75 (2024. 9. 22. ~ 10. 1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a2007; font-size: .8em"
- 모여봐요 편집의 숲 (2024. 9. 24. ~ 10. 6.)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b7ff; font-size: .8em"
- 이세계 라이프 (2024. 9. 23. ~ 10. 1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E4A55; font-size: .8em"
- 페스티벌 S2 (2024. 12. 30. ~ 2025. 2. 30.)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24ade; font-size: .8em"
- 2025
- Re:PG (2025. 1. 5. ~ 아직 미정)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8em"
4.2. 해외 서버
- 영어권 서버
- SMP Live (2019.03.01. ~ 2020.01.01.) Fandom Twitch
- cscoop과 CallMeCarson이 주최한 서버로, 서버명의 뜻은 Survival MultiPlayer Live이다. 현재 보편화된 형태의 마인크래프트 인터넷 방송인 서버 중 가장 먼저 오픈[38]되었으며, 해외에서 이와 같은 포맷을 갖춘 서버의 원조가 되는 서버이다. 때문에 이후에 나온 유사한 포맷을 지닌 해외 인터넷 방송인 서버들은 이름에 'SMP' 라는 표현을 붙인 채 열리는 관행이 있다.
-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라이브 스트리밍을 하는 사람만 참여가 가능하다.* 초대를 통해서만 참여가 가능하다.* 도네이션 연동으로 스트리머를 공격하는 시스템인 '히트 시스템'[39]을 보유하고 있다.* 법원 제도와 경찰 제도가 존재한다.* 법원 판례와 경찰을 통해 규칙을 추가[40] 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각종 회사, 종교, 단체, 조직, 팀, 협회 등의 집단 및 세력들이 스트리머들의 모임을 통해 형성되었다.
- 그 밖의 주요 규칙은 다음과 같다. "채팅은 투표를 통해 플레이어 간의 분쟁을 해결한다."[41], "진행 중인 장난(Prank)을 방해하지 않는다."[42], "스트리머는 히트 공격을 장난(Prank)으로 다룰 수 있다."[43] 등.
- 해외에서 이 서버는 2010년대 말부터 2020년대 초까지 마인크래프트 동영상 콘텐츠의 부흥을 이끈 주역 중 하나로 꼽히며, 라이브 스트리밍 SMP라는 포맷을 대중화하여 SMPEarth, Dream SMP와 같은 정신적 후계자로 이어지게 한 역할을 했다. 서버가 폐쇄될 당시 130명 이상의 스트리머가 서버에 초대되어 있었다.[44]
- SMP Earth (2019.11.22. ~ 2020.04.11.) Fandom
- Dream SMP[45] (2020.04.24. ~ 2023.04.10.) Wikipedia Fandom
- Twitch SMP Live (2020.10.30. ~ 2024)[46] Fandom
- Empires SMP (2021.06.12. ~ 2022.01.29.) Fandom
- Lifesteal SMP (2021.07.12. ~ 2021.08.) Fandom Twitch
- Afterlife SMP (2022.04.05. ~ 2022.06.21.) Fandom
- QSMP[47] (2023.03.22. ~ 2024.05.24.) Fandom
- 일본 서버
- VCR Minecraft β (2024.09.15. ~ 09.21.)
