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e31820><colcolor=#fff><rowcolor=#fff> 출시 연도 | Xiaoxin Pad | Xiaoxin Pad Pro |
| 2020 | XiaoxinPad | Pro | |
| 2021 | Plus | Pro 2021 | Pro 12.6 | |
| 2022 | 2022 | Plus 2023 | Pro 2022 | |
| 2023 | 2024 | Pro 12.7 | |
| 2024 | Studio | Plus Comfort Edition | Pro 2025 12.7 | |
| 2025 | 2025 | Pro GT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e31820><colcolor=#fff><rowcolor=#fff> 연도 | P 시리즈 | M 시리즈 | Yoga 시리즈 | Legion | 기타 |
| 2014 | Yoga Tab 2 | |||||
| 2016 | Tab 3 10 | |||||
| 2017 | Tab 4 10 | |||||
| 2018 | Tab P10 | Yoga Tab 3 Pro | 탭7 에센셜 | |||
| 2019 | Tab M9 Tab M10 | Yoga Smart Tab | ||||
| 2020 | Tab M10 HD Tab M10 FHD Plus | |||||
| 2021 | Tab P11 Tab P11 Pro | |||||
| 2022 | Tab P11 Pro 2세대 | Tab M10 Plus 3세대 | ||||
| 2023 | Tab P12 QHD Tab P12 Pro | |||||
| 2024 | 레노버 Tab M11 | Yoga Tab 11 | Legion Y700 2nd Legion Y700 3rd | Tab Plus | ||
| 2025 | Yoga Tab Plus AI Yoga Tab 11.1 AI | Idea Tab 11 Idea Tab Pro 12.7 | }}}}}}}}}}}} |
1. 개요
레노버가 2022년 출시한 안드로이드 태블릿 컴퓨터이다.2. 사양
| <colbgcolor=#cdcdcd,#313131> 미디어텍 콤파니오 탑재 Xiaoxin Pad Pro 2022 (TB132FU)/한국.글로벌 출시 P11 pro 2세대[1] 하드웨어 사양 | |||||
| 프로세서 | 미디어텍 Kompanio 1300T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olbgcolor=#cdcdcd,#313131> CPU | ARM big.LITTLE - DynamIQ↓ | ||
| ARM Cortex-A78 MP4 2.4 GHz CPU + ARM Cortex-A55 MP4 2.00 GHz CPU | |||||
| GPU | ARM Mali-G77 MC9 | ||||
| NPU & DSP | |||||
| Sensor Hub | |||||
| 통신 모뎀 | 미탑재 | }}}}}} | |||
| 메모리 | 6 GB LPDDR4X SDRAM, 128 GB UFS 3.1 규격 내장 메모리, micro SDXC 지원 | ||||
| 디스플레이 | 11.2인치 5:3 비율 WQXGA 2560 x 1536 OLED (263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colbgcolor=#cdcdcd,#313131> 공급사 | EDO | ||
| 패널정보 | AMOLED | ||||
| PWM | 1920Hz (Dc디밍 옵션시) | ||||
| 부가정보 | 최대 주사율 120Hz, 고릴라 글라스 3 , Dolby Vision, HDR10+ 지원 | }}}}}}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터치 샘플링 레이트 360hz, 스타일러스 입력 모듈, 최대 밝기 600nits | |||
| 근접통신 | Wi-Fi 1/2/3/4/5/6, 블루투스 5.1 | ||||
| 위성항법 | GPS & A-GPS, GLONASS, Galileo | ||||
| 카메라 | 전면 800만 화소, 후면 1300만 화소 AF | ||||
| 배터리 | 내장형 Li-Ion 8,2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충전 | 30W[2] | }}}}}} | |
| 스피커 | JBL 쿼드 스피커 | ||||
| 운영체제 | 안드로이드 12 → 13→ 14 | ||||
