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00:21:38

레나토 슈테펜

파일:Renato Steffen.png
<colbgcolor=#000000> FC 루가노 No. 22
레나토 슈테펜
Renato Steffen
출생 1991년 11월 3일 ([age(1991-11-03)]세)
아르가우 주 아라우
국적
[[스위스|]][[틀:국기|]][[틀:국기|]]
신체 170cm / 체중 65kg
포지션 윙어
주발 왼발
유소년 클럽 FC 엘린스바흐 (1998~2004)
FC 아라우 (2004~2007)
SC 쇠프틀란트 (2007~2011)
소속 클럽 FC 졸로투른 (2011~2012)
FC 툰 (2012~2013)
BSC 영 보이즈 (2013~2016)
FC 바젤 (2016~2018)
VfL 볼프스부르크 (2018~2022)
FC 루가노 (2022~ )
국가대표 41경기 4골[1] (스위스 / 2015~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스위스 국적의 FC 루가노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윙어.

2. 클럽 경력

2.1. 자국 리그 시절

스위스의 아라우에서 태어나 FC 엘린스바흐와 FC 아라우 그리고 SC 쇠프틀란트에서 유스 시절을 보냈다.

4부리그에서 한 시즌을 보낸 뒤 2012년 7월 으로 이적했으며, 9월 2일 세르베트를 상대로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그리고 1부리그 첫 시즌에서 19경기에 나서 4골을 기록했다.

2013-14 시즌을 앞두고 50만 유로에 영 보이즈에 입단했다. 계약기간은 4년.

2016년 1월, 겨울 이적시장을 통해 바젤과 4년 반 계약을 서명했다. 2월 7일 루체른전에 나서며 데뷔전을 치렀고, 후반 40분에 첫 골을 신고하며 홈팬들 앞에서 인상적인 데뷔 무대를 선보였다. 이후 팀은 리그 타이틀을 따내는데 성공했다. 2016-17 시즌에는 리그와 리그 컵 우승을 기여하며 성공적인 첫 풀타임 시즌을 보냈다.

2.2. VfL 볼프스부르크

스위스 클럽에서 뛰어오다 2018년 1월 10일, 볼프스부르크로 이적하며 독일로 진출했다.

2019-20 시즌 23라운드 1. FSV 마인츠 05전에서 환상적인 마르세유 턴으로 팀의 4번째 골을 작렬시켰다.

2021-22 시즌, 총 26경기 2골 1도움을 기록했으나 입지가 점점 위기에 몰리기 시작했다.

2.3. FC 루가노

2022년 8월 30일, FC 루가노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2025년까지.

첫 시즌부터 리그 도움 9개를 기록하며 울리세스 가르시아와 함께 공동 리그 도움왕에 선정돼 국내 리그에서만큼은 여전한 기량을 보여주었다.

2025년 1월 19일, 루가노와 2028년까지 재계약을 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2015년 10월 9일, 산마리노와의 유로 지역예선전에서 후반 33분 교체 투입되며 성인 대표팀에 데뷔했고, 팀은 7: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2019년 5월, UEFA 네이션스 리그 결선 토너먼트에 참가하였고, 팀은 4위를 기록했다.

유로 2020 지역예선 기간동안 대표팀 소속으로 많은 경기를 뛰며 본선 진출에 기여했으나, 정작 대회를 앞두고 부상으로 인해 본선 무대에는 불참했다. 그리고 카타르 월드컵 지역예선부터는 대표팀에 복귀하여 주전으로 활약했다. 10월 13일, 8라운드 리투아니아전에서는 대표팀 첫 골을 신고했다. 결과는 4:0 승리.

2023년 3월 26일, 유로 2024 지역예선에서 벨라루스 상대로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4. 플레이 스타일

기술적으로는 상당히 투박한 스타일의 측면 미드필더. 하지만 왕성한 활동량과 분주한 움직임으로 기회를 포착하는데에 능력이 있다. 다만 아무리 그가 성실한 유형의 측면 자원이라고 하더라도 커리어 평균 70% 초반대의 패스 성공률은 문제가 있다.

5. 같이 보기


1 조머 · 2 스테르기우 · 3 비드머 · 4 엘베디 · 5 아칸지 · 6 자카리아 · 7 엠볼로 · 8 프로일러 · 9 오카포
10 자카 · 11 슈테펜 · 12 음보고 · 13 로드리게스 · 14 추버 · 15 체지거 · 16 시에로 · 17 바르가스
18 두아 · 19 은도이 · 20 에비셔 · 21 코벨 · 22 셰어 · 23 샤키리 · 24 야샤리 · 25 암도우니 · 26 리더
파일:UEFA EURO SUI.png 무라트 야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SUI.png 조르조 콘티니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SUI.png 파트리크 폴레티


[1] 2024년 6월 30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