[1] 해외 서버의 경우 해외 서버 문단에 서술합니다.[2] 동시 시청 시점을 확인할 수 없는 분리된 시청자 수 스크린샷 기록만 남아있는 경우 등.[근거필요] 동시 시청자 수 캡처 사진, 관련 기사, 사설 집계 사이트 링크 첨부 등.[4] 해외에서는 앞서 2019년 3월에 시작된 'SMP Live' 서버가 있었다. SMP Live는 해외 마인크래프트 인터넷 방송인 서버를 정립하였으며, 이후 해외 인터넷 방송인 서버들은 'SMP'라는 표현을 서버 명칭에 붙이는 것이 관행이 된다. 이러한 작명의 대표적인 예시로 Quackity가 개최한 'QSMP' 서버가 있다.[5] 잼잼마을 이전에도 스트리머들끼리 야생 월드에서 건축지으며 노는 서버가 있긴 했으나, 지금은 기본으로 여겨지는 초대권이나 재화 시스템 등이 없었다.[6]
15만 명이 접속한 기록. @[7] 실시간 검색어 기록의 경우 잼잼마을 문서의 흥행 및 평가 문단 자료 참고.[8]
1일차 스크린샷 기록.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동시 시청자 수를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사진 기록상으로는 1일차부터 최고 시청자 10만 명을 넘겼다.[9] 타이밍도 한몫 했는데, 이때 아프리카는 거의 모든 BJ들이 사활을 걸던 SOOP 스타대학교 콘텐츠가 종말을 맞이하고 있었고, 2022년 트위치 대한민국 영상 화질 제한 사건으로 넘어온 버추얼 방송인들 또한 우가돌 프로젝트가 끝나면서 이렇다 할 대형 콘텐츠들이 전부 증발한 시기였다.[10] 원래 놀이터 클럽의 해체, 양띵, 악어의 트위치 이적 이후로 아프리카 TV엔 마인크래프트 태그가 아예 없었을 정도로 사장되어 버린 게임이었다.[11] 또한 '컴퍼니'라 부르는 내부 크루에 소속되어 진행하는 콘텐츠가 주가 되어 로나월드를 통해 인기가 크게 상승하는 BJ들이 많아졌고, 결정적으로 버추얼 방송인들에게 사지나 다름없던 아프리카 TV에 버츄얼 콘텐츠가 생기게 된 변곡점이 되었다.[12] 오성그룹의 백색궁전으로, 현금 1억 7천 5백만 원의 펀딩을 받았다. #[근거필요] 동시 시청자 수 캡처 사진, 관련 기사, 사설 집계 사이트 링크 첨부 등.[14] 악어 본인도 이렇게 흥행할 줄 알았으면 더 완성되면 가지고 올 걸이라며 후회하기도 했다.[15]
악어의 놀이터 마지막날 마인크래프트 시청자수 탑 24@[16] 트위치 스트리머도 16인 정도 참가하였으나 아프리카TV 위주였다.[근거필요] [18] 이는 기존 아프리카 특유의 경쟁을 즐기는 문화 덕분으로, 이 점이 로나월드 시즌 2에도 여과 없이 투영되었기에 RPG 부분에서의 완성도가 궤를 달리할 수 있었다. 여담이지만, 이 서버의 대성공으로 딥한 플레이를 선호하는 사람들도 마인크래프트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마인크래프트는 완전히 아프리카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고, 또 이러한 딥한 플레이를 선호한다는 점이 운영 기간이 트위치/치지직 서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다는 아프리카 서버의 특징과 결합되어, 서버가 길고 오래가는 경향이 생기게 된다.[근거필요] [20] 감체스터가 지은 올드 트래포드로, 펀딩금액은 총 현금 2억 1100만 원(!) #.[21]
주최 측 겜마톡 발표 기준 11만 명 이상이 시청했다는 콘서트 콘텐츠 #1 #2 @[22] 치지직의 후원을 받았다.[23] 기획자 양띵에 따르면 경쟁 요소를 더 추가하고 싶었지만 크루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고 한다. 이후 최소한의 경쟁 시스템인 '던전'을 추가했으나 원본 기획에서 많이 수정되었으며, 주력 콘텐츠는 던전이 아닌 생활 및 도감이라고 밝혔다.[24]
띵타이쿤 문서 흥행 문단에 기재된 그래프 자료와 관련 서술 참고.[25] 띵타이쿤 문서 흥행 문단의 치지직 시청자 수 증가 자료와 기사 참고. @[26] 전 시즌에는 '히든' 요소를 제외하면 RPG 요소보다는 농사/요리사 등을 필두로 한 생활 요소가 주였다.[27] 후술할 악어의 놀이터 2 스페셜 콘서트도 김계란 등 유저들의 주도로 성사되어 운영진과 함께 주최한 것이었다.[28] 특히 길드 관련 요소는 후반기의 흥행을 이끌었으며, 투기장, 점령전, 공성전, 채팅 놀이, 히든 탐색 경쟁, 유저 콘텐츠 제작, 길드 자체 제작 길드원 콘텐츠 등 악놀2 후반기 볼거리의 주축이었다. 또한 한정된 던전 보스 자원 등을 두고 전쟁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RPG 측면에서 선두를 달리던 길드들에서는 필드에서 전직 프로게이머 출신 방송인들이 롤/옵치/배그 한타를 방불케 하는 치열한 대규모 전투를 벌이는 등 여러 명장면들을 만들어냈다. 