| 규격 | 263.7 x 166.7 x 6.8 mm, 480 g | ||||
| 색상 | 그레이, 그린, 퍼플, 골드 | ||||
| 단자정보 | USB Type-C (USB 3.2 Gen 1x1) x 1, POGO Pin x 4 | ||||
| 생체인식 | 얼굴인식 - 전면 카메라 인식 방식 | ||||
| 기타 | 4096 필압(레벨) 틸트 인식 스타일러스 펜 지원, Widevine DRM L1 탑재, JBL 튜닝 쿼드 스피커 및 Dolby Atmos 기술 탑재,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탑재 센서 정보 ] | 가속도 센서, 홀센서, 앰비언트라이트 센서, 나침반, 자이로스코프 | }}}}}} | ||
| <colbgcolor=#cdcdcd,#313131> 퀄컴 스냅드래곤 탑재 Xiaoxin Pad Pro 2022 (TB138FC)[3] 하드웨어 사양 | |||||
| 프로세서 | 퀄컴 스냅드래곤 870 SM8250-AC Platform.{{{#!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 <colbgcolor=#cdcdcd,#313131> CPU | ARM big.LITTLE - DynamIQ↓ | ||
| ARM Cortex-A77 MP1 3.2 GHz + MP3 2.42 GHz CPU ARM Cortex-A55 MP4 1.8 GHz CPU | |||||
| GPU | 퀄컴 Adreno 650 670 MHz GPU | ||||
| NPU & DSP | 퀄컴 Hexagon 698 DSP | ||||
| Sensor Hub | DSP 대체 | ||||
| 통신 모뎀 | 미탑재 | }}}}}} | |||
| 메모리 | 8 GB LPDDR5X SDRAM, 128 GB UFS 3.1 규격 내장 메모리, micro SDXC 지원 | ||||
| 디스플레이 | 11.2인치 5:3 비율 WQXGA 2560 x 1536 OLED (263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colbgcolor=#cdcdcd,#313131> 공급사 | EDO | ||
| 패널정보 | AMOLED | ||||
| PWM | 1920Hz(DC디밍 옵션시) | ||||
| 부가정보 | 최대 주사율 120Hz, Dolby Vision, HDR10+ 지원 | }}}}}}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터치 샘플링 레이트 360hz, 고릴라 글라스 3 , 스타일러스 입력 모듈, 최대 밝기 600nits | |||
| 근접통신 | Wi-Fi 1/2/3/4/5/6, 블루투스 5.2 | ||||
| 위성항법 | GPS & A-GPS, GLONASS, Galileo | ||||
| 카메라 | 전면 800만 화소, 후면 1300만 화소 AF | ||||
| 배터리 | 내장형 Li-Ion 8,2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 유선충전 | 68W[4] | }}}}}} | |
| 스피커 | JBL 쿼드 스피커 | ||||
| 운영체제 | 안드로이드 12 → 13→ 14 | ||||
| 규격 | 263.7 x 166.7 x 6.8 mm, 480 g | ||||
| 색상 | 그레이, 그린, 퍼플, 골드 | ||||
| 단자정보 | USB Type-C (USB 3.2 Gen 1x1) x 1, POGO Pin x 4 | ||||
| 생체인식 | 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전원버튼) 얼굴인식 - 전면 카메라 인식 방식 | ||||
| 기타 | 4096 필압(레벨) 틸트 인식 스타일러스 펜 지원, Widevine DRM L1 탑재, JBL 튜닝 쿼드 스피커 및 Dolby Atmos 기술 탑재,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탑재 센서 정보 ] | 가속도 센서, 홀센서, 앰비언트라이트 센서, 나침반, 자이로스코프 | }}}}}} | ||
3. 상세
공식 스펙레노버 차이나 설명 페이지
레노버의 준 플레그쉽급 태블릿 답게, 센서가 대부분 장착되어 있다. GPS와 지자계까지, 방향 등이 전부 있어 네비게이션 용으로도 좋다.
미디어택, 글로벌 버전은 넷플릭스 HDR10과 dolby vison을 지원한다. 하드웨어 코덱으로 VP9, AVC-High, HEVC, AV1을 지원한다.
