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6 14:41:26

덴마크 잠수부대

잠수부대
Frogman Corps
Frømandskorpset
파일:덴마크 잠수부대 로고.png
창설 1957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덴마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덴마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해군
상급부대 덴마크 특수작전사령부
참전 걸프 전쟁
보스니아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분류 특수부대
역할 특수작전[1]
본부 덴마크 오스헤레드 콩쇠레
규모 연대(400명)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선발4. 장비5. 기타6. 관련문서

1. 개요

파일:덴마크 잠수부대.jpg
Frømandskorpse

덴마크 잠수부대는 덴마크 방위군 최초의 특수부대로 잠수 및 폭파, 사보타주, 인질구출, 대테러, 요인 경호, 비정규전 등을 담당한다.

2. 역사

잠수부대는 1957년 6월 영국의 SBS, 미국의 UDT[2], 노르웨이의 MJK를 모델로 코펜하겐 홀겐 해군 잠수학교에서 창설되었다. 이후 1970년에 독립하여 잠수함 함대에 배속된 덴마크 잠수부대는 냉전이 끝난 뒤 걸프전쟁과 보스니아 전쟁에 참전하여 임무를 수행했다.

그 후 2001년 9.11테러로 테러와의 전쟁이 발발하면서 아프가니스탄에서 육군의 덴마크 엽병부대와 함께 태스크포스 K-Bar에 배속되어 함께 임무를 수행했고 이라크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2004년에는 해군 사령부 직속부대가 되었다.

이후 2008년부터는 해적방지 임무인 오션 쉴드 작전에서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된 선원 25명을 구조하는 활약을 펼쳤고 2015년부터 해군 사령부에서 덴마크 특수작전 사령부로 소속이 옮겨졌다.

2021년엔 선박납치를 시도하던 해적 8명과 교전하여 4명을 사살, 나머지 4명을 살포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의 위협에 대비해 세번째 스쿼드론이 부대에 창설되었다.

3. 선발

덴마크 잠수부대의 일원이 되기 위해선 범죄경력이 없는 21세의 덴마크인이여야 하며 수학, 덴마크어 및 영어 등 필기테스트에서 면접을 진행한 뒤 약 90시간동안 진행되는 육상, 해상 테스트를 통해 후보생으로 선발된다.[3]

우선 지구력 및 근력 테스트로 1일간 험난한 날씨 속에서 12분 안에 최소 2400m를 달려야하며 근력 테스트는 스플릿 스쿼트, 딥스, 바디 리프트, 버피 4가지로 이루어진다.

이후 두번째 테스트에서 다시 1일간 더욱 신화된 지구력 및 근력 테스트를 수행하고 3번째 테스트는 5일간 약 70시간의 육지 테스트, 12시간의 해상 테스트로 이루어진다.

육상 테스트는 지구력 및 근력 테스트, 최대 12분동안 2900m를 달리는 달리기 테스트, 건강검진, 약 10kg의 짐을 싣고 70km 행군, 군화를 신은 상태에서 10kg의 짐을 갖고 5km 달리기, 보트를 머리에 이고 산을 오르는 헤드 캐링, 최대 85분 안에 15km 완주 등을 통과해야하며 해상 테스트는 최대 24분 안에 1km 수영, 수중 수영 테스트, 잠수 장비를 착용한뒤 운동 테스트를 수행한다.

세번째 테스트를 통과하면 네 번째 테스트로 하루동안 심리학자에게 상담을 받으며 교육의 적합성을 평가받는다.

마지막 다섯번째 테스트는 다시 하루 동안 건강검진이며 이 테스트를 통과한 뒤 후보생으로 선발된 지원자들은 매년 12월부터 9개월간 펼쳐지는 선발과정을 수료해야 한다. 영국 SBS와 네이비 씰의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한 이 과정은 매년 600여명 중 약 10여명만이 선발될 정도로 혹독하며 전투 수영, 고급 스쿠버 다이버 과정, 서바이벌 과정 등 각종 훈련을 수료한 뒤 부대에 배치되어 폭파, CQB, 전술차량운전, 수중침투 등 각종 특수전 교육을 수료하고 실전에 투입된다.

4. 장비

5. 기타

  • 파일:덴마크 잠수부대 체인메일.webp
    넷상에서 유명한 유명한 사슬갑옷을 걸친 특수부대 짤방의 주인공들이다. 다만 전술의 발전 및 수렴진화로 위장복이 대부분 멀티캠으로 바뀌면서 이제는 볼 수 없게 되었다.
  • 현 덴마크 국왕인 프레데리크 10세가 군인이었을때 선발과정에 지원 후 통과하여 화제가 되었다. 다만 신분상 부대에서 직접 복무하지는 못했고 하위부대에 배치되어 훈련에 참가했다고 한다.
  • 2015년 덴마크 잠수부대의 선발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었다.

6. 관련문서


[1] 대테러, HVT 사살, 특수정찰, 인질구출, 요인경호, 사보타주, 비정규전[2] 현 네이비 씰[3] 육군의 엽병부대는 군복무 경력이 필요하지만, 잠수부대는 군 경력이 없어도 지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