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23:12:06

마법학교 마법사로 살아가는 법


마법학교 마법사로 살아가는 법
등장인물 | 설정 | 마법 | 생물 | 웹툰
마법학교 마법사로 살아가는 법
파일:마마살21.jpg
장르 아카데미, 환생, 명가, 마법사
작가 글쓰는기계
출판사 블루픽
연재처 카카오페이지
연재 기간 2021. 08. 17. ~ 연재 중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4. 역대 표지5. 등장인물6. 설정7. 평가8. 미디어 믹스9. 기타

[clearfix]

1. 개요

한국의 아카데미물, 환생물, 명가물 웹소설. 작가는 글쓰는기계.

2. 줄거리

대학원생 이한.
다른 세계 마법명가의 막내로 태어나다.

-다시는 학교에 들어가지 않겠다!

'너는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평생 놀고 먹...'
'그래. 너도 스스로 네 재능을 느끼고 있을 것이다. 마법학교 에인로가드로 가라!'
'가주님!'

마법학교를 졸업하면 평생이 보장된다.
최선을 다해 졸업하라!

3. 연재 현황

카카오페이지에서 2021년 8월 17일부터 연재됐다.

4. 역대 표지

역대 표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마마살 그림판.jpg
파일:마법학교 마법사로 살아가는 법.png
그림판 표지 1차 표지
파일:마마살21.jpg
2차 표지 }}}}}}}}}
  • 초기 표지는 작가가 그림판으로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표지였는데, 개성이 지나치게 넘치는 데에다가 보다보면 묘하게 중독성이 있는 표지라서 의외로 호평 일색이었다. 94화를 기점으로 상기한 1차 표지로 표지가 변경되었는데, 이전 표지나 변경된 표지나 어느쪽이건 '개소리를 지껄여도 진지하게 듣게 만드는 얼굴'이라는 묘사에 부합된다. 물론 가벼운 착각물이므로 쓸데없이 진지한 변경 후 표지보다는 초기 표지가 어울린다는 평도 많다. 차기작인 무림 속 공무원으로 살아가는 법 역시 연재 초기엔 그림판 표지를 올렸었다.
  • 2023년 2월 25일 600화부터 2차 표지로 표지가 바뀌었는데, 1학년을 마치고 겨울방학에 접어드는[1] 이한 워다나즈의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다. 쓸데없이 진지한 표정은 그대로 유지된 채로 1학년 동안 겪은 온갖 고된 배움으로 인한 피로가 얼굴에 드러나고 있다.
  • 2023년 4월 1일 만우절 기념으로 당일 연재된 회차에서 그림판 표지를 사용한 적이 있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법학교 마법사로 살아가는 법/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법학교 마법사로 살아가는 법/설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58d3f7><table bgcolor=#ffffff,#2d2f34><bgcolor=#58d3f7> 파일:sosul_network_icon-removebg-preview.png ||
별점 3.76 / 5.0 | 참여자 273명 2024. 1. 6. 기준



8. 미디어 믹스

8.1. 웹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법학교 마법사로 살아가는 법(웹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타

  • 작중 인물들의 나이를 고려하면(15세 입학) 서로 눈이 맞는 경우가 생길 법도 하지만 피와 고통이 가득한 야만의 땅 에인로가드에 커플링은 존재하지 않는다. 게다가 글쓰는기계의 작풍이 인물의 성별 묘사에 큰 비중을 두지 않는다. 전작 방랑기사로 살아가는 법에선 이런 경향이 더더욱 컸다. 작품 전체에서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성별을 직접 묘사하지 않으며, 기껏해야 대화를 하는 중에 언니 혹은 형 등의 표현으로 유추하거나 그, 그녀라는 묘사가 가끔씩 등장하곤 하는 정도.
  • 전반적으로 해리 포터 시리즈의 영향력이 짙게 느껴지는 편이다. 그 외에도 마법이나 물건의 이름에 관련해 다양한 전설과 신화 등을 많이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불교와 관련된 용어가 많이 나온다.[2]

[1] 즉 600화 시점.[2] 돈오, 구산팔해, 오욕칠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