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5 11:26:01

대한제국군/인사명령/1908년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9241d><tablebgcolor=#d9241d> 파일:대한제국 국장 겸 황실 문장.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5%;"<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9176e><tablebgcolor=#29176e>조선/대한제국군 인사명령 }}}}}}
1894년 1895년
1896년 1897년 1898년 1899년 1900년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1906년 1907년 1908년 1909년 1910년
인물별 기록 장교 사병


1. 개요2. 1월 8일3. 1월 11일4. 2월 26일5. 4월 2일6. 4월 18일7. 6월 12일8. 6월 20일9. 7월 11일10. 8월 12일11. 9월 17일12. 9월 28일13. 11월 21일

1. 개요

대한제국군/인사명령1908년 내용을 정리한 항목이다. 일본인들의 이름이 많이 등장한다.
  • 신규 임용
날짜 소위 중위 대위 소령 중령 대령 소장 중장 원수 합계
합계 0

2. 1월 8일

○ 상촌차랑길(上村次郎吉)에게 궁내부 주마과 마술교사(宮內府主馬課馬術敎師)를 촉탁하고, 판임(判任) 대우. 산전보(山田保)에게 궁내부 서무과 사무(宮內府庶務課事務)를 촉탁하였다. 판임(判任) 대우. 육군 보병 참위(陸軍步兵參尉) 성찬경(成贊慶)을 육군 3등 군사(陸軍三等軍司)에 임명하고, 전 박사(博士) 윤병순(尹秉純)을 법부 주사(法部主事)에 임명하였으며, 대한의원 주사(大韓醫院主事) 강야호태랑(岡野虎太郎)에게 내부 주사(內部主事)를 겸임시키고, 유량초이랑(由良鈔二郎)을 재무서 주사(財務署主事)로 임명하였다.

3. 1월 11일

○ 장례원 전사보(掌禮院典祀補) 이원식(李源植), 안릉 참봉(安陵參奉) 이성렬(李星烈), 의릉 참봉(義陵參奉) 김창규(金昌圭), 순릉 참봉(純陵參奉) 한전채(韓甸埰)는 자원에 의하여 본관을 해면하였다. 친왕(親王) 부(附) 무관(武官) 육군 보병 정위 장인근(張寅根), 근위기병대장(近衛騎兵隊長)인 육군 기병 정위 김희선(金羲善), 근위 기병대(近衛騎兵隊) 부(附) 육군 기병 부위(陸軍騎兵副尉) 이은상(李殷相), 군부(軍部) 부(附) 육군 기병 참위(陸軍騎兵參尉) 이종성(李鍾聲), 군부 부 육군 3등 군사(陸軍三等軍司) 성찬경(成贊慶)은 본직을 해면하였다. 이복림(李馥林)ㆍ김종현(金琮鉉)ㆍ최홍기(崔洪基)를 장례원 전사보에 임명하고, 덕릉령(德陵令) 이영선(李暎善)을 안릉 참봉(安陵參奉)에, 김주호(金周鎬)를 덕릉령에, 황경필(黃景弼)을 의릉 참봉에, 한회선(韓晦善)을 순릉 참봉(純陵參奉)에 임명하였다. 김기환(金基煥)은 경기 선유위원(京畿宣諭委員)을 해면하고, 정3품 이종률(李鍾律)을 경기 선유위원에 임명하였으며, 서상륜(徐相崙)을 황해도 선유위원에 임명하였다. 육군 보병 정위 장인근을 육군 무관학교 교관에 보직하고, 육군 기병 정위 김희선을 친왕부 무관에 보직하였으며, 육군 기병 부위 이은상을 근위 기병대장(近衛騎兵隊長) 부(附)에 보직하고, 육군 기병 참위 이종성과 육군 3등 군사 성찬경을 근위기병대 부에 보직하였다. 6품 송헌섭(宋憲燮)을 의효전 사승(懿孝殿祀丞)에 임명하고, 복강충일(福岡忠一)ㆍ상전문삼랑(上田文三郎)을 재무서 주사에, 곡야문지진(谷野文之進)을 세관 주사(稅關主事)에, 천기용(川崎勇)ㆍ촌청빈(村淸彬)을 재무감독국 주사(財務監督局主事)에, 경시청 총순(警視廳摠巡) 이동희(李東熙)를 경시청 경부(警視廳警部)에 임명하였다.

