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14:46:06

대요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젤다의 전설 시리즈/종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방홍마향의 보스
{{{#!folding 전체보기 1면 2면 3면
루미아 치르노
(대요정)
홍 메이링
4면 5면 6면
파츄리 널릿지
(소악마)
이자요이 사쿠야 레밀리아 스칼렛
(이자요이 사쿠야)
EX
플랑드르 스칼렛
(파츄리 널릿지)
}}}

대요정
Big Fairy / Daiyousei[1]
[ruby(大, ruby=だい)][ruby(妖, ruby=よう)][ruby(精, ruby=せい)]
파일:thSCoOW_daiyousei.png
이름 불명
종족 요정
능력 -
위험도 -
인간 우호도 -
거주지 -
주요 활동지 -
첫 등장 동방홍마향

1. 개요2. 특징3. 작중 행적4. 대인관계5. 능력6. 테마곡7. 2차 창작
7.1. 별명 및 성격7.2. 커플링 및 인간관계7.3. 외관
8. 그 외

[clearfix]

1. 개요

동방 프로젝트에 등장하는 몇몇 요정의 명칭.

본래 동방홍마향의 2면 중간 보스로 나오는 초록색 사이드테일 헤어를 가진 개체 하나만을 대요정이라고 부르곤 했으나, 동방삼월정 코믹스 3기에서 기존의 사이드테일 대요정과 유사하게 생긴 두 개체가 추가로 등장했으며, 2022년 12월 26일 ZUN이 개인방송에서 갈틱 폰을 하면서 대요정 키워드가 나오자 그린 금발의 대요정 역시 기존의 대요정들과는 별개의 개체라는 평이 중론이 되면서 그냥 강한 힘을 가진 요정들 중 따로 명칭이 붙지 않은 엑스트라 캐릭터들을 지칭하는 용어가 되었다. 사실 치르노나 삼월정, 클라운피스 등도 요정 중에서 강력한 힘을 가졌으니 대요정으로 분류할 수도 있겠지만, 이미 이름이 있으니 따로 대요정이라고 부를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 문서에서는 한동안 단독으로 대요정 타이틀을 차지하고 있었던 초록색 사이드테일 헤어 개체 위주로 설명이 되어있으니 참고할 것. 미디어 믹스에서도 공식, 2차 창작물 가릴 것 없이 해당 개체가 가장 자주 등장하고 있다.

2. 특징

파일:th128_daiyousei.png
인게임 도트 이미지
요정은 인간 이하의 존재입니다만, 그 중에서도 힘이 있는 자가 대요정입니다.
그 성격은 다른 요정과 다르지 않아서, 밝고 장난꾸러기. 단순하고 표정 풍부합니다.
2004년 1월 12일 동방서보
소악마, 책읽는 요괴와 더불어 공식으로 설정된 이름은 없다. 대신 대요정이라는 지칭 방법은 공식이다.

동방삼월정 등에서 묘사되는 대요정들의 몸집은 삼월정, 치르노와 비슷한 수준인데 삼월정은 대략 5~6살의 어린아이만큼 크다. 사실 이 정도만 돼도 요정 중에서는 가장 큰 축에 속하며 일신의 강함 역시 요정 치고는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아예 스펠카드까지 써대는 여타 네임드 요정들과는 다르게 탄막만 뿌리는 중간보스 역할이므로 한계는 있지만 추후에 공식 작품에서 재조명 받는 때가 온다면 또 이야기가 달라질지도 모른다.

3. 작중 행적

3.1. 동방홍마향

스펠 카드도 없고 스탠딩 CG도 없고 대사도 없는 캐릭터. 도트 그래픽 주변으로 반투명의 사각형[2]이 날아다니고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는 스펠 카드를 사용할 예정이었던 듯. 실제로도 원래 홍마향 2면, 4면 중보스는 스펠 카드를 사용할 예정이었는지라 스탠딩 CG 초안까지는 만들어 놨었다고 한다.

난이도 자체는 최고 난이도 기준으로도 매우 쉽다. 패턴 하나를 전개하고 순간이동하여 랜덤한 자리에서 다시 패턴을 전개하고 순간이동하는걸 반복하는 식으로 공격한다.
처음 두 번은 초록색, 빨간색 쿠나이탄을 쭈루룩 뿌리고, 세번째에 푸른 쌀탄으로 플레이어의 움직임을 봉쇄한 뒤 대량의 흰 쌀탄을 플레이어 조준으로 순차적 발사. 첫 번째, 두 번째는 완전 고정이므로 세 번째 패턴만 옆으로 살짝살짝 이동하면서 탄을 긁어 주면 된다. 격파하면 봄을 하나 떨군다.

