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20:32:38

당근칼

당근 칼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채소 껍질을 깎는 도구}}}에 대한 내용은 [[필러(조리기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필러(조리기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필러(조리기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채소 껍질을 깎는 도구: }}}[[필러(조리기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필러(조리기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필러(조리기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특징3. 논란
3.1. 기성 언론의 위험성 의혹 왜곡 보도3.2. MBC 뉴스데스크 당근칼 자막 왜곡 보도 사건
4. 기타

1. 개요

파일:당근칼..png
다양한 수납 기믹과 알록달록한 파츠로 이루어진 단검 형태의 플라스틱 장난감을 통칭하는 용어. 피젯 토이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2. 특징

<nopad>
꾹TV의 당근칼 리뷰
형상은 Reate Knives사의 그래비티 나이프[1] 제품인 EXO와 카람빗형인 EXO-K를 장난감스럽게 바꾼 것이다. EXO나이프와 발리송은 구조적으로 연관성은 없지만 가지고 노는 용도라는 점에서는 비슷하다.

이름은 가장 대표적인 당근칼의 손잡이는 초록색이고 칼날이 주황색이라 마치 당근을 닮았다고 당근칼이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했다. 그래비티형, 카람빗형 말고도 접이식 수납 기믹의 당근칼도 존재한다. 외형과는 달리 호신용품으로서의 기능은 없으며 그저 칼 형상을 한 장난감에 가깝다.

이렇듯 종류는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접이식 수납 기믹이 있어서인지 이 기능을 사용하여 피젯 토이처럼 칼을 펴고 접으면서 노는 것이 주 용도다.

2023년 10월경부터 초등학생들 사이에서 갑작스레 유행을 타기 시작했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 당근총이 있다. 게임 발로란트의 유행과 함께 유행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3. 논란

3.1. 기성 언론의 위험성 의혹 왜곡 보도

각종 언론에서 '초등학생 사이에서 칼부림 놀이가 유행하고 있다'는 내용으로 문제를 보도하기 시작했다. # 당근칼이 칼 모양을 하고 있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누가 봐도 2023년 대한민국 다발적 흉기난동 사태로 인해 한창 높아진 칼부림 사건에 대한 공포감에 은근슬쩍 편승해 가려는 의도가 보이는 보도가 연속적으로 쏟아졌으며 이에 호응하여 교사 모임이나 학부모 단체가 함께 우려를 표명하기도 하고 일부 교사들이 재량으로 소지를 금지하거나 훈계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대구광역시교육청은 공문을 통해 “학생들이 당근 칼을 가지고 다니면서 장난을 치거나, 놀이 문화가 형성되지 않도록 예방해 달라고 초·중학교에 요청했다”며 “학교에서 당근 칼 소지에 대해서도 유의해서 살펴봐 달라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

일부 누리꾼들은 BB탄 총을 가지고 논다고 총기난사를 하냐, 나무젓가락으로 고무줄 총을 만들어 놀았다고 사제총기 제조자가 되느냐고 비판했다.

정작 이들을 비판하는 기성세대는 199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중반까지 콩알탄이나 화약 리볼버, 방구탄 같은 유독 화학 성분이 포함된 장난감은 물론, 당근칼보다 훨씬 더 리얼하게 생겼고 사람을 찌르면 날이 쏙 들어가는 플라스틱제 가짜 칼, 봉, 망치, 새총, 금속 표창에 전기충격기까지 가지고 놀던 것과 비교하면 당근칼은 그저 어느 나라에나 있는 장난감 수준이라 별것도 아닌 일에 호들갑 떤다는 반응도 나왔으며 오히려 옛날에 비하면 훨씬 안전하다는 반응도 나왔다. 다만 이는 옛날이 위험했던 것이지 더 위험했던 과거조차 안전했다고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 주장으로, 적절하지는 않은 주장이다.

실제로 만져보면 알겠지만 칼날 부분이 매우 뭉툭하고 두꺼운 데다 속이 비어 있어서 플라스틱 자보다도 훨씬 더 안전하다.