한편 저레벨 제한이 걸린 뉴비존 던전에서도 라이트 성향의 길드를 중심으로 소위 '키즈존 전쟁'이 벌어지며, 후반기에 비교적 라이트한 유저들이 RPG 콘텐츠에 몰입하는 데에도 좋은 영향을 주었다. 서버 진행 중 건벤져스 소속으로 활동한 양띵은 길드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스트리머 핵전쟁 서버의 가능성을 봤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29] 길드 시스템의 몰입감을 반영하듯 서버 진행 기간 중 활동한 대부분의 길드가 별도 문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 집단의 행적도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30]
주최 측 악어의 발표 기준. 총 48만 명으로 집계하였다. #1 #2 한편 이 수치와 유사한 집계값을 낸 기사가 존재한다. 해당 기사는 당일 현장에서 오후 11시 경에 숲(아프리카) 27만 명, 치지직 13만 명을 기록하여, 보수적으로 두 플랫폼만 집계하면 40만, 유튜브를 포함해 집계한다면 45만 명이 넘을 가능성도 높다고 보았다. #3[31]
사설 시청자 수 집계 사이트 소프트콘 집계 기준. 숲(아프리카) 23만 명, 치지직 12만 명, 유튜브 7.6만 명으로 총 43.4만 명으로 집계하였다. #[32]
사설 집계 사이트 소프트콘의 집계 공지를 통해 발표되었다. 즉 소프트콘에서 집계된 434,113명의 시청자 수만으로 달성한 점유율이다.[33] 링티, 스타게이저[34] 길드 시스템이 존재하는 서버인 경우, 길드원들과의 동고동락 속에서 단순히 연이 이어진 것을 넘어 서로 간의 친분이 쌓여 합방과 같은 외부적인 교류로 발전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악어의 놀이터 2의 길드인 착살단.[35] 최장 기간 진행한 로나월드 시즌 1의 경우. 다만 해당 서버 이후로는 보통 1개월, 길면 3개월 정도의 호흡이 보인다. 여담으로 해외 인터넷 방송인 서버의 경우 이보다 더 길게, 년 단위로 서버를 운영하기도 한다.[36] 이는 트위치와 아프리카의 문화적 차이 때문이라 볼 수 있다. 트위치와 그 계보를 이어간 치지직 서버의 경우 인터넷 방송인 서버라는 개념을 정착시킨 양띵크루를 필두로 높은 퀄리티의 콘텐츠를 심플하게 단기간에 진행하였으며, 방송인 대부분이 힐링과 소통 등의 라이트 플레이를 선호하는 점으로 인해 서버가 짧고 굵게 가는 성향이 생긴 반면, 반대로 아프리카/SOOP의 경우 로나서버를 필두로 장기 콘텐츠를 주기마다 업데이트하는 식으로 서버를 운영하였으며, 이후 이 점이 아프리카 특유의 경쟁 문화와 더불어 RPG, 대규모 전쟁 같은 PVP, PK, PVE 등의 딥한 플레이를 선호하는 문화와 융합되면서, 서버가 길고 오래 가는 경향이 생기게 된다.[37] 기존엔 치지직만 가능하였으나, 변경됨[38] 2019년 3월 1일 시작.[39] Hits system. 시청자가 스트리머를 죽이기 위해 도네이션으로 공격하는 시스템이다. 단, 히트 가격은 스트리머가 결정하였다.[40] 이때 경찰이 만든 규칙은 보통 일시적이다. 일례로 Cooper(서버장 cscoop의 별명)가 서버 경찰로 근무하던 주간에는, 서버에서 황금 사과와 물약 사용을 금지하는 법이 제정되었다. 전투를 불공정하게 만든다는 이유로 제정된 법이었다.[41] Chat settles disputes between players via polls.[42] No impeding pranks in progress.[43] Streamers may convert a hit into a prank.[44] The server is frequently credited as being one of the primary forces in the revival of Minecraft video content in the late 2010s/early 2020s, popularizing livestreamed SMPs as a format - leading to spiritual successors such as SMPEarth and Dream SMP. The server had over 130 accounts whitelisted at the time of its closure.[45] Dream이 주최한 서버로, 굉장한 흥행을 거두었다. 유튜브에서 조회수 천만 회가 넘는 영상도 상당히 많으며, 조회수 3천만 회가 넘는 영상도 꽤 찾아볼 수 있다.[46] 총 6번의 시즌과 1번의 실험 시즌이 진행되었다.[47] Quackity가 주최한 서버로, 실시간 번역을 지원하는 최초의 다국어 마인크래프트 서바이벌 멀티플레이어 서버이다. 한국 참여자로 양띵, 콩콩, 악어, 중력 등이 참여하였다.