3.2. 동방삼월정

파일:삼월정2기대요정.png

2기 13, 14화에서 등장한다. 하지만 대사도 없고 이름도 불리지 않으며 스토리 상 아무 관련도 없고 등장 횟수도 딱 5컷이다.[3] 동인계의 묘사와 같이 수줍은 듯한 성격으로 나온 걸로 보아 작가의 팬 서비스 차원으로 보는 게 좋을 듯. 일단 삼월정 작가의 취급상 그 초록머리 대요정이 맞다.

이후 삼월정 작가의 트위터에서 언급된 바로는 대요정이 특정 요정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강한 요정을 통칭하는 이름인 것으로 보인다.[4] 기존의 초록머리 대요정 말고도 분홍색 단발 대요정과 파란색 장발 대요정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5]

파일:mobdaiyousei.png

왼쪽부터 순서대로 '나카짱', '다이짱', '쇼짱'. 쇼핑몰 WonderGOO에서 동방삼월정 3권을 구매할 시 지급되던 특전 포스트 카드다.

이 대요정 3인방은 요정들이 결정화되는 와중에도 살아남아 4기 마지막화에서 오키나 레이드에도 참전한다. 여타 요정들보다는 강하기는 한 것으로 추정된다. 셋 다 대사는 안 나오지만 말이다. 오키나를 공격할 때 셋이서 동시에 레이저 비스무리한 걸 발사하는 것으로 보아 강함 면에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파란색/초록색/빨간색으로 색 분배가 돼있는 것으로 보아 햇빛/달빛/별빛으로 나눠져 있는 삼월정 3인방처럼 세세한 능력의 차이가 있을 거라는 추측이 존재한다.

3.3. 요정대전쟁 ~ 동방삼월정

팬들의 기대와는 달리 안개의 호수 스테이지의 중간보스로 등장하여 컷인이나 대사, 스펠 카드도 없다. 캐릭터 설정조차 미수록. 아이스 배리어로 얼릴 수 없는 화염탄을 뿌려대는지라 항간에서는 치르노와 정반대인 불의 요정이 아닌가하는 의견이 있지만, 청록색 이미지와 영 동떨어져 있는지라 찬성 의견은 그리 많지 않다. 식물이나 바람 등의 요정이라는 의견이 많다. 그리고 도트가 미묘하게 바뀌었는데, 해바라기 요정처럼 꽃을 들고 있다.

엑스트라 스테이지에서는 릴리 화이트와 태그를 짜서 중간보스로 출연한다. 1, 2통상은 한쪽만 격파해도 다음으로 넘어가지지만, 3통상은 둘 다 격파해야 넘어가진다.

3.4. 동방외래위편

파일:thSCoOW_lily_dai_koa.jpg

3.5. 동방Project 인요명감 어스름편

파일:thHYDirectoryDusk_Lily_Dai_Koa.png

4. 대인관계

5. 능력

어떤 능력을 갖고 있는지, 혹은 무엇의 요정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게임 내에서는 순간이동을 하지만 릴리 화이트도 순간이동을 하기에 고유능력인지는 불명.

6. 테마곡

동방홍마향2면 필드곡루네이트 엘프
(ルーネイトエルフ)

7. 2차 창작

외래위편에 등장하기 전까지 공식 일러스트가 없었기 때문에 2차 창작물에서는 작자에 따라 디자인이 꽤나 다르다. 특히 날개의 모양, 크기, 숫자 등이 제각각이지만, 보통은 커다란 곤충의 날개처럼 그려진다. 또한 주로 치르노의 친구로 등장한다. 일러스트에서는 거의 치르노와 친하며 순하게 등장하기도 하고, 혹은 자신이 죽고 치르노가 울고 혼자 남기도 한다.[6]

또한 능력에 관해서도 2차 창작에서는 매우 다르지만, 대부분은 아래의 얌전하고 순한 양 같은 성격을 따와서 힐러 및 버퍼 포지션을 맡아서 지원형 스킬을 다수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7.1. 별명 및 성격

별명은 이름에서 따온 "다이쨩(大ちゃん)".

아래에서 설명할 치르노와의 커플링 때문인지 공식 설정과는 정반대로 조숙하고 소극적이며 얌전한 성격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얌전한 성격 덕분에 종종 험한꼴을 당하기도 하는 편. 이름도 얼굴도 스펠 카드도 없지만 놀랍게도 불행속성만은 우동게, 코가사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이런 얌전한 성격의 반대급부, 혹은 진지한 성격을 심화시켜서 얀데레(대상은 주로 치르노)나 흑화하는 모습도 종종 그려진다. 일명 Die쨩(...)

좀 막 나가는 2차 창작에서는 어린애 주제에 로리콘 기가 있어서 치르노 및 다른 사람 앞에서는 조숙하고 얌전한 척을 하지만 내면은 치르노 LOVE로 폭주하고 있다는 동인설정이 꽤 자주 보인다.