근위기병대친왕부 무관 인사 등이 있었다.

4. 2월 26일

○ 재무서 재무관(財務署財務官) 민영직(閔泳直)은 자원에 의하여 본관(本官)을 해면하였다. 탁지부 사세국장(度支部司稅局長) 영목목(鈴木穆)을 임시 제실유 및 국유재산조사국 위원〔臨時帝室有及國有財産調査局委員〕에 임명하였고, 전(前) 부위(副尉) 김동우(金東佑)ㆍ김원흥(金元興)ㆍ이재탁(李在鐸), 전(前) 정위(正尉) 김귀현(金龜鉉)ㆍ나호(羅鎬), 전(前) 참위(參尉) 조희갑(趙羲甲)을 경시(警視)에 임명하였으며, 민두현(閔斗鉉)은 장례원 전사보(掌禮院典祀補)에 임명하였고, 전 번역관(繙譯官) 이성호(李成鎬)를 임시 제실유 및 국유재산조사국 사무원에 임명하였다. 홍순철(洪淳哲)ㆍ차서곤(車瑞坤)ㆍ김찬배(金瓚培)ㆍ이민설(李敏卨)ㆍ백남철(白南澈)ㆍ이희승(李熙昇)ㆍ이규한(李圭漢)ㆍ배덕련(裵德鍊)ㆍ박성학(朴聲鶴)ㆍ김갑명(金甲明)ㆍ김준식(金駿植)ㆍ최봉우(崔鳳遇)ㆍ이인춘(李寅春)ㆍ원운상(元雲常)ㆍ어준(漁濬)ㆍ한명리(韓命履)ㆍ박창호(朴昌鎬)ㆍ어택선(魚宅善)ㆍ송덕수(宋德洙)ㆍ송국찬(宋國贊)ㆍ김영희(金英熙)ㆍ유병적(兪炳迪)ㆍ홍순팔(洪淳八)ㆍ이창로(李昌魯)ㆍ조긍하(趙兢夏)ㆍ고윤식(高允植)ㆍ이용한(李容漢)ㆍ유종국(劉鍾國)ㆍ성준영(成俊永)ㆍ이규정(李奎程)ㆍ어윤상(魚允常)ㆍ이주원(李柱元)ㆍ권용익(權用益)ㆍ김광윤(金光潤)ㆍ조종구(趙鍾九)ㆍ김창범(金昌範)ㆍ김형근(金瀅根)ㆍ남진우(南鎭祐)ㆍ이원송(李源松)ㆍ유철준(兪澈濬)ㆍ송정용(宋禎鏞)ㆍ김병숙(金炳淑)ㆍ서상홍(徐相泓)ㆍ서기순(徐起淳)ㆍ이석래(李碩來)ㆍ이재귀(李在龜)ㆍ김태형(金泰炯)ㆍ원용철(元容鐵)ㆍ한인교(韓仁敎)ㆍ김승기(金昇基)ㆍ문태규(文泰圭)ㆍ김영찬(金永燦)ㆍ오진한(吳振漢)ㆍ황보현(皇甫玹)ㆍ유치현(兪致賢)ㆍ김성규(金性圭)ㆍ백선명(白善明)ㆍ유석(柳奭)ㆍ최희준(崔熙俊)ㆍ이완춘(李完春)ㆍ이창진(李昌鎭)ㆍ권태수(權泰洙)ㆍ우창섭(寓昌燮)ㆍ이원태(李元泰)ㆍ이재민(李在玟)ㆍ한봉리(韓鳳履)ㆍ이상백(李象伯)ㆍ윤공선(尹恭善)ㆍ박진규(朴縉圭)ㆍ신항교(辛恒敎)ㆍ박계정(朴桂貞)ㆍ성두경(成斗慶)ㆍ신풍희(申豐熙)ㆍ우희목(禺熙穆)ㆍ홍순명(洪淳明)ㆍ권명채(權命采)ㆍ박규환(朴奎桓)ㆍ이익중(李益重)ㆍ김이정(金履貞)ㆍ유공수(柳秀)ㆍ이수붕(李秀鵬)ㆍ김이섭(金履燮)ㆍ김이현(金彛鉉)ㆍ윤영근(尹榮根)을 임시 제실유 및 국유재산조사국의 지방조사위원에 임명하였다. 본사의족(本司義足)을 도 주사에, 재무감독국 주사 현득건(玄得健)을 재무서 주사에, 재무서 주사 김상우(金相禺)를 재무감독국 주사에 임명하였으며, 경시(警視) 재등례삼(齋藤禮三)을 내부 서기관(內部書記官)에 겸임시켰고, 세관 감리(稅關監吏) 미전현길(未田玄吉)은 자원에 의하여 본관을 해면하였다.