15만 명이 접속한 기록. @[7] 실시간 검색어 기록의 경우 잼잼마을 문서의 흥행 및 평가 문단 자료 참고.[8]
1일차 스크린샷 기록.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동시 시청자 수를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사진 기록상으로는 1일차부터 최고 시청자 10만 명을 넘겼다.[9] 타이밍도 한몫 했는데, 이때 아프리카는 거의 모든 BJ들이 사활을 걸던 SOOP 스타대학교 콘텐츠가 종말을 맞이하고 있었고, 2022년 트위치 대한민국 영상 화질 제한 사건으로 넘어온 버추얼 방송인들 또한 우가돌 프로젝트가 끝나면서 이렇다 할 대형 콘텐츠들이 전부 증발한 시기였다.[10] 원래 놀이터 클럽의 해체, 양띵, 악어의 트위치 이적 이후로 아프리카 TV엔 마인크래프트 태그가 아예 없었을 정도로 사장되어 버린 게임이었다.[11] 또한 '컴퍼니'라 부르는 내부 크루에 소속되어 진행하는 콘텐츠가 주가 되어 로나월드를 통해 인기가 크게 상승하는 BJ들이 많아졌고, 결정적으로 버추얼 방송인들에게 사지나 다름없던 아프리카 TV에 버츄얼 콘텐츠가 생기게 된 변곡점이 되었다.[12] 오성그룹의 백색궁전으로, 현금 1억 7천 5백만 원의 펀딩을 받았다. #[근거필요] 동시 시청자 수 캡처 사진, 관련 기사, 사설 집계 사이트 링크 첨부 등.[14] 악어 본인도 이렇게 흥행할 줄 알았으면 더 완성되면 가지고 올 걸이라며 후회하기도 했다.[15]
악어의 놀이터 마지막날 마인크래프트 시청자수 탑 24@[16] 트위치 스트리머도 16인 정도 참가하였으나 아프리카TV 위주였다.[근거필요] [18] 이는 기존 아프리카 특유의 경쟁을 즐기는 문화 덕분으로, 이 점이 로나월드 시즌 2에도 여과 없이 투영되었기에 RPG 부분에서의 완성도가 궤를 달리할 수 있었다. 여담이지만, 이 서버의 대성공으로 딥한 플레이를 선호하는 사람들도 마인크래프트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마인크래프트는 완전히 아프리카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고, 또 이러한 딥한 플레이를 선호한다는 점이 운영 기간이 트위치/치지직 서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다는 아프리카 서버의 특징과 결합되어, 서버가 길고 오래가는 경향이 생기게 된다.[근거필요] [20] 감체스터가 지은 올드 트래포드로, 펀딩금액은 총 현금 2억 1100만 원(!) #.[21]
주최 측 겜마톡 발표 기준 11만 명 이상이 시청했다는 콘서트 콘텐츠 #1 #2 @[22] 치지직의 후원을 받았다.[23] 기획자 양띵에 따르면 경쟁 요소를 더 추가하고 싶었지만 크루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고 한다. 이후 최소한의 경쟁 시스템인 '던전'을 추가했으나 원본 기획에서 많이 수정되었으며, 주력 콘텐츠는 던전이 아닌 생활 및 도감이라고 밝혔다.[24]
띵타이쿤 문서 흥행 문단에 기재된 그래프 자료와 관련 서술 참고.[25] 띵타이쿤 문서 흥행 문단의 치지직 시청자 수 증가 자료와 기사 참고. @[26] 전 시즌에는 '히든' 요소를 제외하면 RPG 요소보다는 농사/요리사 등을 필두로 한 생활 요소가 주였다.[27] 후술할 악어의 놀이터 2 스페셜 콘서트도 김계란 등 유저들의 주도로 성사되어 운영진과 함께 주최한 것이었다.[28] 특히 길드 관련 요소는 후반기의 흥행을 이끌었으며, 투기장, 점령전, 공성전, 채팅 놀이, 히든 탐색 경쟁, 유저 콘텐츠 제작, 길드 자체 제작 길드원 콘텐츠 등 악놀2 후반기 볼거리의 주축이었다. 또한 한정된 던전 보스 자원 등을 두고 전쟁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RPG 측면에서 선두를 달리던 길드들에서는 필드에서 전직 프로게이머 출신 방송인들이 롤/옵치/배그 한타를 방불케 하는 치열한 대규모 전투를 벌이는 등 여러 명장면들을 만들어냈다. 한편 저레벨 제한이 걸린 뉴비존 던전에서도 라이트 성향의 길드를 중심으로 소위 '키즈존 전쟁'이 벌어지며, 후반기에 비교적 라이트한 유저들이 RPG 콘텐츠에 몰입하는 데에도 좋은 영향을 주었다. 서버 진행 중 건벤져스 소속으로 활동한 양띵은 길드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스트리머 핵전쟁 서버의 가능성을 봤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29] 길드 시스템의 몰입감을 반영하듯 서버 진행 기간 중 활동한 대부분의 길드가 별도 문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각 집단의 행적도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30]