중국 내수 스냅드레곤 버전은 하드웨어상 HDR,dolby vison을 지원하지만, 넷플릭스와 타 OTT에서는 HDR 지원하지 않는다.
하드웨어 코덱으로 VP9, AVC-High를 지원한다.
미디어택, 글로벌 버전은 지문인식을 지원하지 않는다.
중국 내수 버전은 레노버, 모토로라의 smart connect를 이용하여 Quick share를 대체할 수 있다.
4. 출시
4.1. 한국 출시
한국에는 레노버 Tab P11 pro 2세대라는 정발명으로 콤파니오 모델이 출시되었다.4.2. 한국 외 지역
중국에는 레노버 XiaoXin Pad Pro 2022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4.3. 콤팡이와 용팡이
거의 동일한 사양의 제품이 AP, 램, 컬러 구성을 달리하여 비슷한 시기에 출시되었다. 초기 미디어텍 '콤'파니오 버전과 OLED 화면의 녹조 이슈('곰팡이')[5]를 들어 '콤팡이'라는 별칭이 만들어졌으며, 동일한 화면을 갖춘 스냅드래곤 버전이 출시되자 스냅'드래곤'(용)을 붙여 '용팡이'라는 별칭도 만들어졌다.4.4. 제품 사양 이슈
4.4.1. 반글화
'콤팡이'와 '용팡이' 모두 기본적으로는 중국어와 영문만을 지원하나, SetEdit 어플에서 system_locales를 ko-KR로 변경하여 강제로 시스템 내부의 한국어 메뉴를 꺼내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을 '반글화' 라고 부른다. ZUI 14(안드로이드 12)에서 ZUI 15(안드로이드 13)으로 업그레이드되면서 반글화 시 한글 메뉴가 적용되는 범위도 넓어졌다. ZUI 16(안드로이드 14)에서는 업데이트시 반글화가 풀리며 ko-KRzhzh로 변경하여 반글화가 가능하다.롬을 바꾸거나 업데이트하다가 벽돌이 되었다면, 러시아 포럼을 참고해서 벽돌 복구를 시도하면 된다. 혹은 네이버 블로그뽐뿌 벽돌복구의 덧글을 참고하여도 도움이 된다.
4.5. 악세사리
펜 공식 홈페이지레노버 정품으로 뒷면의 펜 보호 커버가 통합된 폴리오 케이스, 키보드 케이스 등이 있으며, Precision Pen 3 (BTP-131) 모델도 사용 가능하다. 위의 악세사리들은 '콤팡이'와 '용팡이'에 모두 호환되며, 두 태블릿의 외관이 같으므로 써드파티 케이스 악세사리, 보호필름 등도 모두 호환 가능하다.
Precision Pen 3 (BTP-131)을 인식 후 AP500, AP501을 사용 가능하다.
5. 기타
- 2023년 중반 XiaoxinPad Pro 12.7이 출시된 후 같은 스냅드래곤 870을 탑재한 '용팡이'와 화면 크기 외의 사양이 거의 동일한 점을 들어 자주 비교되었다. '용팡이'는 최대밝기가 더 높은 AMOLED 스크린과 더 높은 충전속도 및 제한 없는 반글화, Pad Pro 12.7은 더 넓은 화면과 LCD 특유의 안전성, 그리고 '용팡이' 특유의 녹조 이슈가 없는 점이 비교우위에 있다.
- 레노버 태블릿 자체가 내구성이 안 좋기로 유명하지만 이 제품은 악명이 유독 더 높다. 화면이 어느날 갑자기 켜지지 않는다거나, 와이파이 모듈이 고장나서 동작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커뮤니티에서는 해결책으로 동봉된 번들 충전기를 사용하라는 조언이 있다. 사례
- 화면꺼짐후 전원버튼을 아무리 눌러도 안켜지는 상황에선, 전원+볼륨아래 를 8초정도 누르면 또깍 소리가 나고, 누른 상태를 총 25초정도 유지하면 화면이 켜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