장교 출신이 경찰로 임용되었다.

5. 4월 2일

○ 육군 부장(陸軍副將) 조동윤(趙東潤)을 동궁무관장(東宮武官長)에 보직하였다.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A_A02_03A_02A_00080_2015_002_XML
조동윤이 있던 동궁배종무관부가 동궁무관부로 바뀌었다.

6. 4월 18일

○ 주양기(朱陽箕)ㆍ김정태(金正泰)ㆍ박한필(朴漢弼)ㆍ이만희(李萬喜), 전 부위(副尉) 김병철(金炳喆), 전 참위(參尉) 이태승(李台承)을 경부(警部)에 임명하였다.

장교 출신이 경찰에 채용되었다.

7. 6월 12일

○ 군 주사 조병진(曹秉瑨)ㆍ유진원(兪鎭瑗)ㆍ정창호(鄭彰鎬)ㆍ조병섭(曹秉燮), 세관 주사 황목춘단(黃木春端)은 자원에 의하여 본관을 해면하고, 육군 기병 참령 박영철(朴榮喆), 보병 참위 차만재(車萬載)를 군부 부에 보직하였으며, 사도재이랑(寺島才二郎)을 경부로, 관세국 감시관보 겸 관세국 주사 흑전유윤(黑田惟允)을 세관 주사로 임명하고, 세관 주사 대죽겸태랑(大竹謙太郎)을 관세국 감시관보로 임명하여, 관세국 감시관보 대죽겸태랑에게 관세국 주사를 겸임하게 하였다.

