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에 위치한 성곡초등학교}}}에 대한 내용은 [[성곡초등학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성곡초등학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성곡초등학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에 위치한 성곡초등학교: }}}[[성곡초등학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성곡초등학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성곡초등학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대구감삼초등학교 | 대구감천초등학교 | 대구교육대학교대구부설초등학교 | 대구남부초등학교 |
| 대구남송초등학교 | 대구내당초등학교 | 대구노전초등학교 | 대구대곡초등학교 | |
| 대구대남초등학교 | 대구대서초등학교 | 대구대진초등학교 | 대구덕인초등학교 | |
| 대구도원초등학교 | 대구본리초등학교 | 대구상원초등학교 | 대구상인초등학교 | |
| 대구선원초등학교 | 대구성곡초등학교 | 대구성남초등학교 | 대구성당초등학교 | |
| 대구성산초등학교 | 대구성서초등학교 | 대구성지초등학교 | 대구송일초등학교 | |
| 대구송현초등학교 | 대구신당초등학교 | 대구신서초등학교 | 대구신월초등학교 | |
| 대구신흥초등학교 | 대구와룡초등학교 | 대구용산초등학교 | 대구용전초등학교 | |
| 대구용천초등학교 | 대구월곡초등학교 | 대구월배초등학교 | 대구월서초등학교 | |
| 대구월성초등학교 | 대구월암초등학교 | 대구월촌초등학교 | 대구유천초등학교 | |
| 대구이곡초등학교 | 대구장기초등학교 | 대구장동초등학교 | 대구장산초등학교 | |
| 대구장성초등학교 | 대구조암초등학교 | 대구죽전초등학교 | 대구진월초등학교 | |
| 대구진천초등학교 | 대구파호초등학교 | 대구학산초등학교 | 대구한샘초등학교 | |
| 대구한솔초등학교 | 대구한실초등학교 | 대구호산초등학교 | 효성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 학교 전경 |
| <colbgcolor=#072><colcolor=#fff> 대구성곡초등학교 大邱城谷初等學校 Daegu Sunggok Elementary School | |
| | |
| 개교 | 2002년 3월 1일 |
| 성별 | 남녀 공학 |
| 형태 | 공립 |
| 교장 | 김영자 |
| 교훈 | 높은 꿈, 깊은 생각, 바른 행동 |
| 교화 | 진달래 |
| 교목 | 소나무 |
| 학생 수 | 287명[기준] |
| 교직원 수 | 31명[기준] |
| 관할청 | 대구광역시남부교육지원청 |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선원남로 127 |
| 홈페이지 | |
| <nopad> | |
1. 개요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에 있는 공립초등학교로 2002년 개교하였다.2. 학교 연혁
| <colcolor=#fff> 날짜 | <colbgcolor=#fff,#1c1d1f> 연혁 |
| 2002.03.01 | 대구성곡초등학교 개교 (40학급) 초대 박달원 교장선생님 취임 |
| 2003.02.13 | 제1회 졸업생 기록물 매설 |
| 2004.09.01 | 제2대 김성문 교장선생님 취임 |
| 2005.05.23 | 제1회 학부모와 함께 하는 합창경연대회 최우수상(대구광역시남부교육청 교육장) |
| 2006.10.25 | 대구광역시교육청 지정 영어과 시범학교 운영 공개 |
| 2007.09.01 | 제3대 구창남 교장선생님 취임 |
| 2008.10.27 | 보건실 개관식(보건실 현대화 사업) |
| 2009.02.02 | 교실 냉난방기 설치, 영어 체험실, 컴퓨터실 현대화 사업 |
| 2010.02.11 | 제8회 졸업식(졸업생 212명, 총 졸업생수 2,031명) |
| 2010.10.29 | 다목적 교실(청솔관) 개관 |