주최 측 악어의 발표 기준. 총 48만 명으로 집계하였다. #1 #2 한편 이 수치와 유사한 집계값을 낸 기사가 존재한다. 해당 기사는 당일 현장에서 오후 11시 경에 숲(아프리카) 27만 명, 치지직 13만 명을 기록하여, 보수적으로 두 플랫폼만 집계하면 40만, 유튜브를 포함해 집계한다면 45만 명이 넘을 가능성도 높다고 보았다. #3[31]
사설 시청자 수 집계 사이트 소프트콘 집계 기준. 숲(아프리카) 23만 명, 치지직 12만 명, 유튜브 7.6만 명으로 총 43.4만 명으로 집계하였다. #[32]
사설 집계 사이트 소프트콘의 집계 공지를 통해 발표되었다. 즉 소프트콘에서 집계된 434,113명의 시청자 수만으로 달성한 점유율이다.[33] 링티, 스타게이저[34] 길드 시스템이 존재하는 서버인 경우, 길드원들과의 동고동락 속에서 단순히 연이 이어진 것을 넘어 서로 간의 친분이 쌓여 합방과 같은 외부적인 교류로 발전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악어의 놀이터 2의 길드인 착살단.[35] 최장 기간 진행한 로나월드 시즌 1의 경우. 다만 해당 서버 이후로는 보통 1개월, 길면 3개월 정도의 호흡이 보인다. 여담으로 해외 인터넷 방송인 서버의 경우 이보다 더 길게, 년 단위로 서버를 운영하기도 한다.[36] 이는 트위치와 아프리카의 문화적 차이 때문이라 볼 수 있다. 트위치와 그 계보를 이어간 치지직 서버의 경우 인터넷 방송인 서버라는 개념을 정착시킨 양띵크루를 필두로 높은 퀄리티의 콘텐츠를 심플하게 단기간에 진행하였으며, 방송인 대부분이 힐링과 소통 등의 라이트 플레이를 선호하는 점으로 인해 서버가 짧고 굵게 가는 성향이 생긴 반면, 반대로 아프리카/SOOP의 경우 로나서버를 필두로 장기 콘텐츠를 주기마다 업데이트하는 식으로 서버를 운영하였으며, 이후 이 점이 아프리카 특유의 경쟁 문화와 더불어 RPG, 대규모 전쟁 같은 PVP, PK, PVE 등의 딥한 플레이를 선호하는 문화와 융합되면서, 서버가 길고 오래 가는 경향이 생기게 된다.[37] 기존엔 치지직만 가능하였으나, 변경됨[38] 2019년 3월 1일 시작.[39] Hits system. 시청자가 스트리머를 죽이기 위해 도네이션으로 공격하는 시스템이다. 단, 히트 가격은 스트리머가 결정하였다.[40] 이때 경찰이 만든 규칙은 보통 일시적이다. 일례로 Cooper(서버장 cscoop의 별명)가 서버 경찰로 근무하던 주간에는, 서버에서 황금 사과와 물약 사용을 금지하는 법이 제정되었다. 전투를 불공정하게 만든다는 이유로 제정된 법이었다.[41] Chat settles disputes between players via polls.[42] No impeding pranks in progress.[43] Streamers may convert a hit into a prank.[44] The server is frequently credited as being one of the primary forces in the revival of Minecraft video content in the late 2010s/early 2020s, popularizing livestreamed SMPs as a format - leading to spiritual successors such as SMPEarth and Dream SMP. The server had over 130 accounts whitelisted at the time of its closure.[45] Dream이 주최한 서버로, 굉장한 흥행을 거두었다. 유튜브에서 조회수 천만 회가 넘는 영상도 상당히 많으며, 조회수 3천만 회가 넘는 영상도 꽤 찾아볼 수 있다.[46] 총 6번의 시즌과 1번의 실험 시즌이 진행되었다.[47] Quackity가 주최한 서버로, 실시간 번역을 지원하는 최초의 다국어 마인크래프트 서바이벌 멀티플레이어 서버이다. 한국 참여자로 양띵, 콩콩, 악어, 중력 등이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