8. 6월 20일

○ 김상영(金相榮)ㆍ도변덕지조(渡邊德之助)를 공업 전습소 기수로 임명하고, 종2품 정인흥(鄭寅興)ㆍ양주 군수 신재영(申載永), 정3품 태명식(太明軾)ㆍ조예석(趙禮錫)ㆍ영흥 군수 이병화(李秉和)ㆍ법관 양성소 교수 유문환(劉文煥), 정3품 이면우(李冕宇)ㆍ김응준(金應駿)ㆍ종2품 최문현(崔文鉉)ㆍ한성 재판소 판사 이원국(李源國)ㆍ황해도 재판소 검사 권병훈(權丙勳)ㆍ제주 재판소 검사 최원순(崔元淳)ㆍ평안남도 재판소 검사 김종호(金鍾濩)ㆍ경상남도 재판소 검사 박준성(朴準性)ㆍ함경북도 재판소 검사 권혁채(權赫采)ㆍ함경남도 재판소 검사 양효건(楊孝健)ㆍ6품 오용묵(吳容默)ㆍ전라남도 재판소 검사 박유관(朴有觀)ㆍ경기 재판소 검사 이중혁(李重赫)ㆍ평안북도 재판소 검사 이수경(李秀京)ㆍ충청남도 재판소 검사 홍우기(洪祐夔)ㆍ한성 재판소 검사 이종우(李種雨)ㆍ강원도 재판소 검사 기동연(奇東衍)ㆍ평리원 검사 나진(羅瑨)ㆍ용안 군수 정유섭(丁裕燮)ㆍ한성 재판소 주사 성기영(成夔永)ㆍ법부 주사 심원명(沈遠明)ㆍ한성 재판소 주사 정섭조(鄭燮朝)ㆍ평리원 주사 심노욱(沈魯旭)ㆍ평안남도 재판소 주사 문봉의(文鳳儀)ㆍ정3품 이용성(李容成)ㆍ이용재(李龍在), 9품 윤태영(尹泰榮)ㆍ이기찬(李基燦)ㆍ이진우(李珍雨)ㆍ현석건(玄奭健)을 판사로 임명하였으며, 정3품 윤성보(尹性普)ㆍ한성 재판소 검사 한동리(韓東履)ㆍ칠곡 군수 김상섭(金商燮)ㆍ평리원 검사 정석규(鄭錫圭)ㆍ전라북도 재판소 검사 윤헌구(尹憲求)ㆍ경상북도 재판소 검사 홍순용(洪淳瑢)ㆍ도 사무관 이희목(李熙穆), 9품 박승빈(朴勝彬)ㆍ김응섭(金應燮)을 검사로 임명하였다. 판사 정인흥을 대심원 부장(大審院部長)으로, 검사 윤성보를 평양 공소원 검사로, 판사 신재영을 평양 공소원 판사로, 판사 태명식을 대심원 판사로, 판사 조예석을 평양 공소원 판사로, 검사 한동리를 진주 지방재판소 검사로, 판사 이병화를 경성 공소원 판사로, 판사 이면우를 경성 공소원 판사로, 판사 김응준을 대구 지방재판소 판사로, 판사 최문현을 평양 지방재판소 판사로, 검사 김상섭을 광주 지방재판소 검사로, 검사 정석규를 대구 지방재판소 검사로, 판사 이원국을 공주 지방재판소 판사로, 판사 권병훈을 원산 구재판소 판사로, 판사 최원순을 제주 구재판소 판사로, 검사 윤헌구를 공주 지방재판소 검사로, 판사 김종호를 해주 지방재판소 판사로, 판사 박준성을 진주 구재판소 판사로, 판사 권혁채를 경성(鏡城) 구재판소 판사로, 판사 양효건을 함흥 구재판소 판사로, 검사 홍순용을 대구 지방재판소 검사로, 판사 박유관을 광주 구재판소 판사로, 판사 이수경을 평양 지방재판소 판사로, 판사 홍우기를 공주 구재판소 판사로, 판사 이중혁을 함흥 지방재판소 판사로, 판사 오용묵을 대구 지방재판소 판사로, 판사 이종우를 해주 지방재판소 판사로, 판사 기동연을 광주 지방재판소 판사로, 판사 나진(羅瑨)을 대구 지방재판소 판사로, 판사 정유기를 광주 지방재판소 판사로, 검사 이희목을 해주 지방재판소 검사로, 판사 성기영을 충주 구재판소 판사로, 판사 심원명을 해주 구재판소 판사로, 판사 정섭조를 전주 구재판소 판사로, 판사 심노욱을 원주 구재판소 판사로, 판사 문봉의를 평양 구재판소 판사로, 판사 이용성을 공주 지방재판소 판사로, 판사 이용재를 진주 지방재판소 판사로, 판사 이기찬을 함흥 지방재판소 판사로, 검사 박승빈을 평양 지방재판소 검사로, 판사 윤태영을 진주 지방재판소 판사로, 판사 이진우를 대구 구재판소 판사로, 판사 현석건을 부산 구재판소 판사로, 검사 김응섭을 함흥 지방재판소 검사로 보직하였다. 군부 군무국 교육과원 보병 정위 서병덕(徐丙德), 군부 군무국 마정과원 포병 정위 권승록(權承祿), 군부부 보병 정위 백낙만(白樂萬), 육군 무관학교 교관 보병 정위 장인근(張寅根) 근위 보병대대부 보병 정위 김태원(金泰元), 육군 무관학교 생도대부 보병 부위 유기성(柳冀聖), 군부부 보병 부위 유치만(兪致萬)ㆍ장기승(張基承), 군부대신 관방부관 공병 부위 김석빈(金碩彬), 육군 무관학교 생도대부 보병 부위 조인순(趙藺淳), 군부부 보병 참위 김화성(金華成)ㆍ김종호(金鍾浩)ㆍ차만재(車萬載), 근위 보병대대부 보병 참위 박동원(朴東元), 근위 보병대대 중대부 보병 참위 이병교(李秉喬)는 본직을 해면하였으며, 보병 정위 김태원ㆍ서병덕ㆍ장인근ㆍ권승록, 공병 부위 김석빈, 보병 참위 박동원ㆍ이병교를 군부부에 보직하고, 보병 부위 조인순을 대신 관방 부관으로, 보병 부위 유치만을 군부 군무국 교육과원보로, 보병 부위 유기성을 군부 군무국 마정과원보로, 보병 참위 김종호를 육군 무관학교 생도대부로, 보병 정위 백낙만ㆍ보병 참위 차만재를 근위 보병대대부로, 보병 참위 김화성을 근위 보병대대 중대부로 보직하였다.