| 2010.12.28 | 교육활동 유공학교 표창(교육장) |
| 2011.01.10 | 제9회 성곡 겨울 영어 캠프(3일간) |
| 2011.09.23 | 도서관 개관(현대화 사업) |
| 2012.12.06 | 학습 부진학생 책임지도 우수학교 교육장상 수상 |
| 2012.12.10 | 학부모 학교 참여교육 우수학교 교육감상 수상 |
| 2013.01.17 | 인성교육 실천우수학원(교육과학기술부 장관) |
| 2013.03.01 | 제5대 송준각 교장선생님 취임 |
| 2013.04.10 | 국제화교육특구 글로벌 창의모델학교 지정(4년간) |
| 2013.09.01 | 화장실 개축(현대화) |
| 2014.01.15 | 교실 마루바닥 전면 보수 |
| 2014.09.14 | 스포츠클럽대구시대회 남·여 각 1위 입상(교육감) |
| 2014.11.08 | 전국스포츠클럽 줄넘기부 여자부 종합3위 입상 |
| 2014.11.17 | 급식실 개관(2층) |
| 2014.12.15 | 과학경진대회 실적 우수교 수상(교육감) |
| 2015.02.13 | 제 13회 졸업식(남79명, 여83명, 계162명, 총졸업생수 3,017명) |
| 2015.03.01 | 31학급 편성(특수학급 포함) |
| 2015.11.15 | 전국스포츠클럽줄넘기 남자부 종합 우승(국민생활체육협회장) |
| 2016.08.31 | 학교폭력제로학교 수상(교육감) |
| 2016.11.30 | 2016 학교정보화 우수교 교육감상 수상 |
| 2017.03.01 | 24학급 편성(특수 1학급 포함) |
| 2018.03.01 | 23학급 편성(특수 1학급 포함) 국제화교육특구 글로벌 창의미래학교 지정 |
| 2018.09.12 | 협력학습 실천 선도학교 공개 |
| 2019.02.01 | 제17회 졸업식(남:54, 여:54 계:108명 졸업생 총수:3462명) |
| 2019.06.26 | 미래역량교육 선도 학교 공개 |
| 2019.08.29 | 2019 1학기 대구 e-스터디 활용 우수 |
| 2020.02.12 | 제18회 졸업식(남:41명, 여:46명, 계:87명, 졸업생 총수: 3,549명) |
| 2020.03.01 | 제7대 박성호 교장선생님 취임 |
| 2020.03.01 | 20학급 편성(특수학년 1학급 포함) |
| 2022.09.01 | 제8대 이임락 교장선생님 취임 |
3. 학교 상징
3.1. 교표
- 전체 원: 우주를 상징하여 원만한 인격과 협동, 단결, 인화를 의미
-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반원: 하늘과 땅, 즉 천지를 의미
- 반원 좌우 “┐┌”: “곡”자의 초,종성 글자 “ㄱ”을 좌우로 배치하여 넓은 우주를 향해 뻗어 나감을 의미
- 색깔: 파랑(희망), 노랑(새싹), 황토(땅)을 의미
3.2. 교화
- 진달래
- 우리나라 방방곡곡에 피어나는 진달래는 화려하지 않고 은은한 모습으로 일찍 꽃망울을 피우는 것과 같이 우리 성곡 어린이가 부지런하고, 소박, 겸손하게 자라나기를 다짐하게 해준다.
3.3. 교목
- 소나무
- 사철 변함없이 늘 푸른 소나무의 기상을 닮아 우리 성곡 어린이가 우리나라의 튼튼한 기둥이 될 것을 다짐하게 해준다.
3.4. 교가
3.5. 교훈
4.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4.1. 버스
| 대백한라무지개타운 앞 | 509, 520, 523, 성서3[A], 급행1 |
| 대백한라무지개타운 건너 | 509, 520, 523, 성서3[A], 급행1 |
| 성서푸른마을아파트 앞 | 509, 520, 523, 성서3[A], 급행1 |
| 성서푸른마을아파트 건너 | 509, 520, 523, 성서3[A] |
| 이곡장미공원 건너 | 509, 달서3 |
| 이곡장미공원 앞 | 509, 달서3 |
| 성서보성타운2차건너 2 | 520 |
| 동서화성타운 건너 | 405, 503, 504, 527, 달서3, 달서5, 급행5 |
| 성서보성타운2차건너 1 | 523, 달서3, 성서3[A] |
| 성서서한2차타운 1 | 509, 520, 성서3[A], 급행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