장난감 칼이 주로 남자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이라는데서 착안하여 남성이 위험한 흉기로 여성을 폭행한다는 프레임을 씌우고 남성혐오와 성별갈등을 조장할 목적으로 그 위험성을 과장했다고 가정하면 MBC의 자막 왜곡 및 남성가해-여성피해 구조의 왜곡 인터뷰 배치, 당근칼의 위험성 선동이라는 순서가 맞아떨어지긴 하며, MBC의 사과방송 이후 당근칼의 위험성 강조 기사가 나가지 않게 되었다. 특히 유독 MBC에서는 지역 방송사까지 합쳐 무려 3회에 걸쳐 당근칼의 위험성에 대해 보도해왔다.

심지어 뉴스에서는 자료화면 사이에 은근슬쩍 진짜 카람빗 나이프를 끼워넣어 비슷한 흉기처럼 보이게 하는 동시에 당근칼로 종이상자나 수박 등을 내려쳐 구멍을 뚫으며 위험하다고 선동했다. 상자나 과일은 건장한 성인이 내려치면 당근칼이 아니라 주먹이나 막대기, 젓가락으로 쳐도 구멍이 뚫리는 게 정상이다. 심지어 좀 단련한 사람이면 손가락으로 뚫기도 된다. 누구나 가지고 다니는 핸드폰[2]으로 내려쳐도 박살날 텐데 그야말로 선동이다. 과거에 에어소프트건을 '모의 총포'라고 과장하면서 쇠구슬[3]을 넣고 쏘는 터무니없는 위험성을 선동하던 것과 정확하게 똑같은 모습을 보여줬다.

"요요부메랑도 원래 무기였는데 이제는 장난감이 되지 않았느냐. 특히 이건 위협적이지도 않지 않느냐"와 같은 식의 반응도 나왔다.

당근칼 자체가 위험한 장난감은 아니라는 것이 정론이나, 모든 도구가 그러하듯이 아이들이 위험하게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필요하다. 이는 당근칼 외 날카로운 모든 물건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즉, 당근칼이 위험하지 않다고 해도 절대 안전하다고는 장담하지 못한다는 것.

3.2. MBC 뉴스데스크 당근칼 자막 왜곡 보도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BC 뉴스데스크 당근칼 자막 왜곡 보도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BC 뉴스데스크 당근칼 자막 왜곡 보도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BC 뉴스데스크 당근칼 자막 왜곡 보도 사건#|]][[MBC 뉴스데스크 당근칼 자막 왜곡 보도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

  • 당근 모양의 커터칼
    파일:당근커터칼.jpg

    이쪽은 말그대로 당근 모양을 본뜬 작은 휴대용 커터칼이다. 다이소나 핫트랙스 등 서점이나 문구점에서 구할 수 있다. 2020년대 초 당근 모양 컨셉의 팬시문구류나 소품들이 반짝 인기를 끈 적이 있는데[4] 이 '당근 커터칼'도 귀엽고 휴대하기 편하고 택배 포장 등을 뜯을 때 쓰기 좋아서 인기를 끌었다. 포장용품계의 유행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 이후 택배 등 비대면 구매가 급증하자 이런 미니 커터칼도 덩달아 수요가 높아졌는데 다이소나 문구점 등지의 미니 커터칼 코너를 보면 다른 과일, 채소 모양이나 구름 모양의 다양한 미니 커터칼들도 볼 수 있다.
  • 발리송 형태의 플라스틱 당근칼도 볼 수 있으며 내구성은 낮은 편이다.


[1] 중력에 의해 칼날이 비출되는 otf나이프의 종류다.[2] 특히 최근 출시되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알루미늄 합금이나 티타늄 등의 튼튼한 금속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장난감용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당근칼과는 차원이 다른 강도를 자랑한다.[3] 넣고 쏘면 고장날 위험도 있고, 애초에 그 누구도 비비탄 총에다 쇠구슬을 넣고 쏘지 않는다.[4] 나름 성공적인 디자인 사례. 아이들이 흔히 거부감을 느끼는 채소 중 하나인 당근데포르메를 더해 디자인적 요소로 거듭나 독특함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의외의 포인트다. 원래는 토끼 모양 등 동물모양 컨셉이나 애니메이션이나 상품 캐릭터 등 인기 캐릭터 컨셉이 주류였던 것을 생각하면 당근이라는 디자인적 요소는 기존 토끼 캐릭터 등 동물모양 컨셉에 덤으로 끼어 있는 정도였다.