근위보병대대 인사가 있었다.

9. 7월 11일

○ 경성 감옥 간수장 이기용(李基鎔)을 대구 감옥 간수장으로, 이석구(李錫求)를 평양 감옥 간수장으로, 홍진항(洪鎭恒)을 공주 감옥 간수장으로, 간수장 민영갑(閔泳甲)을 광주 감옥 간수장으로, 권종렬(權鍾烈)을 함흥 감옥 간수장으로, 권철수(權喆洙)를 진주 감옥 간수장으로, 전기선(全基善)을 경성 감옥 간수장으로, 김교준(金敎駿)을 해주 감옥 간수장으로 보직하였다. 앞서 전 참위(參尉) 민영갑ㆍ전 총순(摠巡) 권종렬ㆍ7품 권철수ㆍ전 주사 전기선ㆍ9품 김교준을 간수장으로 하였으며 9품 김병필(金秉泌)을 재무서 주사로 임명하였다.

10. 8월 12일

○ 세관 주사 오일환(吳日煥)은 자원에 따라 본관을 해면하고, 법부 주사 신정식(申正植)을 재판소 서기로, 재판소 서기 서상희(徐相喜)ㆍ전 참위(參尉) 이제정(李濟鼎)을 법부 주사로 임명하였다. 재판소 서기 신정식을 경성 지방재판소 서기로 보임하였고, 내부 토목국장 유맹(劉猛)은 겸관인 내부 위생국장을 해면하였다.