7.2. 커플링 및 인간관계

치르노와 친구관계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아서, 항상 폭주하는 치르노에게 끌려다니거나 보살펴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 가끔씩 설교형 캐릭터가 되기도 한다 사실 치르노의 한쌍으로 등장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작품의 균형상 치르노를 사고를 치는 폭주형 캐릭터로 만들면 그와 대조적인 역할의 캐릭터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런 구성이 자주 쓰이는 것이다. 모든 캐릭터가 폭주하면 이야기가 성립되지 않을 테니.

동방천공장에서 이터니티 라바가 등장했는데 네임드인데다 '치르노 친구', '나름 머리 좋음', '초록색' 등의 설정을 앞세워 대요정을 대체해버릴지도 모른다는 위기론이 나온 적도 있었으나, 라바의 인기가 영 좋지 못해 오히려 대요정이 압도적인 인기를 내세운 상위 호환이 되었다(...)

치르노가 레티 화이트락과 엮이는 만큼 셋이 같이 등장하기도 하며, 바콰르텟의 객원 멤버로 활동하기도 한다.

7.3. 외관

大요정이라서 그런건지 다른 요정들보다 성숙한 몸으로 묘사된 게 많다. 특히 슴가. 그 덕에 니코동이나 픽시브 등의 태그 중 젖가슴이 크다이쨩(胸が大ちゃん)이라는 개드립이 섞인 태그가 있다(...). 더불어서 성격이 대부분 조숙하고 수줍은 걸로 그려지는 것 덕분에 동방 요정들 중에 색기담당을 맡고 있다고 봐도 무관. 그런데 가슴이 아니라 몸 전체가 넘사벽으로 크다고 묘사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게 심할 때는 다이다라봇치가 되기도 한다.

물론 매번 그러한 것은 아니고 치르노와 비슷한 어린아이로 그려지는 경우도 많다. 사실 요정의 설정을 생각해 보면 이쪽이 더 가까운 편이며, 외래위편에서는 이와 같은 모습으로 나왔다. 이걸로 大인데 작은 대요정과 小인데 큰 소악마 드립이 나오기도 한다.

머리 모양은 대개 사이드 포니테일, 대부분 동인에서 대요정은 왼쪽[7] 사이드 포니테일로 그린다. 같은 사이드 포니테일인 플랑드르 스칼렛도 마찬가지.

8. 그 외

역대 동방 프로젝트 인기투표 캐릭터 순위
대요정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 38위 40위 45위 52위 52위 47위 46위 57위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57위 58위 61위 62위 56위 54위 60위 66위 61위 63위
동방 프로젝트 캐릭터 인기 투표에서 오린 다음으로 아키 샌드위치에 낀 적이 있다. 하필이면 그게 오린이 빠져나가고 그 자리를 채운 느낌이어서 한동안 오린이 기뻐하며 탈출하지만 대신 대요정이 갇히는 짤들이 픽시브에서 돈 적이 있다.

위에서 언급하였듯 처치시 봄을 1개 떨구는데, 같은 초록색이기도 하고 이것이 동방 신작에서 등장한 첫 특수 아이템(파워, 점수가 아닌 아이템)이라 인상적으로 느낀 이들이 많은지 관련 일러스트도 종종 보인다.


[1] 요정대전쟁 데이터에서는 대요정 컷인이 bf라고 나온다. 그러나 정작 영미권 오덕들은 그냥 이 호칭 자체를 고유명사 취급해서 Daiyousei라고 부르는 편이 압도적으로 많다. 동방 로스트워드 글로벌서버 명칭도 Daiyousei다.[2] 원래는 해당 보스 캐릭터에게 남아 있는 스펠 카드를 표시하기 위한 연출이었으나 그래픽만 구현되고 기능은 구현되지 않았다.[3] 그나마 얼굴을 알아볼수 있게 나온건 1컷이다.[4] 삼월정 관련 굿즈와 관련된 글을 올렸을 때 '대요정즈(大妖精s)'라는 표현을 씀으로써 확인되었다.[5] 이 셋은 2차 창작에서는 세 자매(첫째인 기존의 초록머리 대요정(다이짱), 둘째인 파란색 장발 대요정(나카짱), 셋째인 분홍색 단발 대요정(쇼짱))로 자주 나온다.[6] 사실 대요정이든 치르노든 요정 종족이라 영원히 산다는 설정이고, 요정은 외력에 의해 소멸되더라도 곧 부활한다는 게 공식 매체에서도 드러났으므로 2차 창작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장면은 아니다. 사실 요괴화 떡밥이 있는 치르노 쪽이 죽을 위험성이 더 높기도 하다. 요괴는 수명이 굉장히 길 뿐이지 늙어 죽기는 하며 수명 외적인 요소로도 죽을 수도 있기 때문.[7] 보는 사람 입장(오른쪽)이 아닌 대요정, 본인의 기준으로는 왼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