11. 9월 17일

○ 생야영명(生野盈明)을 내부 주사로, 내부 사무관 이규정(李圭正)을 내부 번역관(內部飜譯官)으로, 재무서 주사 소원진삼랑(篠原辰三郎)ㆍ등곡작태랑(藤谷作太郎)을 재무감독국 주사로 임명하였다. 육군 보병 부위(陸軍步兵副尉) 장기영(張基永)ㆍ조인순(趙藺淳)을 육군 보병 정위로, 육군 보병 참위 김종호(金鍾浩)를 육군 보병 부위로, 육군 보병 참위 이승욱(李承旭)을 육군 기병 부위로, 육군 보병 참위 이응구(李應九)ㆍ김동원(金東元)을 육군 보병 부위로, 육군 기병 참위 이종성(李鍾聲), 육군 보병 부위 한창리(韓昌履)를 육군 기병 부위로, 육군 3등사계(陸軍三等司計) 장석조(張錫祚)를 육군 2등사계로, 육군 1등군사 정두원(鄭斗源)을 육군 3등사계로, 육군 보병 참위 김성집(金聲集)을 육군 2등군사로, 육군 보병 참위 구자승(具滋承)ㆍ배준환(裵駿煥)을 육군 3등군사로, 육군 3등군의(陸軍三等軍醫) 이제규(李濟奎)를 육군 2등군의로 임명하고, 법부 번역관 김의균(金宜均)을 법부 서기관으로 임명하였다. 군부 부(附) 육군 포병 정령(陸軍砲兵正領) 어담(魚潭), 군부 경리국 제1과장 육군 3등사계 장석조(張錫祚), 군부 경리국 제1과원 육군 1등군사 정두원(鄭斗源)ㆍ군부 군무국 인사은상과원(軍部軍務局人事恩賞課員)인 육군 보병 정위 조중완(趙重完), 군부 군무국 마정과원보(軍部軍務局馬政課員補)인 육군 보병 부위 유기성(柳冀聖), 군부 대신관방 부관보(官房副官補)인 육군 보병 부위 조인순, 군부 부 육군 보병 부위 홍순정(洪淳正), 군부 부 육군 보병 부위 고영균(高永均), 군부 부 육군 보병 참위 김성집, 근위보병대대 부 육군 보병 참위 이병홍(李秉弘), 근위 보병대대 부 육군 보병 참위 구학서(具鶴書), 근위보병대대 중대 부 육군 보병 참위 이응구(李應九)는 본직을 해면하였다. 육군 포병 정령 어담을 군부 군무국 마정과장으로, 육군 2등사계 장석조를 군무 경리국장보로, 육군 3등사계 정두원은 군부 경리국 제1과장으로, 육군 보병 정위 조중완을 군부 군무국 마정과원으로, 육군 보병 정위 조인순은 군부 대신관방 부관으로, 육군 보병 부위 유기성은 군부 군무국 인사 은상과원보로, 육군 보병 부위 홍순정ㆍ고영균은 근위보병대대 부로, 육군 2등군사 김성집은 군부 경리국 제1과원으로, 육군 보병 부위 이응구는 근위보병대대 부로, 육군 보병 참위 구학서를 군부 부로 보직하였다. 법부 주사 홍승근(洪承瑾)을 법부번역관으로 임명하고, 군부 군무국 마정과장인 육군 기병 참령(陸軍騎兵參領) 유동열(柳東說)은 자원에 따라 본관을 해면하였다. 중촌죽삼랑(中村竹三郎)을 건축소 기수로 임명하고, 임시 재산정리국 기수 박승태(朴勝泰)ㆍ안흥선(安興善)은 본관을 해면하였다. 안원시태랑(安原時太郎)ㆍ교본영(橋本榮)ㆍ금자준웅(金子俊雄)ㆍ삼원다희혜(杉原多喜惠)ㆍ산중심오(山中甚吾)ㆍ율총덕삼(栗塚德三)을 재무서 주사로 임명하고, 소전인일량(召田寅一良)을 재무감독국 사무관으로 임명하여, 재무감독국 사무관 소전인일량을 한성 재무감독국에 근무하도록 명하였다. 육군 보병 참위 이병홍(李秉弘)을 근위보병대대 중대 부로 보직하였다.

12. 9월 28일

○ 전 육군 보병 참령 이갑(李甲), 전 육군 기병 참령 유동열(柳東說)은 군법회의 판사(軍法會議判事)를 해면하였다. 군부 군무국 인사은상과원인 육군 보병 정위 강필우(康弼祐), 군부 대신관방 부관인 육군 보병 정위 조인순(趙藺淳), 군부 부(附) 육군 보병 참위 김승원(金昇元)ㆍ근위보병대대 중대 부(附) 육군 보병 참위 김화성(金華成)은 본직(本職)을 해면하였다. 육군 보병 정위 강필우를 군부 대신관방 부관으로 보임하고, 육군 보병 정위 조인순을 군부 군무국 인사은상과원으로 보임하며, 육군 보병 참위 김화성을 군부 부로 보임하고, 육군 보병 참위 김승원을 근위보병대대 중대 부로 보임하였다. 판사(判事) 태명식(太明軾), 신계 군수(新溪郡守) 서상팔(徐相八)은 자원에 따라 본관을 해면하였다. 전 평리원 판사(平理院判事) 박용태(朴瑢台)를 판사법관양성소 조교수(判事法官養成所助敎授)로 임명하고, 석진형(石鎭衡)을 법관양성소 교수로 임명하였으며, 법관양성소 간사 암간량(岩間亮)에게 법관양성소 조교수를 겸임하게 하였다. 전 교원(敎員) 김홍수(金洪秀)를 관립 교동보통학교 본과훈도로 임명하고, 종1품 서정순(徐正淳)을 규장각 제학으로 임명하였다. 규장각 제학 서정순을 정1품 보국대부(輔國大夫)로 승품하고, 규장각 제학 훈2등(勳二等) 서정순을 훈1등에 특별히 승서(陞敍)하여 태극장(太極章)을 하사하였으며, 판사 박용태를 인천 구재판소 판사로 보임시켰다.

뒷날의 독립운동가인 이갑, 유동열이 보직에서 해면되었다.

13. 11월 21일

○ 관세국(關稅局) 사무관 사미규구랑(寺尾規矩郎)을 세관 사무관으로 임명하였고, 세관 사무관 사미규구랑에게 관세국 사무관을 겸임하게 하였다. 군부 군무국(軍部軍務局) 마정과장(馬政課長) 육군 포병 정령 어담(魚潭), 군부 군무국 인사은상과장(人事恩賞課長) 육군 보병 부령(副領) 전영헌(全永憲), 군부 부(附) 육군 보병 부령(陸軍步兵副領) 민용기(閔用基), 육군 무관학교(武官學校) 부(附) 육군일등군사(陸軍一等軍司) 윤호(尹鎬), 군부 경리국(經理局) 제2과원(第二課員)인 육군일등군사(陸軍一等軍司) 임우춘(林遇春), 군부 부 육군 보병 정위(陸軍步兵正尉) 권중빈(權重彬)ㆍ임재덕(林在德), 군부 부 육군삼등군사 구자승(具滋承)은 본직을 해면하였다. 육군 포병 정령 어담(魚潭)을 시종무관부(侍從武官府) 시종무관(侍從武官)으로, 육군 보병 부령 전영헌(全永憲)을 군부 군무국 마정과장으로, 육군 보병 부령 민용기(閔用基)를 군부 군무국 인사은상과장으로, 육군일등군사 윤호(尹鎬)를 군부 경리국 제2과원으로, 육군일등군사 임우춘(林遇春)을 군부 부에 보직하였다. 육군 보병 정위 권중빈(權重彬)ㆍ임재덕(林在德)을 육군 무관학교 교관으로, 육군삼등군사 구자승(具滋承)을 육군 무관학교 부(附)에 보직하였다. 안택희(安宅熙)를 내부 주사로 임명하였고, 영희전 제조(永禧殿提調) 한광수(韓光洙)를 규장각 제학에 임명하였으며, 오기수(吳基修)를 의릉(義陵) 참봉으로, 박재승(朴在昇)을 효창원 봉사(孝昌園奉事)로, 9품 김태욱(金泰旭)을 내장원(內藏院) 주사로 임명하였다. 세관 사무관 사미규구랑(寺尾規矩郎)에게 증남포(甑南浦) 세관 근무를 명하였고, 세관 사무관 겸 관세국 사무관 사미규구랑에게 세관국 관방 겸무(稅關局官房兼務)를 명하였으며, 전 제주 군수(濟州郡守) 윤원구(尹元求)를 겸직한 제주보통학교 교장에서 해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